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ocation Analysi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공공시설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금산군 문화시설을 대상으로 -

  • 윤정미 (충남발전연구원 지역정책연구부) ;
  • 이신훈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9.11.19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location models for public service facilities considering efficiency as well as equity. And it suggests the method of spatial evaluation reflected the real world. Finally, this research is applied to the analysis on the optimum location of cultural facilities in Geumsan. This research adopts the expert survey for site selection factors and applys AHP for the relative weights. Secondly, it assorts the urban area by satellite image for the spatial analysis on the real world. Next, it adopts the Location-Allocation Model for the location evaluation and embodies the unequal popul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model establishment. Finally, it conducts the more specific spatial analysis reflected the real world through the two methods applications; both spatial analysis(Grid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본 연구는 공공재 성격을 가지고 있는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로서, 공공시설 입지시 효율성뿐만 아니라 형평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모델을 구축하고, 보다 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충청남도 금산군 문화시설의 최적입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입지결정인자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대적 가중치를 적용하기 위해 AHP를 적용하였다. 둘째,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시가화 구역을 추출함으로써, 실세계를 모델에 반영하였다. 셋째, 공공시설 입지분석을 위해 입지배분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시 불균등한 인구분포를 모델링에 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일반적 입지분석 기법인 그리드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두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실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 2004. GIS를 활용한 대전시 주유소 입지와 판매권역 분석. 한국GIS학회지 12(2):211-228.
  2. 김영제. 2004. GIS를 활용한 폐기물처리시설 입지분석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83쪽.
  3. 김재익, 여창환, 정현욱, 서안나. 2005. 도시 근린공공시설의 서비스수준의 공간적 격차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1):55-72.
  4. 김재익, 정현욱. 2001. 도시공공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8-20.
  5. 김황배, 김시곤. 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 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 26(3):386.
  6. 노수래. 2004. GIS 기법을 활용한 국.공립 보육시설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쪽.
  7. 박재홍, 김철홍. 2009. 복합공공문화시설의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2(2):211-223.
  8. 양병윤. 2004.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강원영동권역의 응급의료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쪽, 56-57쪽.
  9. 윤대식, 윤성순. 1998. 도시모형론. 홍문사. 576쪽.
  10. 이성용, 하창현. 2007. 도시계획시설의 입지선정기준 기초연구. 제주발전연구원. 13-26쪽.
  11. 이신훈. 1999. 공공시설의 입지특성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쪽.
  12. 이태관, 정현욱. 2003. GIS을 활용한 공공시설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처리학회지 11(1):19-31.
  13. 조대헌. 2004. 공간적 형평성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48:100.
  14. 허준, 장훈, 이현석. 2005. GIS 기법을 이용한 공공시설 입지분석 및 타당성 검토. 대한토목학회 25(2):325-329.
  15. ArcDoc. TM 한글Online 메뉴얼 ARC/INFO. ESRI and CADLAND.

Cited by

  1. 도시계획사업이 공간적 형평성에 미치는 효과 - GIS를 이용한 대전광역시 도로건설사업의 소득계층간 접근성 변화 분석 - vol.15, pp.2,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2.023
  2. 대규모 프로스포츠시설 입지에 따른 도시특성요인 비교분석 vol.16, pp.3,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712
  3. A Study on Developing Methodologies for Optimal Location Selection of Regional Logistics Complex vol.25, pp.4, 2017, https://doi.org/10.15735/kls.2017.25.4.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