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사회복지정책
약어 : -
2014 vol.41, no.1, pp.241 - 266
DOI : 10.15855/swp.2014.41.1.241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93 회 열람

본 연구는 이중차원적 관점에 기초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을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로 나누어 파악하고, 개인적 특성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사회참여 요인이 각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서울, 경기, 대전, 그리고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2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은 한국문화적응이 모국문화유지 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 사회참여 요인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한국거주기간, 국적취득 여부, 모국방문 경험, 결혼만족도, 친구・이웃의 지지, 사회활동 참여, 차별경험 등이 한국문화적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유지에는 자녀수, 국적취득 여부, 한국가족의 지지, 모국가족의 지지, 친구・이웃의 지지, 차별경험, 사회서비스 이용정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vided accultura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 into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maintenance of their home country culture, and then found out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and community involvement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2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living in Seoul, Gyeonggi, Daejeon and Chungcheong-do.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level of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they scored 3.48 o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3.24 on maintenance of original culture. Second, influence factors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examined as follows. The factors including residence period in Korea, marital satisfaction, support of neighbor or friends, community involvement,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how meaningful influence on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nt factors of maintenance of original culture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have meaningful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hildren, citizenship status, support of Korean families, support of homeland families, friends and neighbor,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ocial service utilizing degre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 for practice to acculturation of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nd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 한국문화적응, 모국문화유지, 사회통합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cculturation, adaptation to Korea culture, maintenance of original culture, social integration

  • 1. [학위논문] 강현주 / 2007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모국문화 표출·유지 욕구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 [학술지] 권명희 / 2011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1) : 275 ~ 1 kci
  • 3. [학술지] 권복순 / 2013 / 대구 경북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태도의 영향요인 연구 / 민족연구 (53) : 130 ~ 53 kci
  • 4. [학술지] 권복순 / 2006 /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사회복지학 / 58 (3) : 109 ~ 3 kci
  • 5. [학술지] 구차순 / 2007 /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 20 (20) : 319 ~ 20 kci
  • 6. [학위논문] 김도희 / 2008 / 결혼이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영향 연구 : 문화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7. [학술지] 김렬 / 2011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접변에 대한 정책지원의 효과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5 (4) : 285 ~ 4 kci
  • 8. [학술지] 김연수 / 2011 /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 개발연구 / 여성연구 / 81 (2) : 103 ~ 2 kci
  • 9. [학술지] 김연수 / 2010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경험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 30 (30) : 269 ~ 30 kci
  • 10. [학술지] 김우석 / 2010 / 결혼이주 여성의 스포츠를 통한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체육학회지 / 24 (4) : 41 ~ 4 kci
  • 11. [단행본] 김이선 / 2011 /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 결혼이민자의 사회적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지원방안. Vol. 5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12. [학술지] 김현주 / 1997 / 국내 거류 외국인의 한국 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연결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 40 : 105 ~
  • 13. [학술지] 박주희 / 2007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12 (4) : 395 ~ 4 kci
  • 14. [학술지] 박철민 / 2012 /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문화적 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방정부연구 / 16 (3) : 413 ~ 3 kci
  • 15. [학위논문] 백은령 / 2003 /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 16. [인터넷자료] 법무부 /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 17. [학술지] 성현란 / 2011 /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7 (2) : 219 ~ 2 kci
  • 18. [학술지] 심인선 / 2007 / 결혼이주여성의 성인교육 경험이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0 (4) : 77 ~ 4 kci
  • 19. [학술지] 이미정 / 2011 /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실태 조사 연구 - 강화도, 대부도, 영종도, 영흥도를 중심으로 - / 교육문화연구 / 17 (2) : 77 ~ 2 kci
  • 20. [학술지] 장덕희 / 2010 /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공식적 지지가 정신건강과 문화적응에 가지는 효과 / 젠더와 문화 / 3 (1) : 67 ~ 1 kci
  • 21. [학술지] 장덕희 / 2011 / 농촌지역 다문화가족 부부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가족요인의 영향 / 농촌사회 / 21 (2) : 103 ~ 2 kci
  • 22. [보고서] 전기택 / 2013 /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 23. [학위논문] 정성미 / 2010 /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4. [학술지] 정진경 / 2004 /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23 (1) : 101 ~ 1 kci
  • 25. [학술지] 조창환 / 2010 / 국내 체류 외국인의 한국문화 적응과 모국문화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영어권 외국인과 유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 54 (4) : 374 ~ 4 kci
  • 26. [학술지] 최운선 / 2007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 아시아여성연구 / 46 (1) : 141 ~ 1 kci
  • 27. [학술지] 최혜지 / 2009 /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61 (1) : 163 ~ 1 kci
  • 28. [학술지] 한아름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그리고 우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3 : 75 ~ kci
