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법적 딜레마를 활용한 법교육 교수학습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using Legal Dilemmas

교사교육연구
약어 : TER
2015 vol.54, no.4, pp.639 - 651
DOI : 10.15812/ter.54.4.201512.639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26 회 열람

다양한 가치들의 충돌이 심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학생들에게 개방적인 태도로 쟁점에 접근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적 딜레마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법적 사고력을향상시키고 의사소통의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수업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딜레마 수업모형에 법교육 고유의모의재판 수업모형을 결합시켜 보다 체계화된 수업의 절차를 구성하였고, 이를 고등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모형을 정교화하였다. 법적 딜레마를 활용한수업모형은 학생들이 높은 관심과 참여도를 보이며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나, 수업모델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향후 학교 현장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 수정모델들을개발하고 교사의 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수업자료 개발과 연수 등의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are more aware than ever before of global issues which are often valued based conflicts, therefore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students to experience an educational instruction approach which teaches students to address social issues with an open mind. One such approach is to us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to introduce issue-centered discussions involving legal dilemmas to develop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For this study, the dilemma teaching method was elaborated upon by using modified mock trial activities to teach high school students.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ified mock trial activities was successful because students were highly interested and involved throughout the class. However, developing more diverse models an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various school contexts are needed to improve the model and to mitigate the burdens on the teachers.

법교육, 교수학습모형, 딜레마 수업, 쟁점 중심토론, 모의재판
Law-Related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Dilemma Instruction, Issue-centered Discussion, Mocking Trial

  • 1. [학위논문] 박강용 / 2000 / 쟁점 중심 사회과에서 패널식 대의 토론 학습과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
  • 2. [학술지] 윤혜경 / 2005 /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 교사 교육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5 (2) : 98 ~ 2
  • 3. [학술지] 이대성 / 2003 / Oliver & Shaver의 법리적 접근을 통한 쟁점 토론 분석 / 사회과학교육연구 / 6 : 75 ~
  • 4. [학술지] 이영옥 / 2004 / 쟁점중심 가정과 토론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16 (1) : 63 ~ 1 kci
  • 5. [학위논문] 이진숙 / 2010 / 쟁점 중심 토론 수업이 중학생의 정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6. [학술지] 조철기 / 2013 / 내러티브로 구성된 딜레마를 활용한 지리수업 방안 / 중등교육연구 / 61 (3) : 513 ~ 3 kci
  • 7. [학술지] 최지영 / 2009 / 협동학습상황에서의 교사 경험의 성찰 /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 1 (2) : 1 ~ 2
  • 8. [학술지] 최지영 / 2010 / 딜레마 토론을 활용한 협동학습상황에서의 도덕적 민감성 연구 / 열린교육연구 / 18 (4) : 171 ~ 4 kci
  • 9. [학술지] Cuban, L. / 1992 / Managing Dilemmas while building professional communities / Educational Researcher / 21 : 4 ~
  • 10. [단행본] Evans, R. W. / 1976 / Critical Thinking and Reasoning : A handbook for Teachers, A Project Search Development / State Univ. of New York : 3 ~
  • 11. [단행본] Funtowicz, S.O. / 1991 / Ecological Economics:The Scie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ility / Columbia University Press : 137 ~
  • 12. [단행본] Hunt, M. P. / 1955 /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 / Harper and Row
  • 13. [단행본] Kohlberg, L. / 1981 / Essays in Moral Development. Volume 1: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 Harper & Row
  • 14. [단행본] McParland, M. / 2001 / Theory into Practice:Moral Dilemmas / Geographical Association
  • 15. [단행본] Reitz, H. J. / 1981 / Behavior in Organizations / Irwin Inc
  • 16. [학술지] Volkmann. M. J. / 1998 /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Dilemmas and Metaphors of a First-Year Chemistry Teacher / Science Education / 82 : 2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