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절주 캠페인을 비롯한 공중 건강 메시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감각추구성향(Sensation Seeking)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메시지 태도와 행동 의도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캠페인 메시지 수용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의 신념과 성격적 특성 등을 고려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소구들에 대한 적절한 활용이 가능한데, 특히 공포 소구와 유머 소구는 캠페인 및 광고 메시지 전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소구유형이다. 이 연구는 캠페인 수용자의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 수준, 그리고 소구 유형이 캠페인 메시지 태도와 수용자의 행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였다. 가설 및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하여 20대부터 60대까지의 성인 남녀 3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메시지태도에 관한 분석 결과 유머 소구 유형에서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성이 발견되었다. 한편, 캠페인 행동 의도에 대해서는 감각추구성향과 자기효능감의 주효과만 발견되었을 뿐 각 변인 간 상호작용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키워드

감각추구성향, 자기효능감, 공포소구, 유머소구

참고문헌(70)open

  1. [학술지] 김경선 / 1999 / 여대생 흡연과 환경적 요인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기본간호학회지 6 (2) : 169 ~ 346

  2. [학술지] 김상훈 / 1996 / 광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관한 연구 / 광고학연구 7 (1) : 83 ~ 126

  3. [학술지] 김원태 / 2010 / 유머 광고의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이미지 중심으로 - / 정보디자인학연구 13 (2) : 65 ~ 76

  4. [학술대회] 김아영 / 1996 / 자기효능감과 측정 /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 51 ~ 64

  5. [학술지] 김아영 / 2001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교육학 연구 39 (2) : 31 ~ 42

  6. [학술지] 김혜숙 / 2009 / 여성 리더의 특성과 효율성:조직의 성차별 문화의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3 (1) : 33 ~ 54

  7. [학술지] 남인용 / 2002 / 광고주 유형, 메시지 유형, 자기 검색도, 관여도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학보 46 (1) : 4 ~ 146

  8. [학술지] 류미 / 2010 / 대학생의 폭음 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 -지각된 음주규준의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6 (1) : 63 ~ 79

  9. [학술지] 박윤창 / 1995 / 자극추구동기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2 (1) : 53 ~ 64

  10. [학위논문] 박희랑 / 2000 / 유머형성 기제에 따른 유머소구 광고의 형태별 효과

  11. [기타] / 2010 / 보건복지동향, ≪보건복지포럼≫, 9월호

  12. [학술지] 안길상 / 1998 / 유머소구 공익광고의 효과. 충북대학교 / 산업과 경영 11 (2) : 73 ~ 96

  13. [학술지] 양윤 / 2009 / 공포소구와 결합된 자기 책임성 정서와 자기 효능감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고학연구 20 (4) : 207 ~ 218

  14. [학술지] 오창우 / 2003 / 유머광고 마지막 장면 '재미 컷'의 미장센 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언론학보 47 (5) : 6 ~ 169

  15. [학술지] 유선욱 / 2010 /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언론학보 54 (3) : 27 ~ 53

  16. [학술지] 유채영 / 2010 /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문제음주 관계 탐색에 관한 연구: 부정적 정서와 부적응적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1 (4) : 137 ~ 163

  17. [학술지] 이종민 / 2005 / 유머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상품관여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6 (1) : 141 ~ 162

  18. [학술지] 이지현 / 2010 / 대학생의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 음주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음주 거절 효능감과 폭음을 매개로 / 한국청소년연구 21 (4) : 229 ~ 246

  19. [학술지] 이진희 / 2009 /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20 (1) : 231 ~ 257

  20. [학술지] 전경숙 / 2010 /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폭음 및 문제음주 영향 요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 (1) : 91 ~ 103

  21. [학술지] 정원철 / 2006 /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인 요인 / 한국사회복지학 58 (1) : 347 ~ 372

  22. [단행본] 이희복 / 2009 / 헬스커뮤니케이션 / 한울

  23. [학술지] 조삼섭 / 2009 / 여성암 조기검진 촉진 캠페인의 설득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광고홍보학보 11 (1) : 249 ~ 276

