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amera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the Opening Status of Saemangeum Sluice Gate

새만금 갑문 개폐 자동 영상 관측 시스템 개발

  • 김태림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
  • 박종집 (지오시스템리서치 해양환경팀) ;
  • 장성우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 Received : 2011.01.21
  • Accepted : 2011.03.02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opening status of Saemangeum sluice gate is an important factor to the coastal water qualities near Saemangeum dikes. The sluice gate opening information is important in analysing current velocity and water quality data measured at the Saemanguem observation tower as well as in determining boundary conditions of numerical simulation for coastal environment outside Saemangeum dikes. This study establishes unmanned camera monitoring system on Saemangeum observation tower using mini notebook and digital camera, and extracts information on the opening status from images automatically. Images are analysed using variance difference of images together with edge detection techniques in order to get correct information.

새만금 방조제 갑문의 개폐 상황은 새만금 인근 해역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갑문의 개폐 정보는 새만금 방조제 인근 해역의 해상 탑에서 이루어지는 수질 및 유속 자료의 분석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해양 환경에 대한 수치 모의시 중요한 경계 조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설치된 해상 관측 탑에 미니 노트북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무인영상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갑문의 개폐상황을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특히 영상의 분산도 차이를 이용한 방법과 경계선 검출 기술을 동시에 활용한 결과 정확하게 갑문의 개폐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소형. 2004. 비디오영상을 이용한 파랑특성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쪽.
  2. 김태림. 2006. 카메라 관측 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3차원 지형 관측. 한국해안.해양 공학회지 18(1):63-68.
  3. 신명호, 김창환. 2010. 새만금 배수갑문 수위조절 특성과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186-193.
  4. 한국해양연구원. 2002, 2001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사업보고서. 609쪽.
  5. Aagaard T., A. Kroon, S. Andersen, R.M. Sorensen, S. Quartel and N. Vinther, 2005. Intertidal beach change during storm conditions; Egmond, The Netherlands, Marine Geology 218:65-80. https://doi.org/10.1016/j.margeo.2005.04.001
  6. Alexander P.S. and R.A. Holman. 2004, Quantification of nearshore morphology based on video imaging, Marine Geology 208:101-111. https://doi.org/10.1016/j.margeo.2004.04.017
  7. Holand K.T., R.A. Holman, T.C. Lippmann, J. Stanley and P. Nathaniel, 1997. Practical use of video imagery in nearshore oceanographic field studies. IEEE journal of oceanic engineering 22:81-92. https://doi.org/10.1109/48.557542
  8. Ranasinghe R. G. Symonds, K. Black and R. Holman. 2004. Morphodynamics of intermediate beaches: a video imaging and numerical study. Coastal Engineering 51:629-655. https://doi.org/10.1016/j.coastaleng.2004.07.018

Cited by

  1.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ies of Public Health Nurses in Chungcheongnam-do vol.24, pp.1,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20
  2. 연안 환경 요소에 대한 지상 원격 관측 방법 고찰 - 마린 레이다와 카메라 시스템 관측을 중심으로 - vol.27, pp.4, 2011, https://doi.org/10.7780/kjrs.2011.27.4.403
  3. UML을 이용한 GIS기반 새만금 DIPSDRM 공법 모바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vol.16, pp.1,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