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효율적 정책집행과정과 정책공중 유형별 정책고객관계관리를 위한 정책홍보 실무자들의 인식

Enhancing Korean Government’s Policy Public Relations A Survey of Policy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PR연구
약어 : -
2008 vol.12, no.1, pp.73 - 108
DOI : 10.15814/jpr.2008.12.1.73
발행기관 : 한국PR학회
연구분야 : 신문방송학
Copyright © 한국PR학회
216 회 열람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홍보 현황과 그 효과적 방안, 그리고 쟁점관리 차원에 서의 사안별 공중 세분화와 그에 따른 효과적 매체 활용 등에 대한 정책홍보 실무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GI와 설문조사가 실시되었 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공중 선정, 여론조사, 대언론관계 전략 수립의 적정 시점은 정책 입안단계로 국정홍보처의 홍보매뉴얼에서 제시된 시점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면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대언론관계 수립 시점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정책홍보실의 역할 평가에서 업무의 과도한 집중과 분 업의 비체계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문화된 홍보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정책고객관계관리의 효율성과 쟁점별 공중 유형에 따른 효과적 매체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첫째, 부처간 협력홍보를 위해 대언론 창구의 일원화, 공 동 대변인제, 협의제, 국정홍보처의 지원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 관계자들과의 갈등 관리의 효과와 관련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정책고객 관계관리 방식에 대해 제고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쟁점별 공중에 대한 매체전략으로 활동 공중과 인지 공중에게는 적극적인 대공 중관계가 필요한 반면, 비활동 공중과 각성 공중에게는 전체 노출 효과가 큰 매체의 활용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weak points of present status of Korean government’s policy public relations and to provide some practical remedies. To reach this goal, we performed a FGI and a survey to government officers. The results said that present policy public relations had several problems such as inefficient task distributio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 and unskillful performance of issue and policy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To solve these, we suggested an organizational reform, inducement of re-education system and development of various custom-made PR tools.

정책 PR, 정책관계관리, 정부PR, 쟁점관리, 정책홍보 실무자
policy public relations, policy customer relations management, government PR

  • 1. [단행본] 강위철 / 1994 / 일본의 경제교육과 정책홍보 / 한국개발연구원
  • 2. [단행본] 김영욱 / 2003 / PR커뮤니케이션?체계, 비판, 이론의 통합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3. [학위논문] 길근진 / 1999 / 정부PR의 효율화 방안: 국민의 정부 1년 공보실 업무 활동분석
  • 4. [학술지] 박주연 / 2005 / 부처의 효율적인 정책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 / 광고학연구 / 16 (4) : 31 ~ 4
  • 5. [단행본] 방정배 / 1989 / 여론과 정치설득 / 나남
  • 6. [학술지] 신호창 / 1998 / 제2의 건국,개혁을 성공시키기 위한 PR전략과 전술 / 정치정보연구 / 1 (2) : 33 ~ 2 kci
  • 7. [학술지] 신호창 / 1999 / 정부의 홍보 정책에 대한 고찰 및 발전적 국정 홍보 모델의 제시 / 홍보학연구 / 3 : 84 ~
  • 8. [단행본] 신호창 / 2002 / 행정PR원론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9. [학술지] 신호창 / 2006 / 정책홍보 수행과정 모델에 따른 정책홍보 수행 현황과 모델 충실도 연구 / 정치정보연구 / 9 (2) : 19 ~ 2 kci
  • 10. [학술지] 윤태섭 / 2005 / 정책 집행주체의 정책 집행태도에 관한 연구 / 한국공공관리학보 / 19 (1) : 135 ~ 1 kci
  • 11. [학위논문] 이근형 / 2000 / 국정홍보 효율화를 위한 정부 조직 구성과 운영방안 연구
  • 12. [학술지] 이두원 / 2005 / 국가 정책홍보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탐색연구: 공중관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13 (1) : 180 ~ 1 kci
  • 13. [단행본] 이준일 / 1993 / 세계의 공보정책 / 한국언론연구원
  • 14. [단행본] 조성한 / 2003 / 정책 평가과정에서의 NGO의 역할 / 한국행정연구원
  • 15. [학위논문] 지경희 / 1995 / 한국 공기업의 홍보실태 및 개선방안?한국전력의 원자력 홍보 실태를 중심으로
  • 16. [보고서] 한균태 / 2005 /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전략 연구
  • 17. [기타] 국정홍보처 / 2005 / 정책성공을 위한 홍보 매뉴얼
  • 18. [단행본] Baskin, O. W. / 1997 / Public relations: The profession and the practice / Brown and Benchmark
  • 19. [학술지] Cobb, W. / 1971 / The politics of agenda build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modern democratic theory / Journal of Politics / 33 : 892 ~
  • 20. [단행본] Grunig, E. / 1984 / Managing public relations / Holt, Rinehart, & Winston
  • 21. [학술지] Hallahan, K. / 2000 / Inactive publics: The forgotten publics in public relations / Public Relations Review / 26 (4) : 499 ~ 4
  • 22. [학술지] Hallahan, K. / 2001 / The dynamics of issues activation and response: An issues processes model /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 13 (1) : 27 ~ 1
  • 23. [단행본] Miller,K. / 2003 /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pproaches and processes / Wadsworth
  • 24. [단행본] Murphy,P. / 1989 / Game theory as a paradigm for the public relations in:Public Relations Theory / Erlbaum : 160 ~
  • 25. [단행본] Wilcox, D. L. / 1992 /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nd Tactics / Holt, Rinehart & Win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