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for Church Library in Korea

국내 교회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연구

  • Received : 2014.03.09
  • Accepted : 2014.03.13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study the us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urrent church library services in Korea. 100 registered attendees and 10 priests, from three different group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 Three groups - the one with its own library, another with a community type library, and the other without church library - were compared.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executed, and the questionnaires of the survey for analysis in this research contained demographic information, usage of church library, mission and function of the church library, library space, librarians, collection, community services of the church library, and perception on the effect of the library's community service on a specific religious activity (evangelis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n church library service was relatively high (3.5 point on average, 5-point Likert scale),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using the church library service was relatively low. The study also found that users perceived the library as a community library or archives of the church, and study rooms and reading rooms as its major functions. It reveals that religious materials were preferred as the church library collection and the service of the church library to its community was perceived as being a effective and positive factor on evangelism. Applying church library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religion and effective results of evangelism.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회도서관 이용자인 성도와 목회자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의 도서관이 있는 교회, 그리고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 등을 선정하고, 응답자는 해당 각 교회의 성도 100인을 무작위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교회의 목회자는 10인을 추가하여 각 교회마다 110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에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이용자의 인식 파악을 위해서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며, 도서관 역할에 대해서는 소규모 마을문고나 교회의 문서관, 기능에 있어서는 열람실, 독서실, 독서지도 등을 지적하였다. 사서의 도움 만족도나 필요성에 있어서는 리커트 척도의 3.5(5점 척도) 이상으로 긍정적이었다. 자료 구성은 목회자와 성도에게 필요한 종교관련 도서 위주를 선호하고,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찬성하며, 전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이 없는 교회는 성도의 종교지식 함양과 전도의 효과를 위해 교회도서관 설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지원. 2005. 교회도서관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 조사. 석사학위논문. 천안대학교 문헌정보대학원, 문헌정보 전공.(Kwak, Ji Won. 2005. A Study on Pastos' Awareness Concerning a Church Library. Thesis. Cheonan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Library & InformationScience Major.)
  2. 김남석. 1973. 교회도서관의 필요성. 도협월보, 14(2): 11-16.(Kim, Nam-Seok. 1973.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Church Library." KLA bulletin,14(2): 11-16.)
  3. 김명옥. 2000a. 교회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1(1): 145-173.(Kim, Myung-Ok. 2000a.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hurch Library." Journal of the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1(1): 119-173.)
  4. 김명옥. 2000b. 교회도서관 규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4): 285-312.(Kim, Myung-Ok. 2000b.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Church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lence, 31(4): 285-312.)
  5. 김미경. 2004. 정보화 시대에서의 교회도서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Kim, Mi-Kyung. 2004. A Study on Paradigm of Church Library in the Age of Information.M.A. Thesi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Education of Librarianship.)
  6. 김창선. 1978. 한국교회도서관의 진로. 도협월보, 19(3): 13-19.(Kim, Chang-Sun. 1978. "The Ministry of Library in Korean Church." KLA balletin, 19(3): 13-19.)
  7. 김희진. 2013. 운영자의 현황인식 분석을 통한 교회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Hee Jin. 2013. A Study on Improvement Program by Analysis upon Operators' Recognitionon Present Situation of Church Library Operation. M.A. Thesis. Kyonggi University,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8. 송성수. 2009. 교회교육과 교회도서관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Song, Seong Soo. 2009. A Study of New Paradigm on Church Education and Church Library.M.A. Thesis.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Education.)
  9. 염혜선. 2005. 한국교회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전공.(Yeom, Hye Sun. 2005. A Study on Revitalization Program of the Korean Church Library. M.A.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10. 이명희. 2010. 한국교회도서관의 운영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33-48.(Lee, Myeong-Hee. 2010.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Korean Church Libraries and Strategiesfor Revit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21(4): 33-48.)
  11. 장현운. 1991. 우리나라 교회도서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역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Chang, Hyen-Woon. 1991. The Research to the Development Plan of the Library. M.A. Thesis.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ibrarian Education.)
  12. 정진식. 1988. 한국교회도서관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도서관, 43(1): 44-62.(Chung, Jin-Sik. 1988. "A Study of Korean Church Library: A Suggest Formula for Future Development."Doseogwan, 43(1): 44-62.)
  13. 조용훈. 2013. 지역교회 문화사역 현실과 미래적 과제에 대한 연구. 장신논단, 45(2): 145-170.(Jo, Yong Hun. 2013. "A Study on the Cultural Ministry of the Local Churches." PresbyterianForum, 45(2): 145-170.)

Cited by

  1. 교회도서관 자원봉사 운영 개선 방안 연구 vol.26, pp.1,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