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The Policy of Sungkunkwan Examinations in the period of King Youngjo's reign(1724-1776)

한국교육사학
약어 : HKE
2015 vol.37, no.3, pp.75 - 102
DOI : 10.15704/kjhe.37.3.201509.75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학회
177 회 열람

본 연구는 영조 대 성균관 과시정책의 추진과정을 3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한 내용이다. 영조는 경화 사자가 성균관의 중심으로 되고, 성균관 유생들이 경학과 제술을 겸비한 인재로 성장하는 것을 성균관 개혁의 목표로 삼았고, 이를 위해 성균관 과시를 중요한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의 정책(영조 즉위년-영조17년)은 과시의 기본규정을 변경하지 않고, 임금의 재량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강과 관련해서는 모든 거재생을 불시에 평가하는 도기전강을 주로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이 직접 시험을 관장하는 친림전강을 선호하였다. 절제와 관련해서는 거재생을 응시대상으로 하는 시험을 강화하고자 하였지만, 큰 효과는 얻지 못했다. 중기의 정책(영조 18년-영조 34년)은 과시규정을 대폭 개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태학유생원점절목」의 제정은 그 시발점으로서, 이 시기 정책의 주안점은 경화 사자를 성균관에 유입하는 데에 있었다. 원점유생 절제의 응시자격에 원점 50점을 부가한 것이나, 전강에 제술시험을 허용한 것은 모두 이와 관련되어 있다. 후기의 정책(영조 35년-영조 52년)은 「과폐이정윤음」을 통해 과거개혁과 연계하여 추진되었다. 이 시기 정책의 주안점은 유생들이 제술과 경학을 겸비하도록 하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성균관 과시는 모두 경학과 제술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정책은 6년 정도 추진되다가 영조 42년(1766) 「과폐이정윤음」이 철회됨으로써 이전의 제도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영조의 성균관 과시정책은 정조에게 계승되어 개혁정책의 중심모델이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process and the purpose of the policy of Sungkunkwan examinations in the period of King Yongjo's reign. King Yongjo made a great effort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students by Sungkunkwan examinations, especially Jeongang (Chinese classic test) and Jeolje (literature test). He pushed the policy by three s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licy of the first stage (1724-1741) was characterized as carrying new measures by his discretion without the change of the regulations. He tested the Chinese classic ability of all students at unawares in Jeongang and tried to limit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to the resident students in Jeolje. But the measures were not effective. The second stage policy (1742-1758) began by promulgating the resident rule of Sungkunkwan students. The rule included many provisions for the change of Sungkunkwan examinations. The purpose of the second stage policy was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by taking the noble class students in Sungkunkwan. The final stage policy (1759-1776) began by promulgating the royal commands about correcting the Imperial examination problem. The policy aimed at accomplishing his purpose that the noble class students took the lead Sungkunkwan and they developed his ability of Chinese classic and literature. But it stopped unexpectedly in 1766. Afterwards, the task of the reformation was handed over to King Jeongjo (1776-1800), the successor.

과시, 전강, 절제, 「태학유생원점절목」, 「과폐이정윤음」
Sungkunkwan examination (Seonggyungwan-Guasi, 成均館課試), Chinese classic test (Joengang, 殿講), literature test (Jeolje, 節製), the resident rule of Sungkunkwan students (Taehakyusaeng-Wonjeom-Jeolmok, 太學儒生圓點節目), the royal commands about correcting the Imperial examination problem (Gwape-Ijeong-Ynem, 科弊釐正綸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