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독일 교원양성체제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 계몽주의에서 20세기 후반까지 -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한국교육사학
약어 : HKE
2016 vol.38, no.1, pp.145 - 169
DOI : 10.15704/kjhe.38.1.201603.145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학회
128 회 열람

비교 교육의 관점에서 독일의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연구는 이미 국내에 적지 않게 소개되었다. 각 급 학교별 교사양성체제 뿐만 아니라, 특수교사나 각 교과별 교사양성제도의 특성에 관한 ‘특수화된 단일 연구주제’도 등장하였다. 이와 별도로 독일 교사양성제도를 역사적 근원에서 추적하려는 연구도 없지 않다. 특히 19세기 전후는 독일적 전형으로서 신(新)인문주의 교육이념이 고안, 실현된 독특한 시기이기에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비해 독일의 교사양성제도에 관한 일반사가 없다는 점은 이해하기 힘들지만, 이는 독일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 통일국가 형성의 지체와 지역적 편차로 인해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많은 반면, 전체를 개관하는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계몽주의 시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를 시기로 하는 일반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기부터 ‘학교조직의 차원에서 제도화된 학교제도가 본격적으로 진화하는 체제형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개관을 위한 합당한 기점(起點)으로 보인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이후는 신자유주의의 보편화 추세와 ‘볼로냐 프로세스’의 표준화 경향으로 인해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양성제도를 중심으로 기술하되, 여교사 양성이나 김나지움 교사의 특권화와 같은 주제도 아울러 다루었다. 독일 교사양성체제의 특이점은, 초중등 교원 사이의 양성과정 및 교사 신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상당히 이질적인 과정이었다는 사실과, 양성과정에서 교육학의 역할이 각 시대별로 다르게 규정되어왔다는 사실이다.

There have already been many articles which have covered a subject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from the comparative-educational viewpoints. Their perspectives are so various from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the different school types to the particular topics such as teachers' trai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and teachers' training according to subject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not a little researche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On the contrary it is more or less interesting that the general-historical researches are uncommon. But it has reasonable grounds: the delayed national unification in Germany and a deep gap between the German states(Bundesläner).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aims at a general-historical approach to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in Germany from the enlightenment to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nlightenment in the late of the 18th century is the proper starting point, as it sent out a signal that the institutionalized school system in the dimens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 originated the evolutional process of the system formation in earnest. The early of the 21th centur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is paper, as it requires an additional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eriod gives a rich demonstration of the generalization tendency of so-called new liberalism and the standardization one of the 'Bologna process'. This article describes the teachers' training system, and gives attentions to the schoolmistress training and the privileged status of the gymnasium teachers. The singular points of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are that the training process of elementary and gymnasium teacher have been differentiated considerably, and that the role of pedagogy in the training process have been defin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poches.

독일 교사양성제도, 계몽주의, 김나지움 교사, 인문주의 교육, 독일 여교사 양성
German teachers' training system, enlightenment, gymnasium teachers, humanistic education, German schoolmistress training