  24. [학술지] 조현지 / 2005 / 유머 종류에 따른 유머 선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 성별,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언론정보학보 31 : 355 ~ 377

  25. [학술지] 차동필 / 2006 / 공포소구 메시지의 위협과 효능감 수준에 따른 설득효과 : 공포소구 모델 EPPM의 적용 / 한국언론학보 50 (4) : 411 ~ 436

  26. [학술지] 천성수 / 2002 / 대학생 문제음주 예방을위한 홍보·교육 프로그램의 운용과 평가 / 한국알코올과학회지 3 (1) : 53 ~ 86

  27. [학술지] 최경원 / 2008 / 흡연 남성이 지각한 건강 상태에 따른 자기효능감 / 재활간호학회지 11 (1) : 41 ~ 48

  28. [학술지] 최명일 / 2007 /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8 (4) : 185 ~ 206

  29. [학술지] 한규훈 / 2011 / 여성암 조기검진 촉진 메시지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의 영향 : 한국 여성과 일본 여성 간의 비교 고찰을 토대로 / 한국광고홍보학보 13 (2) : 377 ~ 413

  30. [학술지] 현주 / 2006 /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육심리연구 20 (2) : 443 ~ 465

  31. [학술지] Bandura, A. / 1977 /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Psychological Review 84 (2) : 191 ~ 215

  32. [학술지] Bandura, A. / 1982 /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 American Psychologist 37 (2) : 122 ~ 147

  33. [학술지] Bandura, A. / 1986 /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reactive influ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38 : 92 ~ 113

  34. [학술지] Ball, S. A. / 1994 / Sensation seeking, substance abuse, and psychopathology in treatment-seeking and community cocaine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 1053 ~ 1057

  35. [학술지] Donohew R. L. / 1994 / Attention, Need for Sensation, and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8 (2) : 311 ~ 322

  36. [학술지] Donohew R. L. / 1998 / Applications of a Theoretic Model of Information Exposure to Health Interventions /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4 : 454 ~ 468

  37. [학술지] Duncan Calvin P / 1984 / The Effect of Humor on Advertising Comprehension /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 432 ~ 437

  38. [학술지] Elissa Slanger / 1997 / Motivation and Disinhibition in High Risk Sports : Sensation Seeking and Self-Efficacy /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 355 ~ 374

  39. [학술지] Forabosco G. / 1994 / Sensation seeking, social attitudes and humor appreciation in Italy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 (4) : 515 ~ 528

  40. [학술지] Glazer. E. / 2010 /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Misperceptions of Peer Consumption, and Believability of Social Norms Messages on Alcohol Consumption /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5 : 825 ~ 839

  41. [학술지] Greene K. / 2008 / Adolescents’ Responses to Peer Smoking Offers : The Role of Sensation Seeking and Self-esteem /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3 (3) : 267 ~ 286

  42. [학술지] Gullette D. L. / 1999 / Content class as a contextual cue in the cognitive processing of publicity versus advertising /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1 (4) : 293 ~ 320

  43. [단행본] Hassett, J. / 1979 / Different Jokes for Different Folks / Psychology Today : 64 ~ 71

  44. [학술지] Hittner, J. B. / 2006 / Sensation seeking and alcohol use : A meta-analytic review / Addictive Behaviors 31 : 1383 ~ 1401

  45. [학술지] Hoyle, R. H. / 2002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measure of sensation seeking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 : 401 ~ 414

  46. [학술지] Jennifer H. / 2000 / Functions of humor in the conversations of men and women / Journal of Pragmatics 32 : 709 ~ 742

  47. [학술지] Johnson, T. J. / 2000 / Sensation seeking and drinking game participation in heavy-drinking college students / Addictive Behaviors 25 : 109 ~ 116

