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Expressive Activity

한국무용연구
약어 : -
2016 vol.34, no.3, pp.109 - 126
DOI : 10.15726/jkd.2016.34.3.006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연구분야 : 무용
Copyright © 한국무용연구학회
176 회 열람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표현활동교육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경험했던 난점을 살펴보고, 표현활동을 가르치기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교육용콘텐츠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표현활동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과 초등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결과, 첫째, 초등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난점으로 턱없이 부족한 시수와 수업 빈도, 표현활동을 위한 교육장소 미비, 교사 전문성, 교육프로그램, 교보재의 절대적인 부족, 결과물 보여주기식의 학예회 발표 및 대회 참가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표현활동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국가교육과정 및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시수 확보, 지역 및 학교협력을 통한 교육환경 마련, 교육대학교 연구소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초등교사의 표현활동 지도 전문성 개발이 요청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expressive ac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explored for possible improvements for effective teaching of expressive activity. Also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data collection included docum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Four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activity were lack of teaching time and educational space, sufficient teacher’s professionalism,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and result focused school arts festival. Second, improvements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activity were securement of teaching time in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arrangement 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program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초등학교, 표현활동, 무용교육, 초등교사, 교육 프로그램
elementary school, expressive activity, dance educ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al program

  • 1. [기타] 교육부 / 2015 / 체육과 교육과정 /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11]
  • 2. [학위논문] 김미경 / 2011 / 초등무용교육의 교과 내용 및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발전방향
  • 3. [학위논문] 노미현 / 2004 /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 4. [학술지] 박윤희 / 2014 / 무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2 (5) : 35 ~ 5 kci
  • 5. [학술지] 박은규 / 2006 / 초등무용교육 향상을 위한 고찰 / 문화예술교육연구 / 1 (2) : 97 ~ 2
  • 6. [학술지] 서예원 / 2013 / 초등무용교육의 전망과 과제 / 무용예술학연구 / 40 (1) : 89 ~ 1 kci
  • 7. [학위논문] 손은정 / 2009 / 초등 교사의 무용수업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 8. [학술지] 송미숙 / 2015 /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우리춤과 과학기술 / 11 (1) : 53 ~ 1 kci
  • 9. [학술지] 송미숙 / 2010 / 초등학교 표현활동 수업의 실태분석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3) : 321 ~ 3 kci
  • 10. [학위논문] 양옥경 / 2002 / 초등 무용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 11. [학술지] 이강순 / 2011 / 초등교사의 무용 활동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교육연구 / 6 (2) : 83 ~ 2 kci
  • 12. [학술지] 정희자 / 2011 / 초등교사의 무용교육에 대한 인식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16 (3) : 91 ~ 3 kci
  • 13. [학위논문] 최미애 / 2004 / 초등학교 교사의 무용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14. [학술지] 황경숙 / 2012 /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제자리 찾기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2) : 99 ~ 2 kci
  • 15. [학술대회] 황규자 / 2007 /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현황: 무용교과는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가? / 제4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16. [단행본] Glaser, B. G. / 1967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 Aldine Publishing Company
  • 17. [단행본] Patton, M. Q. / 1990 /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