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몸-마음의 영성과 명상수련의 치유

Spirit of Body-Mind and Meditative Healing of Self-Training In Donguibogam(東醫寶鑑)

한국교육사학
약어 : HKE
2014 vol.36, no.1, pp.211 - 234
DOI : 10.15704/kjhe.36.1.201403.211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학회
302 회 열람

『동의보감』에 의하면 인간 심신(心身)은 정(精)․기(氣)․신(神)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은 생명의 원천적 토대이고 기는 활동하고 변화시키는 에너지인 동시에 지각하는 능력, 혹은 감정의 의미를 지닌다. 신은 판단, 정신활동과 영성에 해당하며 몸을 주관한다. 동의보감 첫 장에 그려진 신형장부도(身形臟腑圖)는 동의보감의 근간을 드러내준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죽은 몸의 해부도가 아니라 생명이 활동하는 심신의 영성 상태를 표현하고 있고, 몸과 우주의 순환을 드러내고 있다. 동의보감은 사람이 16세가 되면 정기가 점차 소모된다고 말한다. 정욕의 과도한 해소, 보고 듣는 것,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모두 정기를 소모케 하고, 흩어지게 하는 원인이 된다. 동의보감은 불가(佛家)의 면벽(面壁)과 선가(仙家)의 좌관(坐觀), 이 모두가 기의 소모를 방지하고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수련법이라고 말하면서 ‘이도치병(以道治病)’, ‘허심합도(虛心合道)’, ‘정기신의 단련’을 통한 영성 도야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영성이란 노자의 ‘곡신불사(谷神不死)’와 ‘현빈(玄牝)’의 개념에서 이해될 수 있는데 여기서 영성이란 도와 합치된 마음의 차원뿐만 아니라 몸의 진신(眞身) 상태로서 정기신의 우주적 순환을 일컫는다. 몸-마음의 영성, 치유, 자기도야는 분리될 수 없는 관계이다. 현대의 인간형성 교육은 심신을 통합적으로 기르고 마음과 몸을 종합하여 교육을 이해하는 관점이 미흡한데 동의보감의 몸-마음의 영성적 지향은 기존교육론에 새로운 지평을 넓혀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1610 Donguibogam written by Jun Heo(許浚), has been regarded as a unprecedented tex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text had been cited for more than 230 documents were selected. Since the compilation of the text was published five times from the government office of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in the Joseon Dynasty. Donguibogam was widely known in China. When Chinese ambassadors came to Korea they want to gain just one of the things that was a Donguibogam. Donguibogam accepted Taoistic books in two ways. In a way in view of preventive medicine it, based on the books of nursing life, factually made use of life-nursing technique like the thought of Naedan(內丹). And in the other way in theoretical view, it applied Taoism to the basic theories like Cosmology, human Embriology, Physiology and Pathology. The Taoistic theory of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uan:三關), Three Danjeon(Samdanjeon:三丹田), and the theory of cultivating body-mind are very significant and to be the core of Donguibogam. Jun Heo centered Three Precious(三要: Essence, Vital Energy and Sprit) and human, life, and cosmology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Donguibogam inherent human movement and changes of cosmic energy, and spirituality as the rise of the mental are associated with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Sam-gwan:三關), and Three Danjeon(Sam-danjeon: 三丹田). There are Sam-gwan in the spine. The back of the head is Okchim-gwan(玉枕關). Okchim-gwan is connected to the mental activity of the brain. Both sides of the spine are Nokno-gwan(轆轤關). And the bottom of the spine is the Miryu-gwan(尾閭關). Also there are 3 parts in Sam-danjeon. The brain called Yihwangung(泥丸宮) is upper Danjeon(上丹田), the pit of the stomach called Ganggung(絳宮) middle Danjeon(中丹田), lower Danjeon(下丹田) 3 inches down the navel. Regarding their functions, lower Danjeon stores Essence(精), middle Danjeon stores Sprit(神), upper Danjeon stores Vital Energy(氣). Through them it explains the unity of the body and soul, matter and spirit, and their power of circulation is associated with maturity of the human that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The mind is the body arises from matter. If life is not comfortable and mind is not stable through meditation, the disease occurs in scattered Vital Energy(氣). To eat right foods properly, to breathe properly, creating a good environment and a personal relationship, to do the natural act our way without consuming the Essence-Energy(精氣) and Essence-Spirit(精神), to stopping the movement of mind, this all will bring up meditative healing and self training. Modern education of human formation is insufficient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by integrative views and to understand the education with holistic attempts. But the Donguibogam leans towards spirituality of body-mind and it can open the new horizons to modern schooling.

동의보감, 정기신, 삼단전, 삼관, 신형장부도, 허심합도, 영성, 명상, 치유적 자기도야
Donguibogam(東醫寶鑑), Jun Heo(許浚), Three Precious(三要), Three Guan(三關), Three Danjeon(三丹田), Sprit(神), Vital Energy(氣), Essence(精), meditative healing, self training

  • 1. [단행본] 고미숙 / 2013 /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 북드라망
  • 2. [학술지] 김남일 / 2010 / 東醫寶鑑 의 몸 인식에 대한 一考察 / 인문학연구 (18) : 39 ~ 18 kci
  • 3. [단행본] 김종우 / 2006 / 마음을 치유하는 한의학 정신요법 / 학지사
  • 4. [학술지] 김태우 / 2007 /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와 정기신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10 (1)
  • 5. [단행본] 김호 / 2000 /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 일지사
  • 6. [단행본] 대한동의생리학회 / 1993 / 東醫生理學 / 경희대학교출판국
  • 7. [단행본] 마르셀 그라네 / 2010 / 중국사유 / 한길사
  • 8. [학술지] 성민규 / 2008 / 身形藏府圖에 관한 비교 연구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21 (3) : 165 ~ 3 kci
  • 9. [단행본] 신동원 / 1999 /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 들녘
  • 10. [단행본]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 2013 / 마음의 인문학 동서양의 마음 이해 / 공동체
  • 11. [단행본] 유도곤 / 1996 / 東醫生理學講義 / 원광대학교 출판부
  • 12. [단행본] 유장림 / 2009 / 講說1 황제내경 / 청홍
  • 13. [학술지] 이석명 / 2006 / 『老子道德經河上公章句』의 長生不死 사상과 그 道敎的 萌芽 / 중국학보 / 53 : 343 ~ kci
  • 14. [단행본] 이원국 / 2006 / 내단 : 심신수련의 역사 1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15. [학술지] 이정원 / 2012 / 東醫寶鑑의 명상 修行에 대한 고찰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25 (3) : 149 ~ 3 kci
  • 16. [단행본] 이제마 / 2001 / 新四象醫學論 / 도서출판 木과 土
  • 17. [단행본]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2005 / 사상의학
  • 18. [학술지] 정우진 / 2012 / [동의보감] 신형장부도(身形藏府圖)의 지층발굴 -오장(五藏)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 범한철학 / 64 (1) : 57 ~ 1 kci
  • 19. [단행본] 陳大 / 2001 / 各家學說 / 대성의학사
  • 20. [학위논문] 한봉재 / 2010 / 『동의보감』의 도상에 관한 연구
  • 21. [단행본] 허준 / 2005 / 東醫寶鑑(內景․外形篇) / 여강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