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hancing the Role of Science Museums to Promote Community Cooperation-Based Science Culture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 제고

  • Received : 2021.07.23
  • Accepted : 2021.08.27
  • Published : 2021.08.30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the new role of science museums. The practitioners from seven domestic science museums and four overseas on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I identified what kind of science culture programs there are, if those programs were successful or not, and if unsuccessful, what kind of improvements can be made to be successful. The participating practitioners in science museums also developed an ideal and realistic community cooperation-based science culture programs and I explored the role of a new science museum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current science culture programs, the most successful or not was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according to public relations, an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were mentioned as improvements. For a successful community cooperation-based science and culture program, active promotion, pre-operation team, dedicated personnel, open mind, and same purpose of other institutions, the will of both institutions, and economic support sponso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case of the domestic science museums, the actual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showed that a successful community based program must have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in the same region, win-win connections, the dedicated human resources, and that each science museum's strengths were maximized. The science culture programs in the 21st century will enhance the innovative role of science museums making the use of local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 reflecting the needs of citizens, taking the initiative in the community, fostering cooperation-base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communicating smoothly with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이 연구는 과학관의 새로운 역할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국내에서는 7개, 국외에서는 4개의 대표할만한 과학관의 과학문화 실무자들이 참여하여 설문에 응답하였다. 우선 과학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과학문화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는지, 그 프로그램이 성공적인지 실패인지, 실패라면 실패의 개선책이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과학관의 이상적이고 현실적인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하였고 이로 인한 새로운 과학관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현재 실시하는 과학문화 프로그램의 경우는 성공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홍보에 따른 관람객들의 참여가 가장 큰 변수였으며, 개선사항으로도 홍보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성공적인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 사전 운영팀, 전담 인력, 개방적 생각, 목적이 같은 타 기관의 선정, 양쪽 기관의 의지, 경제적인 지원 스폰서를 중요한 변수라 하겠다. 국내 과학관의 경우, 실질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한 결과 성공적인 협력기반 프로그램은 같은 지역의 타기관과의 협력, 서로 상생(win-win)연계, 그리고 이를 담당하는 전력인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고, 참여하는 과학관의 지역적 강점을 최대한 살린 것임을 보여주었다. 21세기에 기대되는 과학문화 프로그램은 지역 인적 물리적 인프라를 최대한 사용하고,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사회에서 주도적으로 거점 역할을 하고, 협력기반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정부나 그 지역의 지자체와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는 과학관에 의해 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 from Chosun University (2018).

References

  1. 권성훈(2013a). 과학관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현장조사보고서, 25, 국회입법조사처.
  2. 권성훈(2013b). 과학기술문화정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이슈와 논점, 641, 국회입법조사처.
  3. 권영일(2019). 미국 영국 과학대중화의 원동력은? The Science 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
  4. 김문조(2008). 고객지향 프로그램 개발, 운영을 통한 과학관 활성화 전략연구. 정책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5. 박영신(2015).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98-1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98
  6. 박영신, 문공주, 황요한(2019).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대한 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75-291.
  7. 박영신, 유지연(2017). 국내과학관 전시물에 반영된 본성 (NOS) 특징 분석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및 이의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04-121.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04
  8. 박영신, 이정화(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881-991. https://doi.org/10.5467/JKESS.2011.32.7.881
  9. 박정의, 김형훈(2012). 과학문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1, 61-71.
  10. 손향구, 박진희(2016). 협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부주도 과학문화 사업의 한계와 대안. 한국콘텐츠학회지, 16(11), 716-730.
  11. 송성수(2000). 선진적 과학기술문화사업의 추진방향. 정책자료, 1-2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송성수(2009). 과학기술과 문화가 만날 때: 과학문화론탐구. 서울: 한울.
  13. 송성수(2010). 과학관의 사례와 발전방향. 정책자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송우영(2014). 전국 과학관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정책연구보고서.
  15. 송우용(2016). 전국과학관 연계활성화 및 지원전략 마련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정책연구.
  16. 송위진(2011). 과학문화정책의 전환: 과학대중화에서 시민참여로. Issues & Policy, 1-19,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신영준, 신명경, 전영석, 정광훈, 임두원, 문만용, 임지은, 이봉우(2013).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59-37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59
  18.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19. 이영희(1997). 과학기술 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6(1), 204-229.
  20. 이인옥(2010). 한국에 있는 세계수준의 과학관, 문제점은?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s://if-blog.tistory.com/936
  21. 이재환(2007). 전국 과학관 협회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방안. 과학기술부 정책연구보고서.
  22. 이주현(2006). 국내외 기술문화활동의 동향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한국산업기술재단.
  23. 장재열(2013). 국립과천과학관 과학문화사업 발굴 및 추진방안 연구. 국립과천과학관 보고서, 한국과학언론인회.
  24. 현혜정, 문형욱(2013). 성인의 과학문화참여 확산을 위한 과학관 전시 연계 융합프로그램 방향 제안. 한국과학예술포럼, 13(1), 429-439.
  25. Erickson, M. (2016). Science, culture, and society: Understanding science in the 21st century. John Wiley & Sons, ISBN 9781509503247.
  26. Falk, J. H. (2016). Identity and the museum visitor experience. Oxford, UK: Routledge.
  27.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Lanham, MD: AltaMira Press.
  28. Falk, J. H., & Dierking, L. D. (2013). The museum experience revisited. Walnut Creek, California: Left Coast Press Inc.
  29.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s, pedagogy, performance. Routledge Press, London and New York.
  30. Macdonald, S. (1998). The politics of display: Museums, science, cul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