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정책갈등 관리에 있어 정부 신뢰와 불신의 역할: 담뱃값 인상 정책을 중심으로

The Differential Roles of Trust and Distrust in Conflict Management of Korean Government.

PR연구
약어 : -
2014 vol.18, no.3, pp.216 - 240
DOI : 10.15814/jpr.2014.18.3.216
발행기관 : 한국PR학회
연구분야 : 신문방송학
Copyright © 한국PR학회
335 회 열람

본 연구는 정부 갈등 상황에서 정부에 대한 불신과 신뢰가 공중의 갈등대응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2013년 초에 논란이 되었던 정부의 담뱃값 인상 정책을 중심으로 정부에 대한 불신과 신뢰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 이러한 두 가지 변인들이 갈등대응 행동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정부에 대한 신뢰와 불신에 영향으로 미치는 요인으로 정부의 능력과 투명성을 상정하여 분석해본 결과, 신뢰와 불신은 갈등관리 능력과 절차상 투명성에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부신뢰에는 능력과 투명성의 영향력이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정부에 대한 불신에는 투명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에 대한 신뢰와 불신은 공중의 갈등대응 행동에도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데, 협력, 수용, 경쟁, 회피로 구성된 갈등대응 행동의 각 하위차원에 나타나는 신뢰와 불신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가 정책갈등을 관리하는데 있어 정부에 대한 신뢰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이 정부에 대해 불신하는 이유를 찾아내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roles of trust and distrust in conflictmanagement of the current government. By focusing on the policy to increase tobacco prices in earl y 2013 which caused controversial issues, researchers explored how governmentalintegrity and competence affect trust and distrust as well as how trust and distrust influence publics’ conflict resolution acts. A survey with 193 Korean participants was conducted in 2014.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wo factors including trust and distrust play different roles among government’s integrity, competence, and publics’ conflict resolution act (conflict response sty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and strategic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신뢰, 불신, 갈등대응, 능력, 투명성
trust, distrust, conflict resolution act, competence, integ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