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s i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공간변화 양상 및 특성 연구

  • 이경미 (국립수목원 정원연구센터) ;
  • 배준규 (국립수목원 정원연구센터) ;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2.08.19
  • Accepted : 2022.09.21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tracked the changing proces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by using the form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gardens as the prototype of each garden, investigated the spatial value of the garden, and discussed the historical spatial value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terms of inheritance and change of traditional gardens. To this end, targeting on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in Gangwon-do, which are in danger of preserving their garden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dismantled, the patterns of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their characteristics and valu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patial change of the garde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unregistered private house gardens were able to inherit and maintain the form of a traditional garden, being located in a clan village. The garden space was divided by the influence of Confucian philosophy, and the components of the garden, tree species and planting methods appear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use of garde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tatus hierarchy appeared. Second, space reduction was continuously confirmed at four target sites.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building of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reduced spaces are garden spaces, and part of the garden was attributed to the state due to the new road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ird, eight old big trees over 100 years old were identified in three of the four target sites, and the garden components such as stone water tanks, quickset doors, and pond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heriting the historicity of the traditional garden.

본고는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조영 당시 형태를 각 정원의 원형으로 삼아 미등록 민가정원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여 정원의 공간적 가치를 규명하고 전통정원의 계승과 변화라는 관점에서 미등록 민가정원의 역사공간적 가치를 논구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지정문화재의 해제 수량 증가로 인해 정원의 보존 또한 위기에 처해 있는 강원도의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정원의 공간변화를 통하여 미등록 민가정원의 양상을 규명하고 그 특성 및 가치를 천착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은 집성촌 지역에 입지하여 전통정원의 형태를 계승 유지할 수 있었다. 정원공간은 유교적 철학의 영향으로 공간이 구획되고 정원의 구성요소와 수종 및 식재방식이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신분적 위계에 따른 정원 구성요소의 사용이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 4개소에서 공간의 축소가 지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축소된 공간들은 정원공간들로서 도로의 신설과 환경개선 사업으로 정원의 일부가 국가로 귀속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대상지 4개소 중 3개소에서 수령 100년 이상의 노거수 8주가 생육하고 있고 정원 구성요소들은 한중일 삼국에서 조선시대와 동시대에 사용되었던 석수조, 취병, 지당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어 전통정원의 역사성을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계복, 이원호(2014).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한국전통조경학회. 32(3): 10~20.
  2. 진혜영 외 3인(2019). 문화재 미지정 민가 정원의 유산적 가치 및 조영특성.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Number. 17: 1~10.
  3. https://map.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