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다문화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usic Program for Multicultural Personalites

문화예술교육연구
약어 : KJCAES
2014 vol.9, no.1, pp.167 - 188
DOI : 10.15815/kjcaes.2014.9.1.167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연구분야 : 감성과학
Copyright © 한국문화교육학회
161 회 열람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등학생 수를 고려하여, 초등학교 음악수업과 초등과 연계한 중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다양한 문화와 음악을 융합하여 다문화적 인성함양에 타당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음악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음악프로그램은 베넷의 다문화 교육과정에 따른 다문화적 인성 함양 과정에 따라 여러 나라 다양한 문화의 놀이 노래·악기체험과 음악 감상·생활과 음악 그리고 신화나 민화 또는 전래동화와 같은 스토리텔링·문명과 문화 활동을 프로그램내용으로 융합하여 초등과 초등에 연계된 중등 음악수업주제와 내용을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음악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일반학교 초 중학생들이 타문화에 스스로 들어가고자 하는 동기가 모둠활동으로 발표하고 토론하는 문제해결과정에서 타문화에 대한 거부감이나 문화적 이질감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수용이 가능한 통합적 인식을 할 수 있는 다문화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South Korea is now experiencing a rapid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d normal students as well as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build tolerant and inclusive attitudes toward one another in elemental school and middle school.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into efforts to develop and apply music program to music classes, and some have proven to be very effective: nonetheless, schools are still in need of proven music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multicultural personalities based on Christine Bennett's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t an agenda for the content of the music program and its effect on the multicultural personalities of childre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re specific music program would target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ge groups for multicultural personalities. This multicultural cognitive capacity, behavioral effect and integrated perception would be realized through the emotional experience of the music of various countries, by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problem-solv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the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and composition through story-telling activities; and by listening to the music of the differing cultures. A follow-up study to develop a model of specific music program would target specific age groups; it could be deployed over a long term to help children grow up as multicultural leaders.

다문화적 인성, 음악문화, 음악프로그램, 수용력과 적응력, 통합적 인식
Multicultural Personality, the Music of the Cultures, Music Program, Capacity and Effect, Integrated Perception

  • 1. [학술지] 강선보 / 2008 /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 교육문제연구 (30) : 1 ~ 30 kci
  • 2. [보고서] 경기도교육청 / 2008 / 문화 컨텐츠를 통한 교수·학습 과정 안
  • 3. [학술대회] 구영산 / 2013 / 다문화 학습부진학생의 지원 실태분석 / 초등학교 다문화 학습의 교수-학습 실태 및 지원방안 탐색 세미나 : 31 ~
  • 4. [학술지] 권혜인 / 2011 / 법무부 산하의 특성화 학교인 고봉중‧고등학교에서 음악을 적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음악교육연구 / 40 (3) : 155 ~ 3 kci
  • 5.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2011개정 교과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12
  • 6.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보도자료: 2012학년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 교과부 훈령 제235호
  • 7.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12 / 인성교육에 대한 조사연구 결과
  • 8.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 9. [보고서] 김연권 / 2012 / 2007년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 10. [단행본] 김용희 / 2011 / 동요로 만나는 세계의 어린이 / 대교
  • 11. [보고서] 민용성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질 관리 방안
  • 12. [단행본] 박미경 / 2012 / 다문화 사회와 음악 / 북촌창우극장 : 105 ~
  • 13. [학술지] 박혜정 / 1992 / 다문화 음악의 이해 및 그 적용 / 국악과 교육 / 3 : 26 ~
  • 14. [인터넷자료] 법무부 / 국내체류 외국인 현황
  • 15.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08 / 2007년 교육과정과 다문화프로그램 개발
  • 16. [보고서] 양정실 / 2013 /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구현 방안
  • 17. [학술대회] 이영미 / 2013 / 이해와 공감을 위한 음악교육: 세계음악프로그램 개발 / 한국음악교육학회 제 44회 여름 학술 세미나 : 179 ~
  • 18. [단행본] 조효임 / 2006 / 다문화 수업을 위한 세계노래 / 태림출판사
  • 19. [단행본] Bennett, J. M. / 2004 /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 Sage Publishing
  • 20. [단행본] Campbell, P. / 2010 / Song in Their Heads: Music and Its Meaning in Children's Lives grades / Oxford
  • 21. [단행본] Lisa, A. S. / 2007 / Handbook of Multicultural Assessment / Jossey-Bass
  • 22. [단행본] Lundberg, D. / 2003 / Music, Media, Multiculture / The Centre for Swedish Folk Music and Jazz Research
  • 23. [단행본] Rauche, A. / 2012 / 다문화 사회와 음악 / 북촌창우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