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스트릿 댄스가 국내에 유입이 된 초기에는 대중들이 스트릿 댄스에 관하여 좋지 않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 댄서들의 방송활동과 한류라는 이름의 세계적인 케이팝시장의 활성화로 인식이 변화하게 된다. 그 이후 전문학교들의 신설과 그리고 오디션 프로그램들의 발전으로 나타나게 된 ‘댄싱9’으로 인하여 스트릿 댄스가 문화를 향유하는 댄서들이외의 일반 대중들에게도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한 댄싱9의 촉매제 역할로 인해서 스트릿 댄스는 공연문화의 활성, 스트릿 댄스 교육의 전문화와 같은 발전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순기능뿐만 아니라 악용되는 계약조건이나왜곡된 교육과 같은 역기능적인요소들이 발생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기능을 감소시키고 순기능을 강화시키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첫째로 새로운 컨텐츠의 개발이다. 스트릿 댄스에 가장 중심이 되는 컨텐츠는 배틀행사와 퍼포먼스 행사이다. 이 두 가지 이외의 새로운 컨텐츠, 예를 들어 순수무용에서의 작품 활동과 같은 컨텐츠를 개발하여 ‘댄싱9’와 같은 또 다른 촉매제의 역할을 할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전문적인 교육의 확립이다. 교육시설들이 증대된 것은 확실하지만 그 안에서의 교육의 정확도는 아직도 보장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정확한 교육을 위한 전문인들을 양성하고 교육기관을 신설하여 교육에 힘을써야한다. 마지막으로 스트릿 댄스협회를 조직하는 것이다. 협회가 조직된다면 스트릿 댄스 대중화에 관련하여 행사 주최나 홍보물 제작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스트릿 댄스 대중화의 좀 더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스트릿 댄스, 댄싱9, 대중화, 교육, 스트릿 댄스 협회

참고문헌(11)open

  1. [학위논문] 강선구 / 2011 / 스트리트 댄스 변천과 현황 연구

  2. [학위논문] 박성진 / 2013 / 스트릿 댄스의 교육 현황 및 인식도 조사

  3. [학위논문] 배두호 / 2012 / 대구지역 거리공연예술의 현황 조사 및 발전방안

  4. [학술지] 안창용 / 2014 / 스트릿 댄서입문기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험적 분석 / 한국무용연구 32 (2) : 203 ~ 232

  5. [학술지] 이영희 / 2004 / 흑인 아담 / 백인 이브 : 바라카(Baraka)극에 나타난 성(性)과 인종차별 / 세계문학비교연구 11 : 167 ~ 184

  6. [학술지] 이지원 / 2014 / 리얼리티 서바이벌 「댄싱9」의 성공요인 분석과 발전방향 / 무용예술학연구 47 (2) : 185 ~ 211

  7. [학위논문] 최현준 / 2013 / K-Pop 열풍에 따른 한국 대중음악 발전 방안 연구

  8. [인터넷자료] / http://osen.mt.co.kr/article/G1109535191

  9. [인터넷자료]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684845

  10. [인터넷자료] /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415769

  11. [인터넷자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3702&cid=43938&categoryId=4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