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장애인의 손기능을 평가하고, 직업능력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검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신뢰도⋅타당도 검증을 위해 15세-55세의 비장애인 56명, 장애인 206명(지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3.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해서 반복측정 상관분석을 하였고, 민감도․특이도는 medcalc 프로그램 version 11.4.1을 사용하였고 ROC curves를 작성하여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퍼듀펙보드의 장애 예측 정도를 나타내었다. 준거 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존의 도구와 paird t-test 및 카이제곱(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모든 상관이 0.01 수준에서 유의미하고 검사 간 상관이 0.95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기존의 퍼듀펙보드와 검사 간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장애 예측 민감도와 특이도를 ROC curves를 사용해서 나타낸 결과 AUC 값이 0.886, 0.868로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작업표본검사 도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장애인 직업능력평가의 실질적인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장애인, 작업표본검사, 손기능, 신뢰도, 타당도

참고문헌(11)open

  1. [보고서] 강용주 / 2002 / 직업능력평가센터 현황과 방향

  2. [보고서] 강용주 / 2004 / 장애인 직업재활기관간의 직업능력평가체계 통합을 위한 실태조사

  3. [학술지] 김태규 / 2002 / 스크리닝 검사로부터 불량률 추정에 관한 연구 - 알려지지 않은 민감도와 특이도의 경우 - / 품질경영학회지 30 (1) : 9 ~ 151

  4. [단행본] 이경민 / 2008 / 작업치료사를 위한 직업재활 / 군자출판사

  5. [단행본] 이달엽 / 2001 / 직업평가의 이론과 실제 / 고용개발원 교육연수부

  6. [학위논문] 임승건 / 2011 / 한국형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개발과 신뢰도 및 타당도

  7. [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2011 / 2011 장애인 통계

  8. [학술지] 황희경 / 2003 / 손기능 관점에서 본 초등실과 수공노작의 교육적 가치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 (3) : 55 ~ 73

  9. [단행본] Exner C.E. / 2001 /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 mosby : 289 ~ 328

  10. [단행본] Proctor, R. W. / 2008 / Human factors in simple and complex systems, 2nd ed / CRC Press

  11. [학술지] Turvey. M. T. / 1990 / Coordination / American Psychologist 45 : 938 ~ 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