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베트남 귀환이주자의 인적 자본과 취업의 상관성 연구: 한국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and Labor Status of Returning Vietnamese Migrants : Focusing on the Labor Migrants in Korea

동남아시아연구
약어 : -
2015 vol.25, no.1, pp.201 - 234
DOI : 10.21652/kaseas.25.1.201502.201
발행기관 : 한국동남아학회
연구분야 : 지역학
Copyright © 한국동남아학회
237 회 열람

이 연구는 베트남 귀환이주자의 인적 자본과 취업과의 상관성을분석하는 것이다. 인적 자본은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이주 경험으로구성되어 있으며, 취업은 임금노동자, 자영업자, 그리고 무직자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방법으로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수집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용허가제 또는 이에 상응하는 비자로한국에 입국하여 노동경험을 마치고 베트남인 모국으로 귀환한 이주자 215명이다. 이를 통해, 베트남 귀환이주자의 인적 자본이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결혼이 취업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일 경우,그리고 기혼자일 경우 무직자가 아닌 임금노동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 둘째, 한국에서 거주할 당시 교육에 더 많이 참여한 이주자일수록 귀환 후 임금노동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 셋째, 자영업자와 무직자 간의 차이에 있어서는 인적 자본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영업자 경우, 인적 자본 보다 재정적 자본이나 다른 기타 원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을 개연성으로 설명되어 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자들이 귀환 후에도 인적 자본을 최대한 활용하여 모국사회에서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취업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capital and labor status of returning Vietnamese migrants. Human capitalconsist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labormigration. Labor status is divided into wage earner, self-employed andunemploy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5 people of returningVietnamese migrants and the database was analysed logistic regression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gender and maritalstatus affect the labor status. If the returning Vietnamese migrants aremale and married person, they would be possible of wage earner notunemployed. Secondly, the more people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program when they stayed in Korea, the more people are working as awage earner in Vietnam. Thirdly, the human capital did not affect the laborstatus between self-employed and unemployed. For self-employed, it canbe inferred that financial capital or other factors influence self-employed more.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ccupationalbasis using migrants' human capital upon return.

귀환이주자, 인적 자본, 인적 자본 획득, 베트남, 취업
returning migrants, human capital, human capital accumulation, Vietnam, labor status

  • 1. [기타] 고용노동부 / 2012 / 성실근로 후 귀국한 외국인근로자 재입국 취업제도 시행 /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5월 10일
  • 2. [보고서] 이주노동자 귀환정착지원프로그램 개발 컨소시엄 / 2005 / 이주노동자 자발적 귀환 및 재통합을 위한 현황과 과제: 해외현지실태조사 심층면접 결과분석
  • 3. [학위논문] 김화순 / 2009 /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미치는 요인 연구 :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구조 요인을 중심으로
  • 4. [기타]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2014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0월호
  • 5. [기타]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2014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2월호
  • 6. [학술지] 심혜영 / 2004 /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방식으로서의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고시연구사연구 / 31 (3) : 457 ~ 3
  • 7. [기타] 유재희 / 2013 / 한·베트남 고용허가제 특별MOU 체결한 방하남 장관 / 이데일리 12월 31일
  • 8. [보고서] 이은숙 / 2013 / 불법체류 예방을위한 귀국지원 사업 개선방안 연구
  • 9. [인터넷자료] / 이주민방송
  • 10. [학술지] 채수홍 / 2007 / 귀환 베트남 이주노동자의 삶과 동아시아 인적교류 / 비교문화연구 / 13 (2) : 5 ~ 2 kci
  • 11. [기타] 최지만 / 2012 / 외국인 근로자 귀환기술교육 / 화성신문 7월 13일
  • 12. [학술지] 최호림 / 2010 / 동남아시아의 이주노동과 지역 거버넌스 / 동남아시아연구 / 20 (2) : 135 ~ 2 kci
  • 13. [학술지] 한건수 / 2008 / 본국으로 귀환한 아프리카 이주 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나와 나이지리아 노동자를 중심으로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 27 (1) : 225 ~ 1 kci
  • 14. [단행본] Ammassari, Savina / 2001 / Harnessing the Potential of Migration and Return to Promote Development:Applying Concepts to West Africa
  • 15. [학술지] Arif, G. M. / 1998 / Reintegration of Pakistani Return Migrants from the Middle East in the Domestic Labour Market / The Pakistan Development Review / 37 (2) : 99 ~ 2
  • 16. [단행본] Becker, Gary. S. / 1994 /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7. [학술지] Borjas, George J. / 1994 / The Economics of Immigration /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 32 : 1667 ~
  • 18. [학술지] Borjas, George J. / 1985 / Assimilation, Changes in Cohort Quality, and the Earnings of Immigrants / Journal of Labor Economics / 3 (4) : 463 ~ 4
  • 19. [학술지] Chiswick, Barry R. / 1978 / The Effect of Americanization on the Earnings of Foreign-born Men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86 (5) : 897 ~ 5
  • 20. [학술지] Co, Catherine / 2000 / Returns to Returning /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 13 (1) : 57 ~ 1
  • 21. [보고서] Dang Nguyen Ahn / 2008 / Labor Migration from Viet Nam: Issues of Policy and Practice
  • 22. [학술지] Dustmann, Christian / 2002 / The Optimal Migration Duration and Activity Choice after Re-migration /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 67 : 351 ~
  • 23. [학술지] Enchautegui, Maria. E. / 1993 / The Value of US Labor Market Experience in the Home Country: The Case of Puerto Rican Return Migrants /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 42 (1) : 169 ~ 1
  • 24. [보고서] Fleischhauer, Kai-Joseph / 2007 / A Review of Human Capital Theory: Microeconomics
  • 25. [학술지] Germenji, Etleva / 2009 / Return and Labour Status at Home: Evidence from Returnees in Albania / Southeast European and Black Sea Studies / 9 (4) : 497 ~ 4
  • 26. [단행본] Gonzalez, Eduardo T. / 2010 / Governance and Human Capital: The 21st Century Agenda / Sterling Publishers : 63 ~
  • 27. [보고서] Gorldring, Luin / 2003 / Re-thinking Remittances: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Remittances
  • 28. [단행본] Hatziprokopiou, Panos / 2005 / The New Albanian Migration / Sussex Academic Press : 93 ~
  • 29. [학술지] Johnson, Nadja / 2009 /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Brain Drain’Phenomenon and its Effects on Caribbean Countries / Florida Atlantic Comparative Studies Journal / 11 : 1 ~
  • 30. [학술지] Kessler, Anke. S. / 2006 / The Theory of Human Capital Revisited: On the interaction of General and Specific Investments / The Economic Journal / 116 (514) : 903 ~ 514
  • 31. [단행본] OECD / 2008 / International Migration Outlook / OECD Publishing
  • 32. [학술지] Yendaw, Elijah / 2013 / Socio-Economic Status of International Return Migrants to the Berekum Municipality, Gh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 4 (10) : 272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