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멜로드라마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낭만성을 기반으로 하는 멜로드라마로 재탄생될 수 있는지, 그 과정을 분석한다. 다큐멘터리와 멜로드라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첫째, ‘사랑’과 ‘이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 영화의 서사전개를 살펴본다. 이 영화는 ‘행복한 일상시퀀스’, ‘갈등시퀀스’, ‘죽음시퀀스’, 이 세 단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과정에서 ‘로맨틱 코미디’와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특징들이 나타난다. 둘째, 멜로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낭만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극미학적 장치’들을 짚어본다. <님아>는 편집, 인서트, 사운드 등을 이용하여 ‘사랑’, ‘자연’, ‘향수’와 같은 낭만적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한국 최루성 멜로드라마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죽음’과 ‘눈물’의 효과가 이 영화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자연의 풍경과 소리, 그리고 음악은 이 영화가 죽음과 눈물을 기반으로 한 최루성 멜로드라마로 변모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님아>가 멜로드라마를 따름으로써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받지만, 반면 멜로드라마가 가진 ‘내적인 정치성’까지 계승할 수밖에 없는 한계에 관해서도 짚어낸다.

키워드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다큐멘터리, 멜로드라마, 최루성 멜로드라마, 극미학적 장치, 대중성, 낭만성, 노년

참고문헌(47)open

  1. [단행본] 기이 고티에 / 2006 / 다큐멘터리, 또 하나의 영화 / 커뮤니케이션북스

  2. [단행본] 마르틴 하이데거 / 2006 / 존재와 시간 / 삼림출판사

  3. [단행본] 빌 니콜스 / 2006 / 다큐멘터리 입문 / 한울아카데미

  4. [단행본] 조르주 미누아 / 2010 / 노년의 역사 : 고대에서 르네상스까지 서양 역사에나타난 노년 / 아모르문디

  5. [단행본] 아르준 아파두라이 / 2004 / 고삐 풀린 현대성 / 현실문화연구

  6. [단행본] R. 알렌 / 1994 /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 나남

  7. [단행본] Christine Gledhill / 1987 / Home Is Where the Heart Is: Studies in Melosrama and the Woman’s Film / BFI

  8. [기타] Douglas Sirk / 1987 / Christian de Montvalon / Les mots du cinema

  9. [단행본] Jack C. Ellis / 1989 / The Documentary Idea: A Critical History of English-language Documentary Film and Video / Prentice Hall

  10. [단행본] Janet Walker / 1987 / Home is Where the Hear is Studies in Melodrama and the Woman Film / BFI

  11. [단행본] Linda Williams / 1998 / Refiguring American Film Genres: Theory and Histor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단행본] Patricia Aufderheide / 2007 / Documentary Film: A Very Shot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13. [단행본] Simone de Beauvoir / 1970 / La Vieillesse / Gallimard

  14. [학술지] 곽은희 / 2011 / 낭만적 사랑과 프로파간다 / 인문과학연구 36

  15. [학술지] 김기봉 / 2015 / 노년드라마와 카르페 디엠 / 드라마 연구 (45) : 5 ~ 28

  16. [학술지] 김정란 / 2013 / 보부아르의 󰡔조심스러운 나이󰡕에 나타난 노년의 문제 / 프랑스어문교육 (44) : 283 ~ 301

  17. [학술지] 김지나 / 2006 / 남성영화의 은밀한 멜로드라마 성(性) 연구-<우리형>, <와이키키 브라더스>, <주먹이 운다>, <8마일> / 씨네포럼 7

  18. [학술지] 김윤아 / 1999 / 「1960년대 초반 한국의 멜로드라마에 대한 비평적 쟁점들」을 다시 읽는다 / 시네포럼 (2)

  19. [학술지] 김태연 / 2007 / 멜로드라마, 그 끊임없는 상상력 / 공연과이론 (28)

  20. [학술지] 김홍중 / 2005 / 문화사회학과 풍경(風景)의 문제:풍경 개념의 구성과 그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 사회와 이론 (6) : 129 ~ 167

  21. [학술지] 김희선 / 2011 / 낭만적 자연시에 나타난 생태학적 영성과 자아인식 —소월과 워즈워스를 중심으로 / 동서비교문학저널 (25) : 47 ~ 80