  48. [학술지] Lang. A. / 2005 / Sensation Seeking, Motivation, and Substance Use : A Dual System Approach / Media Psychology 7 : 1 ~ 29

  49. [학술지] Lee, M. J. / 2002 / Effect of Anti-Tobacco Advertisements Based on Risk Taking Tendencies : Realistic Fear vs Vulgar Humor / Journal of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9 (4) : 945 ~ 963

  50. [학술지] Lee, M. J. / 2010 /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tatements in Humorous Anti-Alcohol Abuse Messages Targeting College Students: Who Is In Charge? / Health Communication 25 (8) : 638 ~ 646

  51. [단행본] Monahan, J. L. / 1995 / Thinking positively: Using positive affect when designing health messages, In communication theory and public health practice : 81 ~ 98

  52. [학술지] Monahan, J. L. / 2000 / Alcohol as social lubricant : Alcohol myopia theory, social self esteem and social interaction /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6 : 175 ~ 202

  53. [학술지] Oei, Tian P. S. / 1994 / Expectancy Theory : A Two-Process Model Of Alcohol Use And Abuse /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5 : 525 ~ 534

  54. [학술지] Oei, Tian P. S. / 2007 / Alcohol expectancies, self-efficacy and coping in an alcohol-dependent sample / Addictive Behaviors 32 (1) : 99 ~ 113

  55. [학술지] Roman. P. M. / 2002 / The Workplace and Alcohol Problem Prevention / Alcohol Research & Health 26 (1) : 49 ~ 57

  56. [학술지] Scott, Cliff / 1990 / Consumer response to humor in advertising : A series of field studies using behavioral observation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 498 ~ 501

  57. [학술지] Stephenson M. T. / 2001 / Predictors of Exposure From an Antimarijuana Media Campaign : Outcome Research Assessing Sensation Seeking Targeting / HealthCommunication 14 (1) : 23 ~ 43

  58. [단행본] Stewart-Hunter, David / 1985 / Humor in Television Advertising: The Search for the Golden Rule / ADMAP : 268 ~ 279

  59. [학술지] Thompson, J. R. Barnett / 2009 / Scared straight? Fear-appeal anti-smoking campaigns, risk, self-efficacy and addiction / Health, Risk & Society 11 (2) : 181 ~ 196

  60. [단행본] Thompson T. L. / 2003 / Handbook of Health Communication(1st)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1. [학술지] Wagner M. K. / 2001 /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bstance abuse and risk-taking, sensation-seeking, anxiety sensitivity, and self reinforcement / Addictive Behaviors 26 (1) : 115 ~ 120

  62. [학술지] Wechsler, H. / 1992 / Binge Drinkers at Massachusetts Colleges : Prevalence, Drinking Style, Time Trends, and Associated Problems /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7 (21) : 2929 ~ 2931

  63. [학술지] Weinberger, M. G. / 1992 / The Impact of Humor in Advertising : A Review / Journal of Advertising 21 (4) : 35 ~ 59

  64. [학술지] Wilkinson. A. V. / 2011 / Sensation Seeking, Risk Behaviors,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Mexican Origin Youth /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8 : 65 ~ 72

  65. [학술지] World Health Organization / 1992 /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 Communication Monographs 59 : 329 ~ 349

  66. [학술지] Witte, K. / 2000 / A meta-analysis of fear appeals : implications for effective public health campaigns / Health Education and Behaviour 27 : 591 ~ 615

  67. [학술지] Zuckerman M. / 1972 / What is the Sensation seeker? Personality trait and experience correlates of the sensation-seeking scales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9 (2) : 308 ~ 321

  68. [학술지] Zuckerman M. / 1968 / Construct validity for the sensation seeking scale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2 (4) : 420 ~ 426

  69. [학술지] Zuckerman M. / 1979 / Sensation seeking and psychopathology / Psychiatry Research 1 (3) : 255 ~ 264

  70. [단행본] Zuckerman, M. / 1994 / Behavioral expressions and biosoci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 Cambridge Un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