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사회적 자본과 미디어 이용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중국인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Media Use on Cultural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nese Workers in Korea

경영과 정보연구
약어 : -
2016 vol.35, no.1, pp.1 - 22
DOI : 10.29214/damis.2016.35.1.001
발행기관 : 대한경영정보학회
연구분야 : 경영학
Copyright © 대한경영정보학회
290 회 열람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 문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외국인 근로자수가 급증하면서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열악한 근무환경과 저임금, 임금체불, 문화적응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사회적 자본(사회적 네트워크 및 사회적 지원)과 미디어 이용(한국 및 중국 미디어)이 그들의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을 고용하는 기업들과 이들을 지원하는 공익단체에 실무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중국인 근로자 273명(조선족 근로자 216명과 한족 근로자 57명)에 대한설문조사를 근거로 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도출된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 중 모국인 네트워크, 한국인 네트워크, 가족지원 및 모국인 지원 등의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인 문화적응에 정의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이들의 독립변수들은 직무만족에도 정의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 이용변수 중 한국 미디어는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모두 정의 (+)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문화적응은 모국 네트워크와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한국인 네트워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응은 가족지원과 직무만족의관계, 모국인 지원과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한국 미디어와 직무만족의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자본과 한국 미디어 이용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의중요한 요인임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문화적응의 변수가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에, 문화적응이 매우 중요한 매개관계를 하고 있음을 각인시켜주고 있다.

The increased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now more than 1.8 million) has necessitated understand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immigration issues in order to solve the foreign workers’ social problems. Foreign workers in Korea are suffering from a lot of difficulties such as bad working conditions, lower income, unpaid wages, cultural adaptation, etc.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social capital factors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and media use (Korean and Chinese media) influence cultural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aper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enterprises which support and recruit them. The sample of our respondents was 273 Chinese workers (216 Korean-Chinese workers and 57 Han-Chinese workers) in Korea. We used SPSS 21.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Korean network, native network, family support, native support and Korean media us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adaptation. Korean network, native network, family support, native support and Korean media u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cultural adapt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native network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family/native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Cultural adaptation was also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edia use and job satisfaction.

사회적 자본, 직무만족, 사회적 지원, 미디어 이용, 문화적응
Social Capital,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Cultural Adaptation