  22. [학술지] 김훈순 / 2000 / 한국 멜로영화의 장르연구-관습의 반복과 변형 / 한국방송학보 14 (1)

  23. [학술지] 김훈순 / 2010 /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멜로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시리즈를 중심으로 / 미디어, 젠더 & 문화 (15) : 121 ~ 154

  24. [학술지] 맹수진 / 2015 / 산업화 시대의 미학적 무의식-흥행작 독립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욕망과 부인의이중구조 / 독립영화 (45)

  25. [학술지] 박우성 / 2012 / 한국영화에 투영된 타자화된 노인 -<워낭소리>와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중심으로- / 드라마 연구 (37) : 33 ~ 55

  26. [학술지] 변재란 / 2012 / 여성, 할머니 그리고 나이듦의 재현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 (4) : 108 ~ 118

  27. [학술지] 사미숙 / 2013 / 낭만적 사랑 사회에서 성노동의 문제 / 여성이론 (29)

  28. [학술지] 서정남 / 2007 / 신파적 서사 양식의 유입과 전개, 그리고 남북한 영화에서의 계승에 관한 연구 / 한국학논집 (34) : 141 ~ 178

  29. [학술지] 신원선 / 2015 /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에 구현된 삶과 죽음의 두 양상 / 인문과학연구논총 36 (3) : 471 ~ 503

  30. [학술지] 정지용 / 2009 / 낭만주의적 풍경의 탄생과 해체 - 루소와 플로베르를 중심으로 - / 프랑스문화예술연구 27 : 555 ~ 582

  31. [학술지] 조은선 / 2007 / 전후 한국 멜로드라마 담론을 통해 본영화적 근대성과 근대적 여성상 / 문학과 영상 8 (3) : 231 ~ 252

  32. [학술지] 조흡 / 2015 / <님아 그 강을 건너지마오>: 새로운 가족으로 가는 길 / 대한토목학회지 63 (5)

  33. [학술지] 진영복 / 2012 / 자기 개발의 서사와 미적 낭만성-노자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28) : 7 ~ 39

  34. [학술지] 연점숙 / 2009 / 페미니즘과 노년차별: 페미니즘 안팎의 타자, 노년여성 / 영미문학페미니즘 17 (1) : 107 ~ 129

  35. [학술지] 유지나 / 1997 / 한국 멜로드라마, 원형과 의미작용 연구-낡은 것과 새로운 것 사이 틈새, <미워도 다시 한번>과 <아낌없이 주련다> / 영화연구 (13)

  36. [학술지] 이다운 / 2011 / 멜로드라마의 관습적 장르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현대문학이론연구 (45) : 327 ~ 343

  37. [학술지] 이명인 / 2002 / 경계에 서 있는 독립다큐멘터리- ‘2002 인디다큐페스티벌’ 신작선을 중심으로 / 독립영화 (14)

  38. [학술지] 이순진 / 2004 / 한국영화사 연구의 현단계-신파, 멜로드라마, 리얼리즘담론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12)

  39. [학술지] 이승은 / 2010 / 한국문학 ‘읽기’에서의 ‘낭만주의’ 재검토 / 국제어문 (48) : 209 ~ 244

  40. [학술지] 이승희 / 2002 /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1910년대 신파극을 중심으로 / 한국극예술연구 (15) : 93 ~ 129

  41. [학술지] 이현국 / 2011 / <춘향전>의 멜로드라마적 양식 원리와 그 토대 - <춘향전>의 인기와 흥미의 본질 탐구를 목적으로 - / 어문학 (113) : 225 ~ 269

  42. [학술지] 하형주 / 2011 / 프랑스 희곡에서 형상화된 ‘노년’의 의미에 대한 고찰 / 드라마 연구 (35) : 87 ~ 110

  43. [학술대회] 박유희 / 2005 / 한국전쟁과 멜로드라마의 변화- 『자유부인』을 중심으로 / 문학과영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44. [기타] Steve Neale / 1986 / Melodrama and Tears / Screen

  45. [인터넷자료] / KOFIC 영화진흥위원회

  46. [인터넷자료] / 미디어스

  47. [인터넷자료] / 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