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담론201
약어 : -
2008 vol.11, no.2, pp.103 - 138
DOI : 10.17789/discou.2008.11.2.004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역사학회
436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 해 이들의 적응실태를 알아보고 나아가 이주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 지원 정책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주노동자들은 이주 후 새로운 문화, 규범, 가치관에 적응해야 하고, 한국사회와 사람을 이해하고 이에 적응해야 하며, 새로운 인간 관계도 만들어야 한다. 단일 민족, 단일문화를 기반으로 문화적 배타주의가 강 하게 나타나는 한국사회에서 이주자의 적응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구성요소로 한국어 수준, 한국 사회문화 에 대한 지식과 적응정도, 사회적 네트워크 및 모국문화와의 접촉정도 그리고 심리적 적응으로 문화적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이주 노동자들은 한국 사회문화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경향이 있으며, 한국어수준, 사회문화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잘 형성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 한편 이주노동자들은 모국문화와 다양한 방식 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고, 주로 모국인과 교류를 하고 있으며 한국인과 사 회단체와도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지원과 함께 다양한 문화가 서로 적응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사회적 통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daptation of foreign workers immigrated in Korea and to search for policies supporting their sociocultural adapta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Immigrant workers have to accommodate themselves to a new culture, moral and value standard. They must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people and make new personal relationships; Otherwise their usual lives would be under a serial of conflict and tension. Especially in Korea, known as culturally exclusive and ethnically homogeneous, immigrant workers will have more difficulties in adaptation. As important factors of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Korean languag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Korean value standard and Korean way of thinking and living, and the rate of contacts with social network and their own cul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eign workers show difference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sociocultural adaptation. The more they know about Korea, the less they tend to be stressed. The more they understand Korean language, society and culture,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Korean life. On the other hand, the more they experience discriminations, the more they feel stresses. Frequently keeping contacts with their own culture, they get in touch with their compatriot. Also, they sometimes take part in Korean organizations as well as meeting Koreans. For social integration, Korean society must support both adaptationrelated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s.

이주노동자, 사회문화적 적응, 심리적 적응, 문화적응 유형, 통합적 연계
Immigrant Workers, Sociocultural Adapt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Type of Cultural Adaptation. Integration Nexus

  • 1. [단행본] 갤브레이스, J.K. / 1993 / 만족의 문화 / 동아일보사
  • 2. [단행본] 김세균 / 2006 / 유럽의 제노포비아: 세계화시대의 인종갈등 / 문화과학사
  • 3. [학술지] 김영란 / 2006 /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 아시아여성연구 / 45 (1) : 143 ~ 1 kci
  • 4. [단행본] 리프킨, 제레미 / 2005 / 유러피안드림 / 민음사
  • 5. [보고서]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2008 / 다문화 포용정책방향 : 1 ~
  • 6. [단행본] 베일스, 케빈 / 1999 / 일회용사람들 / 이소출판사
  • 7. [단행본] 스토커, 피터 / 2003 / 국경없는 노동자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8. [단행본] 스토커, 피터 / 2004 / 국제이주 / 이소출판부
  • 9. [학술지] 유명기 / 1995 /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 한국문화인류학 / 27 : 145 ~
  • 10. [학술대회] 이규용 / 2005 / 고용허가제 시행 1년 평가 및 향후 발전방안 / 고용허가제 1주년 기념세미나. 2005. 8. 9. 노동부ㆍ한국노동연구원ㆍIOM서울사무소 주최
  • 11. [보고서] 장혜경 / 2000 / 북한이탈 주민가족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역할
  • 12. [단행본] 전우택 / 2000 /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 도서출판 오름
  • 13. [단행본] 정기선 / 1998 /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 In 한국사회와 외국인노동자 / 미래인력연구센터 : 103 ~
  • 14. [학위논문] 정수열 / 1996 / 국내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및 적응형태
  • 15. [학위논문] 최금해 / 2006 /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관한 연구
  • 16. [인터넷자료] / 통계청
  • 17. [단행본] Barne, R J. / 1994 / 글로벌 드림스 / 고려원
  • 18. [학술지] Berry, J. / 1997 /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 46 (1) : 5 ~ 1
  • 19. [단행본] Castles, S. / 1998 / The Age of Migration / The Guilford Press
  • 20. [학술지] Gallie, D. / 1998 / Unemployment and Life-satisfaction: A Cross-Cultural Comparison / European Journal of Sociology / 7 (2) : 248 ~ 2
  • 21. [인터넷자료] / Multiculturalism
  • 22. [학술지] Oberg, K. / 1960 / Cultural Shock: Adjustment to New Cultural Environments / Practical Anthropology / 7 (4) : 177 ~ 4
  • 23. [학술지] Pedraza, S. / 1991 / Women and Migration: The Social Consequences of Gender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17 : 303 ~
  • 24. [학술지] Sandhu, D. / 1994 / Development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 / Psychological Reports / 75 : 435 ~
  • 25. [학술지] Ward, C. / 1998 / The U-curve on Trial: a Longitudinal Study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justment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 / International Journal Review / 22 (3) : 277 ~ 3
  • 26. [학술지] Ward, C. / 1999 / The Measurement of Sociocultural Adaptation / International Journal Review / 23 (4) : 659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