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1960년대 공보부가 기획하고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문화영화를 젠더 중심으로 고찰해 이 시기 가족-국가의 시각문화 구조와 작동방식을 밝혀 한국 사회를 살핀다. 특히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 후 제작된 1960년대 문화영화에 집중한다. 이 시기는 ‘혁명정부’가 등장하면서 이승만, 장면 대통령 정권을 정치⋅사회⋅경제적 혼란기로 규정하고 남성-국민 중심으로 조국근대화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여성의 위치, 특히 여성의 자유를 재조정했던 때였다. 이제 여성에게는 근대적 현모양처로 가정관리의 혁명을 주도하는 한에서, 또 국가경제의 근간이 되는 비상비군의 역할에 한한 자유만이 허가된다. ‘혁명정부’는 집권 초기부터 매체의 공보 선전 효과에 눈을 뜨고 있었는데, 국민 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고 문맹률이 높았기 때문에 영화는 당시 대중에게 가장 파급력 있는 매체로 여겨졌다. 국립영화제작소가 5⋅16 군사정변 직후 공보부 산하에 설치되면서, 정부의 시책을 착실히 국민에게 전파했다. 이런 이유로 이 글에서는 해당 시기 여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국민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동원되며 국가에 협력하도록 호출되는지, 또 다른 한편으로는 비가시화되는지를 문화영화를 중심에 두고 분석한다. 이 글에서는 1960년대의 문화영화들 중 여성이 주도적으로 서사를 이끌며 여성을 수신자로 하는 문화영화들, 특히 사적 영역에 머무는 여성들이 도시 중산층 주부로 등장해 가족계획 같은 신생활재건운동을 주도하고, 농어촌에서 절약과 저축, 부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가정 경제와 국가 경제를 책임지는 주체로 재현되는 텍스트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1960년대 이들 문화영화에서 가족-국가의 이데올로기를 여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체현하도록 가시화되는지, 여성의 자기 동원과 자아실현 모순 사이의 갈등에서 혹여 균열 지점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면서 1960년대 가족-국가의 젠더화된 시각장과 문화정치를 조망했다.

키워드

가족-국가, 국립영화제작소, 여성 재현, 문화영화, 현모양처

참고문헌(49)open

  1. [단행본] 고황경 / 1963 / 한국농촌가족의 연구 / 서울대학교 출판부

  2. [단행본] 공임순 / 2009 / 민족과 국민, 정체성의 재구성 / 혜안

  3. [단행본] 권보드래 / 2009 /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1950년대 문화의 자유와 통제 / 동국대학교출판부

  4. [단행본] 김경일 / 2004 /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 푸른역사

  5. [단행본] 김득중 / 2007 /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 1950년대 반공⋅동원⋅감시의 시대 / 도서출판선인

  6. [단행본] 김소연 / 2003 / 매혹과 혼돈의 시대 / 도서출판소도

  7. [단행본] 루스 배러클리프 / 2017 / 여공문학 : 섹슈얼리티, 폭력 그리고 재현의 문제

  8. [단행본] 미셀 푸코 / 2009 / 성의 역사 : 앎의 의지 / 나남출판사

  9. [단행본] 배은경 / 2012 /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여성 모성 가족계획사업 / 시간여행

  10. [단행본] 아네트 쿤 / 2001 / 이미지의 힘 / 동문선

  11. [단행본] 이이효재 / 1986 / 분단시대의 사회학 / 한길사

  12. [단행본] 이임하 / 2004 /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 서해문집

  13. [단행본] 이임하 / 2010 /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 책과 함께

  14. [단행본] 이재경 / 2010 / 국가와 젠더 / 한울아카데미

  15. [단행본] 이재경 / 2015 / ‘조국근대화’의 젠더정치 / 아르케

  16. [단행본] 이하나 / 2013 / 국가와 영화 / 혜안

  17. [단행본] 이하나 / 2013 /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1948~1968 / 푸른역사

