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다문화성인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始論)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문화예술교육연구
약어 : KJCAES
2013 vol.8, no.4, pp.47 - 70
DOI : 10.15815/kjcaes.2013.8.4.47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연구분야 : 감성과학
Copyright © 한국문화교육학회
183 회 열람

이 글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다문화교육이 소수 집단을 위한 복지적 관점에서 기획됨으로써 그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특히 이주민은 물론이고 일반 성인 정주민 대상의 다문화교육 필요성까지 지적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것이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체화되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 다문화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착수한다. 연구자는 우리 학계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국의 다문화교육을 ‘평등’ 지향적 관점으로 규정하고, 그것이 오히려 집단 간 갈등이나 편견을 조장할 우려가 클 뿐 아니라, 세계화 정보화 시대, 모든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수행해야 할 공통의 과제, 즉 이질적 문화 다루기를 지원하고 돕는 데 무기력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소하는 방향에서 연구자는 문화 주체의 역동적인 문화 행위에 주목, 새로운 문화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소통’ 지향 다문화교육을 제안하였고, 그 세부적인 영역 및 방법을 제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aradigm, especially which has been built in American immigration society. Owing to the history of racial discrimination, the American society couldn't help but taking any social welfare projects for racial groups out of power, that had been taken discriminately but vigorously came to push forward a social campaign for equal civil right and political reform in 1996s.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 kind of complementary welfare measures for the minority groups. But as a social welfare measures, multicultural education made a goal of equality between the majority and minority ethnic groups and carried out the school reform toward the realization of multiculturalism, but it made people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had nothing to do with education at all, so in this matter, multicultural education came to make some anxiety about making segregation instead of mutual understanding in educational execution. In this study, a new paradigm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suggested, which heads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among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groups. In the globalized information society, every people needs to take some ability to deal with extraneous cultures and discharge their role as cultural agencies successfull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support and facilitate it.

다문화교육, 문화교육, 평등, 문화 주체, 다문화성인교육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mutual understanding, equality, multicultural adult education

  • 1. [단행본] 권순희 / 2010 /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 교육과학사
  • 2. [단행본] 김선미 / 2008 / 다문화교육의 이해 / 한국문화사
  • 3. [단행본] 김중순 / 2010 / 문화의 이해와 다문화 교육 / 소통
  • 4. [학술지] 라종일 / 1995 / 세계시민: 이념, 현실, 그리고 전망 / 유럽연구 / 3 : 161 ~
  • 5. [학술지] 민현식 / 2008 / 한국어교육에서 소위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 한국언어문화학 / 5 (2) : 115 ~ 2
  • 6. [학술지] 배영주 / 2009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의 새 구상 / 평생학습사회 / 5 (1) : 177 ~ 1 kci
  • 7. [학술지] 설규주 / 2001 / 탈국가적 시민성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새로운 방향: 세계시민성과 지역시민성의 조화로운 함양을 위한 후천적 보편주의 시민교육 / 시민교육연구 / 32 : 151 ~
  • 8. [단행본] 안경식 / 2008 /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지사
  • 9. [학술지] 장상호 / 1991 / 교육학 탐구 영역의 재개념화 / 교육학 연구 / 91 (2)
  • 10. [학술지] 천호성 / 2009 / 다문화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 / 교육종합연구 / 7 (2) : 26 ~ 2 kci
  • 11. [학술지] 황정미 / 2010 / 다문화시민 없는 다문화교육 - 한국의 다문화교육 아젠다에 대한 고찰 - / 담론201 / 13 (2) : 93 ~ 2 kci
  • 12. [단행본] 김상현 / 2008 / 세계시민주의 / 바이북스
  • 13. [단행본] Banks, J. A. / 2007 / Multi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goal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 Wiley
  • 14. [단행본] 김용신 / 2009 / 다문화 시민교육론 / 교육과학사
  • 15. [단행본] Beck, U. / 2001 / 세계화시대의 권력과 대항권력 / 도서출판 길
  • 16. [단행본] Bennett, C. I. / 2009 / 다문화교육 / 학지사
  • 17. [단행본] Castells, M. / 2003 /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 한울
  • 18. [학술지] Dennee, J. / 1993 / Developing a global perspective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 The Clearning House / 66 (6) : 367 ~ 6
  • 19. [단행본] Durkheim, E. / 1978 / 교육과 사회학 / 배영사
  • 20. [단행본] Friedman, J. / 2009 / 지구화 시대의 문화정체성 / 당대
  • 21. [단행본] Gay, G. / 2000 /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22. [단행본] Giles, J. / 2006 / 문화학습 / 동문선
  • 23. [단행본] Glazer, N. / 2009 / 우리는 이제 모두 다문화인이다 / 미래를소유한사람들
  • 24. [단행본] Hall, S. / 1991 / The local and the global: Globalization and ethnity, In Culture, globalization, and the world system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25. [단행본] Larrain, H. / 2009 / 이데올로기와 문화정체성 / 모티브북
  • 26. [단행본] Martiniello, M. / 2002 /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 한울 아카데미
  • 27. [학술지] McCormick, T. E. / 1984 / Multiculturalism: some principles and issues / Theory Into Practice / 23 (2) : 93 ~ 2
  • 28. [단행본] Moran, P. R. / 2005 / 문화교육 / 경문사
  • 29. [단행본] Peterson, B. / 2006 / 글로벌시대의 경쟁력: 문화지능 / 청림출판
  • 30. [단행본] Sleeter, C. E. / 1995 / An analysis of the critiq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 Macmillan
  • 31. [단행본] Sleeter, C. E. / 2009 / 다문화교육의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 아카데미프레스
  • 32. [단행본] Tofler, A. / 1994 / 제3의 물결 / 홍신문화사
  • 33. [단행본] Wood, P. / 2005 / 다양성: 오해와 편견의 역사 / 해바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