  • 1. [학술지] 권오현 / 2002 / 독일의 중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 연구 / 독어교육 / 25 : 1 ~ kci
  • 2. [학술지] 고은 / 2015 / 사범대학과 연계된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재구조화 및 개혁방안 - 볼로냐 프로세스 개혁 모델 분석을 바탕으로 - / 특수아동교육연구 / 17 (2) : 47 ~ 2 kci
  • 3. [학술지] 김기홍 / 2003 / 독일 직업학교 교사양성교육의 실태와 최근 개혁 동향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8 (2) : 27 ~ 2
  • 4. [학술지] 김도연 / 2011 / 독일 체육교사 양성 및 현직교육에 대한 고찰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18 (3) : 1 ~ 3 kci
  • 5. [학술지] 문성모 / 2010 / 독일 교원양성기관 부설학교의 역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비교교육연구 / 20 (4) : 77 ~ 4 kci
  • 6. [학술지] 문성윤 / 2010 / 독일과 미국의 중등교사 양성과정 비교 연구 / 교육종합연구 / 8 (2) : 158 ~ 2 kci
  • 7. [학술지] 유진영 / 2014 / 독일 김나지움 교사의 사회적 위상(19-20세기 초) / 한국교육사학 / 36 (1) : 115 ~ 1 kci
  • 8. [학술지] 유진영 / 2014 / 김나지움교사 양성제도의 형성 (19-20세기 초)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7) : 119 ~ 27 kci
  • 9. [학술지] 이동남 / 2003 / 한국과 독일의 초등음악교사 양성 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초등교육 / 14 (1) : 95 ~ 1
  • 10. [학술지] 정영근 / 1997 / 훔볼트의 프로이센 개혁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 / 15 : 127 ~
  • 11. [학술지] 정영근 / 2007 / 독일 중등교사 양성교육체제 개혁- 개혁의 내용과 평가 그리고 시사점 -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2 (2) : 143 ~ 2 kci
  • 12. [학술지] 조상식 / 2003 / 보편논쟁과 교육학-계몽주의와 신인문주의의 논쟁에 나타난 인간 주체형성의 문제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8 (1) : 47 ~ 1
  • 13. [학술지] 황연주 / 2010 / 독일의 초등 미술 교사 양성 과정에 관한 고찰 / 한국교원교육연구 / 27 (3) : 483 ~ 3 kci
  • 14. [단행본] 헬무트 단너 / 2004 / 독일교육학의 이해-정신과학적 교육학의 방법론 / 문음사
  • 15. [단행본] Bölling, R / 1983 / Sozialgeschichte der deutschen Lehrer / Vandenhoeck & Ruprecht
  • 16. [단행본] Elias, N. / 1968 / Über den Prozess der Zivilisation. Bde. I, II / Suhrkamp
  • 17. [단행본] Euler, P. / 1989 / Zur Betrachtung von F. I. Niethammers pädagogischer “Streitschrift” / Deutscher Studien Verlag
  • 18. [단행본] Frotscher, J. / 1997 / Volkschulleherausbildung in Dresden 1923-1931 / Böhla
  • 19. [단행본] Herrlitz, H. - G. / 1984 / Organisation, Recht und Ökonomie des Schulwesens / Klett-Cotta : 55 ~
  • 20. [학술지] Jacobi, J. / 1997 / Modernisierung und Feminisierung? Zur Geschichte des Lehrerinnenberufes / Zeitschrift für Pädagogik / 43 (6) : 929 ~ 6
  • 21. [단행본] Jeismann, K. E. / 1999 / Professionalisierung pädagogischer Berufe im historischen Prozess / Klinkhardt : 59 ~
  • 22. [단행본] Kleinau, E. / 1993 / Erträge der Frauenforschung für die Lehrerinnenbildung / Klinkhadt. S : 149 ~
  • 23. [단행본] Kuhlemann, E. M / 1992 / Sozialgeschichte des preußen Volkschulwesens 1794-1872 / Vandenhoeck und Ruprecht
  • 24. [단행본] Moeckel, A / 1998 / 100 Jahre Verband Deutscher Sonderschulen / Reinhardt
  • 25. [단행본] Müller, D. K. / 1987 / Datenhandbuch zur deutschen Bildungsgeschichte, Bnd. II: Höhere und mittlere Schulen, I. Teil: Sozialgeschichte und Statustik des Schulsystems in den Staaten des Deutschen Reichs, 1800-1945 / Vandenhoeck und Ruprecht
  • 26. [단행본] Reble, A / 1993 / Geschichte der Pädagogik / Klett-Cotta
  • 27. [단행본] Ringer, F. K / 1983 / Der Niedergang der deutschen Mandarine 1890-1933 / Klett Cotta
  • 28. [단행본] Sandfuchs, U / 1978 / Eine historisch-systematische Untersuchung am Beispiel der Lehrerausbildung an der Technischen Hochschule Braunschweig 1918 bis 1945 / Klinkhardt
  • 29. [학술지] Sandfuchs, U. / 1986 / Strukturwandel der Volksschullehrerausbildung 1927-1952. Das Beispiel Braunschweig / Braunschweigisches Jahrbuch / 67 : 141 ~
  • 30. [단행본] Sandfuchs, U. / 2004 / Handbuch Lehrerbildung / Klink Hard : 14 ~
  • 31. [단행본] Sauer, M. / 1998 / Vom “Schulerhalten” zum Unterricht. Preußische Volkschule im 19 / Böhlau
  • 32. [단행본] Tenorth, H.-E. / 1990 / Einführung in die Historische Pädagogik / Wissenschalftliche Buchgesellschaft
  • 33. [단행본] Terhart, E / 2000 / Abschlussbericht der von der Kultusministerkonferenz eingesetzten Kommission / Beltz
  • 34. [단행본] Titze, H / 1990 / Der Akademikerzyklus: Historische Untersuchungen über die Wiederkehr von Überfüllung und Mangel in akademischen Karrieren / Vandenhoeck & Ruprecht
  • 35. [인터넷자료] / Infoblatt: Lehramt am Institut für Pädagogik an der F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