  18. [단행본] 이혜숙 / 2016 / 국가와 여성정책 / 다산출판사

  19. [단행본] 임지현 / 2010 / 대중독재와 여성 / 휴머니스트

  20. [단행본] 주유신 / 2001 / 한국영화의 근대성 / 도서출판소도

  21.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14 / 지워진 한국영화사 / 한국영상자료원

  22. [단행본] 허은 / 2008 /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3. [학술지] 공영민 / 2011 / 1950년대 한국영화와 영화과의 역할: 영화과장 이성철의 구술사례를 중심으로 / 영상예술연구 (18) : 125 ~ 154

  24. [학술지] 김수진 / 2008 / 전통의 창안과 여성의 국민화: 신사임당을 중심으로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0) : 215 ~ 255

  25. [학술지] 김은경 / 2009 / 1950년대 신생활운동 연구 - 가정개량론과 소비통제를 중심으로 - / 여성과 역사 (11) : 203 ~ 240

  26. [학술지] 김은하 / 2006 /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 여성문학연구 (16) : 177 ~ 209

  27. [학위논문] 金在雄 / 1989 / 韓國 文化映畵의 諸問題: 製作과 流通을 中心으로

  28. [학술지] 박선영 / 2017 / 1960년대 초 국립영화제작소의 ‘문화’와 ‘영화’: 군사정권의 공보정책과 문화영화 / 이화사학연구 (54) : 311 ~ 344

  29. [학술지] 변재란 / 2012 / 대한뉴스, 문화영화, 근대적 기획으로서의 ‘가족계획’ / 영화연구 (52) : 207 ~ 235

  30. [학술지] 서연주 / 2007 / 1950, 1960년대 여성잡지 여원의 문화담론 / 여성문학연구 (18)

  31. [학술지] 이길성 / 2015 / 해방 직후 뉴스문화영화의 상영 연구 / 영상예술연구 (27) : 9 ~ 32

  32. [학술지] 이상록 / 2008 / 안정⋅발전⋅번영 이미지의 재구성 : 1960~1970년대 <문화영화>에 재현된 개발주의와 반공주의 / 역사와 문화 (15)

  33. [학술지] 이순진 / 2010 / 한국전쟁 후 냉전의 논리와 식민지 기억의 재구성 : 1950년대 문화영화에서 구축된 ‘이승만 서사’를 중심으로 / 기억과 전망 (23) : 70 ~ 105

  34. [학위논문] 李洪宰 / 1968 / 公報活動을 위한 政府 映畵製作企劃의 實態

  35. [학위논문] 李忠稙 / 1985 / 韓國의 文化映畵에 관한 硏究

  36. [학술지] 위경혜 / 2010 / 한국전쟁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 / 대중서사연구 (24) : 337 ~ 364

  37. [학술지] 함충범 / 2013 / 박정희 정권기 국립영화제작소에 대한 연구: 1960년대 한국영화계의 시대적 특수성 및 역사적 함의와 더불어 / Oughtopia (오토피아) 28 (2) : 185 ~ 209

  38. [학술지] 함충범 / 2014 / 1960년대 초 한국 뉴스영화와 문화영화에 관한 연구 (1961~1963) -국립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 (57) : 183 ~ 208

  39. [학술지] 허은 / 2003 / ‘5⋅16군정기’ 재건국민운동의 성격 / 역사문제연구 22

  40. [기타] / 동아일보

  41. [기타] / 싱글리스트

  42. [기타] / 조선일보

  43. [기타] / 한국일보

  44. [인터넷자료] Richard Edwards / A partial list of educational, instructional, and documentary films treating women’s roles, problem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45. [기타] / 1958 / BOX NO. P-90 Asian Seminar on Family Life and Mental Health Philippine 1958 US&Intl._Social &Economic Rural Study of Rural Family Life (Dr. Koh) Korea 3204 program / Hoover Institution Archives

  46. [인터넷자료] / 국가기록원

  47. [인터넷자료] / 한국영상자료원

  48. [인터넷자료] / 한국근현대영상아카이브

  49. [인터넷자료] / e영상역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