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비형식 교육기관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과학 탐방활동지 개발 틀의 제안

A Proposed Framework for Effective Science Fieldwork Worksheets for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교사교육연구
약어 : TER
2016 vol.55, no.2, pp.271 - 291
DOI : 10.15812/ter.55.2.201606.271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10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사에게 비형식 교육기관을학교 과학교육과 연결시킬 수 있는 학생들의 학습 공간으로 인식 시키고 효과적인 탐방활동지 개발 틀을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교사들의 탐방활동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탐방활동지를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탐방활동의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탐방활동지 개발틀을 개발하고 개발된 틀을 바탕으로 제작된 탐방활동지가 학교 현장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평가 및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설문 평가를 통해서개발된 탐방활동지의 현장 적합성에 대해 교사들 대부분은 긍정적인 반응(4.4/5.0)을 보였다. 그리고 개별 면담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지식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지갈등을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특히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개념이해를 유도하는 과정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비형식교육기관을 통해서 학교에서 쉽게 다룰 수 없는 주제나 자료를 이용할 경우 학생들의 학습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탐방활동지 개발 틀을 바탕으로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탐방활동지는 실질적으로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고, 탐방학습과 학교교육을 연계할수 있는 지침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to develop field work worksheets for field trips which integrate into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proposed framework was used to develop student worksheets for science field trips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sponses on a questionnaire based on their insights into configuration, the suitability for students,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worksheets. The validity was also examined based on in depth interviews with several science teacher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sheets. As the results yielded a mean validity of 4.4/5.0 based on the teachers’in depth interview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field work worksheets for field trips actively enhanced their role in the field trip by encouraged student participation through introducing cognitive conflicts based on exhibits, interacting with students and the exhibits, then resolving the conflicts as changing their science misconcep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ontinual use of field work worksheets for field trips based on themes which integrate into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used to educate students attending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비형식 교육기관, 탐방활동지 개발 틀, 탐방활동지, 적합성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development framework, fieldwork worksheets, validity

  • 1.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과학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 2. [학술지] 권난주 / 2004 / 인지갈등 전략을 이용한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 특성의 효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4 (2) : 216 ~ 2 kci
  • 3. [학술지] 권재술 / 2003 /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3 (5) : 574 ~ 5 kci
  • 4. [단행본] 김찬종 / 2006 /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 북스힐
  • 5. [학술지] 류재만 / 2008 / 학교 연계 박물관·미술관 학습을 위한 워크시트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미술교육연구논총 / 23 : 121 ~ kci
  • 6. [학술지] 윤혜경 / 2000 /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한 중학생의 탐구 동기 변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0 (1) : 137 ~ 1
  • 7. [단행본] 송상호 / 2014 / 매력적인 수업설계 / 과학교육사
  • 8. [학술지] 이미경 / 2004 /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4 (5) : 946 ~ 5 kci
  • 9. [학술지] 이선경 / 2004 /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4 (2) : 357 ~ 2 kci
  • 10. [학술지] 이준호 / 2014 / 비형식 교육기관을 이용한 탐방 활동지 개발 활동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생물교육 / 42 (2) : 160 ~ 2 kci
  • 11. [보고서] 박승재 / 2000 / 청소년 학교 밖 과학활동 진흥방안 연구
  • 12. [학술지] 박휘락 / 1999 / 미술 감상교육용"셀프 가이드"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 34 : 195 ~
  • 13. [학술지] 정주혜 / 2005 /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에 반영된 학교 과학교육과정 / 생물교육 / 33 (2) : 235 ~ 2 kci
  • 14. [학술지] 장현숙 / 2008 / 과학관 수업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과학 교사의 비형식 교육에 대한 인식 / 초등과학교육 / 27 (3) : 211 ~ 3 kci