  • 1. [학위논문] 강토야 / 2013 / 한국내 몽골 근로자의 직무적응 및 이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 2. [학위논문] 고금희 / 2003 / 조직구성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3. [학술지] 김연수 / 2013 /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보건사회연구 / 33 (4) : 5 ~ 4 kci
  • 4. [학술지] 김옥련 / 2013 /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SNS이용에 관한 연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 24 (4) : 377 ~ 4 kci
  • 5. [학술지] 김현경 / 2009 / 이주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산업경제연구 / 22 (1) : 385 ~ 1 kci
  • 6. [학위논문] 김희은 / 2012 / 주도적 사회화가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7. [학술지] 박노일 / 2011 / 주한(駐韓)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이용이 직장만족도와 한국 인식 및 한국 재입국 의지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젠더 & 문화 (18) : 41 ~ 18 kci
  • 8. [학술지] 박주연 / 2013 / 중국인 유학생들의 TV 시청과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중국연구 / 58 : 19 ~ kci
  • 9. [인터넷자료] 법무부 /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 10. [단행본] 설동훈 / 1999 / 외국인근로자와 한국사회 / 서울대학교출판부
  • 11. [학술지] 송인영 / 2011 /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경험 및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적응의 관계 / 평생교육학연구 / 17 (4) : 147 ~ 4 kci
  • 12. [학위논문] 신덕정 / 2011 / Effects of social network on job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relational resource
  • 13. [학술지] 양혜승 / 2012 / 이주노동자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용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3 (1) : 55 ~ 1 kci
  • 14. [학위논문] 응웬 티 껌 번 / 2013 / 유학생의 미디어 이용이 현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 15. [학위논문] 李今喜 / 2008 / 조선족과 한족 노동자들의 한국에서의 직업/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 ERG이론을 중심으로
  • 16. [학술지] 이금희 / 2014 / Improving Cross-Cultural Training Programs in Korea / 경상논총 / 32 (1) : 27 ~ 1 kci
  • 17. [학술지] 이민혜 / 2013 / 조선족 이민자의 문화적응,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 관련 삶의 질의 관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24 (4) : 438 ~ 4 kci
  • 18. [학위논문] 李新田 / 2013 / 문화지능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이문화 적응의 매개효과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 19. [학술지] 이정향 / 2013 / 한국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 관한 연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9 (2) : 324 ~ 2 kci
  • 20. [학술지] 이주재 / 2010 /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관계망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가족복지학 / 15 (4) : 73 ~ 4 kci
  • 21. [학위논문] 이영석 / 2014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 22. [학위논문] 임중철 / 2014 /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3. [학술지] 정자경 / 2012 /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2 : 29 ~ kci
  • 24. [학술지] 조창환 / 2010 / 국내 체류 외국인의 한국문화 적응과 모국문화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영어권 외국인과 유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언론학보 / 54 (4) : 374 ~ 4 kci
  • 25. [학술지] 최진희 / 2014 / 결혼 이주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문화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디아스포라연구 / 8 (2) : 7 ~ 2 kci
  • 26. [학위논문] Baker, L. M. / 2004 / Work Adjustment in Persons Living with HIV/AIDS: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 27. [단행본] Berry, J. W. / 1980 /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 Westview Press
  • 28. [단행본] Berry, J. W. / 1988 / Cross cultural Psychology and Health: Towards Applications / Sage
  • 29. [학술지] Black, J. S. / 1989 / The Influence of the Spouse on American Expatriate Adjustment and Intent to Stay in Pacific Rim Overseas Assignments / Journal of Management / 15 (4) : 529 ~ 4
  • 30. [학술지] Black, J. S. / 1991 /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of International Adjustment : An Integration of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16 (2) : 291 ~ 2
  • 31. [학위논문] Chen, I. H. / 1996 / Work Values, Accultur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nese Immigrant Professionals
  • 32. [단행본] Choi, J. M. / 2001 / The Emerging Monoculture / Praeger : 75 ~
  • 33. [학술지] Cooper, C. L. / 1976 /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 A Review to the Literature Relation to Coronary Heart Dieses and Mental Health /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 49 : 11 ~
  • 34. [학술지] Croucher, S. M. / 2011 / Social Networking and Cultural Adaptation : A Theoretical Model /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4 (4) : 259 ~ 4
  • 35. [단행본] French, J. R. P. / 1991 / Organization Stress and Industrial Readings / Business Publication : 307 ~
  • 36. [학술지] Gaines, J. / 1983 / Emotional Exhaustion in a High Stress Organization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26 : 567 ~
  • 37. [학술지] Granovetter, M. / 1976 / The Strength of Weak Ties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 78 : 1260 ~
  • 38. [학술지] Hackman, J. R. / 1976 /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 A Test of A Theory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 16 : 250 ~
  • 39. [학술지] Higgins, M. C. / 2001 / Reconceptualizing Mentoring at Work : A Developmental Network Perspective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26 (2) : 264 ~ 2
  • 40. [학술지] Higgins, M. C. / 2000 / The More, the Merrier? Multiple Developmental Relationships and Work Satisfaction /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 19 : 277 ~
  • 41. [단행본] Hoffman, M. A. / 2000 / Handbook of Counseling
  • 42. [학술지] Kim, B. J. / 2012 /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Network Support on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 Aging & Mental Health / 16 (6) : 787 ~ 6
  • 43. [학술지] Lee, C. / 2004 / Korean Immigrants’Viewing Patterns of Korean Satellite Television and Its Role in Their Lives /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 14 : 68 ~
  • 44. [학술지] Li, C. / 2015 / Social Media Usage and Acculturation : A Test with Hispanics in the U. S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45 : 204 ~
  • 45. [학술지] Lim, J. W. / 2008 /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Immigrant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 Ethnicity & Health / 13 (3) : 243 ~ 3
  • 46. [학술지] Mezias, J. M. / 2005 / A Needs-Driven Approach to Expatriate Adjustment and Career Development : A Multiple Mentoring Perspective /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 36 (5) : 519 ~ 5
  • 47. [학술지] Miller, A. M. / 2006 / Acculturation, Social Alienation, and Depressed Mood in Midlife Women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 Research in Nursing & Health / 29 : 134 ~
  • 48. [단행본] Padilla, A. M. / 1980 /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 Westview Press : 47 ~
  • 49. [학술지] Park, N. / 2014 / Social Networking Sites and Other Midia Use,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East Asian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36 : 138 ~
  • 50. [학술지] Selmer, J. / 2005 / Cross-Cultural Training and Expatriate Adjustment in China : Western Join Venture Managers / Personnel Review / 34 (1) : 68 ~ 1
  • 51. [학술지] Staines, G. L. / 1980 / Spillover Versus Compensatio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Nonwork / Human Relations / 33 (2) : 111 ~ 2
  • 52. [학술지] Takeuchi, R. / 2002 / An Examination of Crossover and. Spillover Effects of Spouse and Expatriate Cross-Cultural Adjustment on Expatriate Outcomes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87 (4) : 655 ~ 4
  • 53. [학술지] Zambrana, R. / 1988 / Mexican American Professional Women : Rol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Single and Multiple Role Life Styles /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 3 (4) : 347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