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은율탈춤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Unyul Mask Dance

문화예술교육연구
약어 : KJCAES
2010 vol.5, no.2, pp.77 - 93
DOI : 10.15815/kjcaes.2010.5.2.77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연구분야 : 감성과학
Copyright © 한국문화교육학회
131 회 열람

본 연구는 은율탈춤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 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은 은율탈춤 학습을, 비교집단은 댄스스포츠 학습을 2010년 3월부터 5월까지 1차시에 4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똑같은 설문지로 사후검사를 통하여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은율탈춤 학습이 초등학생의 전통문화와 전통무용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Unyul Mask D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0 male and female 5th-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questionnaire.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Unyul Mask Dance, the comparative group were taught Dancesports from March to May, 2010, 1-2 sessions per week and a total of 12 sessions, and 40 minutes per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dance of Unyul Mask Dance had been changed.

전통문화, 전통무용, 은율탈춤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Dance, Unyul Mask Dance

  • 1. [학위논문] 강현미 / 2006 / 우리문화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생의 우리 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 [학위논문] 김미아 / 2006 / 어린이 한국무용 춤사위 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 3. [학위논문] 박선옥 / 2003 / 탈춤수업이 여중생의 한국무용 인식에 미치는 영향
  • 4. [학위논문] 송미숙 / 2000 / 우리 춤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5. [학위논문] 송지영 / 2008 / 봉산탈춤 학습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6. [학위논문] 유현철 / 1994 / 봉산탈춤이 체육교육목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7. [학위논문] 윤선희 / 2006 / 중학교 한국 민속 무용교육을 통한 전통문화인식도 연구
  • 8. [학위논문] 이경선 / 2002 /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우리 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9. [학위논문] 이지영 / 2001 / 중등학교 교과서 민속무용내용에 관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10. [단행본] 전경욱 / 2003 / 은율탈춤 / 계문사
  • 11. [단행본] 정병호 / 1992 / 한국의 민속춤 / 삼성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