  • 15. [학술지] 장현숙 / 2006 / 과학관 현장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6 (2) : 425 ~ 2 kci
  • 16. [학술지] 최경희 / 2006 /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초등과학교육 / 25 (3) : 331 ~ 3 kci
  • 17. [학술지] 박승재 / 2004 / 수원 화성 과학 탐방을 통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지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4 (5) : 930 ~ 5 kci
  • 18. [학술지] 한문정 / 2010 /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30 (8) : 1060 ~ 8 kci
  • 19. [학술지] 홍정수 / 2001 / 8학년 『과학 2』교과서의 생물영역에서탐구활동 분석 및 야외활동 지도 전략 / 생물교육 / 29 (4) : 322 ~ 4
  • 20. [학술지] Anderson, D. / 1997 / The effectiveness of orienting students to the physical features of a science museum prior to a visitation /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27 (4) : 485 ~ 4
  • 21. [학술지] Beires, R. J. / 1992 / Learning in interactive science centers /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s / 22 : 38 ~
  • 22. [학술지] 장현숙 / 2007 /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by Science Museums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27 (8) : 755 ~ 8 kci
  • 23. [학술지] DeWitt, J. / 2007 / Supporting Teachers on Science-Focused School Trips : Towards an Integrated Framework of Theory and Practice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29 (6) : 685 ~ 6
  • 24. [단행본] Falk, J. / 2000 / Learning from Museums: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 AltaMira Press
  • 25. [학술지] Griffin, J. / 1997 / Moving from task-oriented to learning-oriented strategies on school excursions to museums / Science Education / 81 (6) : 763 ~ 6
  • 26. [학술지] Guisasola, J. / 2009 /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and Design for a Guided Visit to a Science Museum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31 (15) : 2085 ~ 15
  • 27. [학술지] Keller, J. M. / 1979 /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 A theoretical perspective /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 2 (4) : 26 ~ 4
  • 28. [단행본] Keller, J. M. / 2010 / Motivational design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RCS model approach / Springer
  • 29. [학술지] Kisiel, J. / 2003 / Teachers, Museums and Worksheets : A Closer Look at a Learning Experience /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 14 (1) : 3 ~ 1
  • 30. [학술지] Kisiel, J. / 2005 / Understanding elementary teacher motivations for science fieldtrips / Science Education / 89 (6) : 936 ~ 6
  • 31. [학술지] Kisiel, J. / 2007 / Examining Teacher Choices for Science Museum Worksheets /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 18 (1) : 29 ~ 1
  • 32. [학술지] Koster, E. H. / 1999 / In search of relevance :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 Daedalus / 128 (3) : 277 ~ 3
  • 33. [학술지] Krombaß, A. / 2008 / Acquiring knowledge about biodiversity in a museum — are worksheets effective? /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 42 (4) : 157 ~ 4
  • 34. [학술지] Melber, L. M. / 2002 / Science education in U. S. natural history museums : A historical perspective / Science and Education / 11 (1) : 45 ~ 1
  • 35. [학술지] Mortensen, M. / 2007 / Free-choice worksheets increase students’ exposure to curriculum during museum visits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 44 (9) : 1389 ~ 9
  • 36. [인터넷자료] NGSS Lead States / National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 37. [학술지] Orion / 1993 /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 as an a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 93 (6) : 325 ~ 6
  • 38. [학술지] Orion, N. / 1994 /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 31 (10) : 1097 ~ 10
  • 39. [학술지] Osborne, J. / 2007 / Research on learning in informal contexts: Advancing the field?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29 (12) : 1441 ~ 12
  • 40. [학술지] Price, S. / 1991 / More than a field trip : Scienc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groups at museums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13 : 505 ~
  • 41. [학술지] Rennie, L. J. / 2003 /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s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 40 (2) : 112 ~ 2
  • 42. [학술지] Semper, R. J. / 1990 /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 Physics Today / 43 (11) : 50 ~ 11
  • 43. [학술지] Wellington, J. / 1991 / Newspaper science, school science:friends of enemies?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13 (4) : 363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