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Online Biology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e학습터 플랫폼을 활용한 원격 생물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01.02
  • Accepted : 2021.01.14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nline biology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Sample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95 sixth-grade students of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learning was conducted for 11 times over a mon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ired t-t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found. After conducting the online biology learning science related attitudes scores of students generally declined. "The boredom caused by simply watching online biology contents" is the decisive cause of the decline in science-related attitude scores analyzed through interviews. Second, in ANCOVA, according to 'levels of meta-cogn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related attitudes according to 'adoption of scientific attitudes'. Students of high meta-cognition type showed a greater decline in scores than students of low meta-cognition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online biology education and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re discussed.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광민(2010). 사이버 가정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숙희(2008).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실시간 PBL 사이버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1), 51-72.
  3. 교육부(2020).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실시. 교육부보도자료, 2020년 3월 31일.
  4. 권혜주(2020). e학습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온라인 수업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 초등과학교육, 39(4), 522-532.
  6. 나일주, 한안나(2002).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e-learning 인식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8(2), 115-134.
  7.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초등 원격수업 사례로 디자인 하다.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8. 신동로, 서길주(2001). 교사의 교정적 피드백이 자기 효능감 향상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연구, 19(1), 319-342.
  9. 신영준, 김진성, 이성희, 하지훈(2016).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과 생명 영역수업의 효과 탐색. 생물교육, 44(1), 60-7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60
  10. 이성주, 전희정, 나재희(2013). 온라인 학습에서 콘텐츠의 제시유형과 제시수준, 메타인지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6), 71-81.
  11. 이혜란, 이연숙(2009). 교사의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 학습 효과 비교. 가정과교육학회지, 21(2), 139-158.
  12. 정용운(2011). 과학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온라인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교사 스캐폴딩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은혜, 정은영(2019). 중학교 과학 '광합성' 단원에서 거꾸로 수업의 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22(2), 243-267. https://doi.org/10.22799/JCE.2019.22.2.010
  14. 주영주, 하영자, 김은경, 유지원(2010).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2), 175-187.
  15. 하지훈, 방운배, 이성희, 신영준(2016). 초등학교 계절의 변화 수업에서 학습안내 제시물을 활용한 거꾸로 수업의 효과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0(3), 238-253. https://doi.org/10.21796/jse.2016.40.3.238
  1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0). e학습터 소개. 2020년 11월 1일 인출. from: https://cls1.edunet.net/cyber/cm/mcom/intro.do
  17. Boston, W. E. & Ice, P. (2011). Assessing retention in online learning: An administrative perspective. Online Journal of Distance Learning Administration, 14(2), 1-11.
  18. Brown, A.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r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F. Reiner & R. Kluwe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pp. 65-116). Hillsdale, NJ: Erlbaum.
  19. Driscoll, M. P. (2005).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Boston, MA: Allyn & Bacon.
  20.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21. Fraser, B. J. (1978).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Education, (62), 509-515.
  22. Paris, S. & Winograd, P. (1990). How metacognition can promote academic learning and instruction. In B. F. Jones & L. Idol (Eds.), Dimensions of thinking and cognitive instruction (pp. 15-5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3. Sperling, R. A., Howard, B. C., Miller, L. A. & Murphy, C. (2002). Measures of children's knowledge and regulation of cogni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7(1), 51-79. https://doi.org/10.1006/ceps.2001.1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