  • 29. [학술지] 홍달아기 / 2012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문화적응 단계별 특성-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16 (4) : 1 ~ 4 kci
  • 30. [학위논문] 홍미기 / 2009 /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31. [학술지] 홍성희 / 2012 / 다문화가족의 문화차이 인식과 문화적응의 양상 /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30 (2) : 153 ~ 2 kci
  • 32. [학술지] Ataca, Bilge / 2002 /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 37 (1) : 13 ~ 1
  • 33. [학술지] Berry, John W / 1997 /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 Applied Psychology / 46 (1) : 5 ~ 1
  • 34. [학술지] Berry, John W / 2001 / A Psychology of Immigration / Journal of Social Issues / 57 (3) : 615 ~ 3
  • 35. [학술지] Berry, John W / 2005 /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 29 (6) : 697 ~ 6
  • 36. [단행본] Berry, John W / 1997 /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 Social Behavior and Applications / Allyn & Bacon : 291 ~
  • 37. [학술대회] Berry, John W / 1983 / Psychological Adaptation of Malaysian Students in Canada / Third Asian Reg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ross-Cultural Psychology, University of Malaysia
  • 38. [학술지] Birman, Dina / 1998 / Biculturalism and Perceived Competence of Latino Immigrant Adolescents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26 (3) : 335 ~ 3
  • 39. [학술지] Birman, Dina / 2002 /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Soviet Jewish Refugee Adolescents: Predictors of Adjustment Across Life Domains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30 (5) : 585 ~ 5
  • 40. [학술지] Birman, Dina / 2005 / A Tale of Two Cities:Replication of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of Immigrant Adolesce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in a Different Community Context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35 (1-2) : 83 ~ 1-2
  • 41. [학술지] Bourhis, Richard Y / 1997 / Towards an Interactive Acculturation Model: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 32 (6) : 369 ~ 6
  • 42. [학술지] Cabassa, Leopoldo J / 2003 / Measuring Acculturation: Where We Are and Where We Need to Go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25 (2) : 127 ~ 2
  • 43. [학술지] Cuéllar, Israel / 1995 / Acculturation Rating Scale for Mexican Americans-II: A Revision of the Original ARSMA Scale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17 (3) : 275 ~ 3
  • 44. [학술지] Gibson, Margaret A / 2001 / Immigrant Adaptation and Patterns of Acculturation / Human Development / 44 (1) : 19 ~ 1
  • 45. [단행본] Gordon, Milton Myron / 1964 / Assimilation in American Life: The Role of Race, Religion, and National Origins / Oxford University Press
  • 46. [학술지] Kang, Sun-Mee / 2006 / Measurement of Acculturation, Scale, Formats, and Language Competence Their Implications for Adjustment /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 37 (6) : 669 ~ 6
  • 47. [단행본] Keefe, Susan E / 1987 / Chicano Ethnicity /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 48. [학술지] Kosic, Ankica / 2004 / Acculturation Strategies, Coping Process, and Acculturative Stress /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 45 (4) : 269 ~ 4
  • 49. [학술지] Kovacev, Lydia / 2004 /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Refugees Resettled in Australia /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 28 (3) : 259 ~ 3
  • 50. [학술지] Marín, Gerardo / 1996 / A New Measurement of Acculturation for Hispanics: The Bidimensional Acculturation Scale for Hispanics(BAS)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18 (3) : 297 ~ 3
  • 51. [학술지] Phinney, Jean S / 2002 / Unpackaging” Acculturation Aspects of Acculturation as Predictors of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s /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 33 (3) : 320 ~ 3
  • 52. [학술지] Portes, Alejandro / 1994 / Should Immigrants Assimilate / Public Interest / 116 : 18 ~
  • 53. [학술지] Redfield, Robert / 1936 / Memorandum for the Study of Acculturation / American Anthropologist / 38 (1) : 149 ~ 1
  • 54. [단행본] Rosenberg, Morris / 1979 / Conceiving the Self / Basic Books
  • 55. [학술지] Ryder, Andrew G / 2000 / Is Acculturation Unidimensional or Bidimensional? A Head-to-Head Comparison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Self-Identity, and Adjustment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79 (1) : 49 ~ 1
  • 56. [학술지] Schumm, Walter R / 1986 /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 48 (2) : 381 ~ 2
  • 57. [학술지] Schwartz, Seth J / 2007 / The Structure of Cultural Identity in an Ethnically Diverse Sample of Emerging Adults /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 29 (2) : 159 ~ 2
  • 58. [단행본] Segal, Steven P / 1978 /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Based Sheltered Care: A Study of Community Care and Social Integration / Wiley
  • 59. [학술지] Smokowski, Paul R / 2007 / Acculturation, Internalizing Mental Health Symptoms, and Self-Esteem: Cultural Experiences of Latino Adolescents in North Carolina /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 37 (3) : 273 ~ 3
  • 60. [학술지] Suinn, Richard M / 1995 / The Suinn-Lew Asian Self-Identity Acculturation Scale: Cross-Cultural Information / Journal of Muliticultural Counseling & Development / 23 (3) : 139 ~ 3
  • 61. [학술지] Valentine, Sean / 2001 / Self-Esteem, Cultural Identity, and Generation Status as Determinants of Hispanic Acculturation /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 23 (4) : 459 ~ 4
  • 62. [학술지] Ward, Colleen / 1993 /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justment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s: A Comparison of Secondary Students Overseas and at Home /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 28 (2) : 129 ~ 2
  • 63. [학술지] Willer, Barry / 1993 / Assessment of Community Integration Following Rehabilitation for Traumatic Brain Injury / The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 8 (2) : 75 ~ 2
  • 64. [학술지] Zimet, Gregory D / 1988 /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 52 (1) : 3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