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몽골 전통교육기관인 다창(Datsan)의 교육철학과 목적, 교수법을 고(故)문서 및 문헌 조사와 자료 분석 그리고 선행연구 내용분석을 통해 고찰하여 동양의 교육문화를 규명하고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 불교사원 내에 설립된 다창은 승려들이 학문을 깊이 연구하고 오부대론(五部大論)의 내용에 정통하여 불교의 본질적인 정신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교수철학이자 목표였다. 16세기 후반 몽골지역에 설립되기 시작한 다창은 18-19세기에 몽골 전역에 퍼지면서 불교적 지식과 교양함양 뿐만 아니라 언어와 과학, 예술 및 종합학문을 함께 가르치는 곳이었으며, 직업교육 기관이자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함께 수행했다. 몽골 다창의 주요 교수법은 기본적으로 경전에 대한 암송과 논쟁, 문답식 변론, 의학분과의 임상 및 체험학습, 천문·역법분과의 탐구 교수법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다창 교수법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귀류 논증법에 의거한 논쟁(論爭) 수업으로, 학습하는 승려의 지적 단계를 높이기 위한 훈련이자 난해한 불교철학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몽골 다창의 학승들은 이러한 논증과 토론학습 방법을 통해 표현 능력과 논리력을 단련하였다. 논쟁 교수법의 연장인 변론(辯論)은 질의응답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신장시켰다. 체험학습은 의학다창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의학다창의 학생들은 몽골 전통의학의 기초 지식 숙지는 물론, 약초 감별 및 채취법, 조제법과 임상 훈련을 받아야 했다. 탐구 교수법은 천문·역법 다창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별자리의 이동을 활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몽골력(蒙古曆) 제작을 통해 절기와 계절, 유목 생활의 기준이 되도록 하였다. 다창의 교수법은 학습 내용을 논쟁과 문답수업으로 완전히 체득하도록 하고, 체험과 탐구 교수법을 통해 학문과 실체를 모두 익히도록 체계화되었다. 아울러 다창의 학습체계를 통해 실용학문의 전문적 지식 습득을 통한 직업교육과 시민교육이 17~19세기 동양에서도 실시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다창(Datsan), 몽골 전통교육, 교육철학, 교수법, 변론(辯論)

참고문헌(26)open

  1. [학위논문] 김경나 / 2016 / 17-19세기 몽골불교사원의 다창 연구 -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2. [학술지] 김경나 / 2015 / 17~18세기 몽골전통의학 교육기관 만바다창 연구 / 백산학보 (102) : 77 ~ 105

  3. [학술지] 김경나 / 2016 / 19세기 몽골 다창의 교학제도와 분포 / 몽골학 (45) : 13 ~ 40

  4. [학술지] 양승규 / 2012 / 불교의학의 정립을 위한 시도 ―『사부의전(四部醫典)』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31 : 7 ~ 34

  5. [단행본] 박상준 / 2013 / 사회과교육의 이해 / 교육과학사

  6. [단행본] 빌터 하이시히 / 2003 / 몽골의 종교 / 소나무

  7. [단행본] 잠빠 린뽀체 / 2012 / 논리에 이르는 신비로운 열쇠-뒤다체계의 논리방식 / 도서출판 지영사

  8. [단행본] 최영준 / 2010 / 평생교육론 / 학지사

  9. [단행본] 허정 / 1996 / 世界 傳統醫學 紀行 / 보건신문사

  10. [단행본] 田中公明 / 2010 / 티베트 밀교 개론 / 불광출판사

  11. [학술지] 端智 / 2014 / 中华医学会医史学分会第十四届一次学术年会论文集 / 中华医史杂志 44

  12. [단행본] 德勒格 編著 / 1998 / 内蒙古喇嘛教史 / 内蒙古人民出版社

  13. [단행본] 蒙古學百科全書 編輯委員會 / 2012 / 蒙古學百科全書-醫學 / 內蒙古人民出版社

  14. [단행본] Kolb. D. A / 1984 / Experiential Learning :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 Prentice Hall

  15. [학술지] Margaret E. Goldberg / 1985 / Entity and Antinomy in Tibetan bsdus grwa Logic, part Ⅰ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13

  16. [단행본] Newmann, F. M / 1970 / Clarifying Public Controversy : An Approach to Teaching Social Studies / Little Brown and Co

  17. [학술지] Sarat Chandra Das / 1902 / A Tibetan-English dictionary, with Sanskrit Synonyms / The benegal secretariat book depôt

  18. [학술지] T. V. Wylie / 1959 / A standard system of Tibetan transcription /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22

  19. [단행본] Taube, E / 1983 / Schamanen und Rhapsoden. Die geistige Kultur der alten Mongolei / Koehler & Amelang

  20. [학술지] Б.Эрдэнэсувд / 2009 / Монголын сүм хийдийн түүхэн товчоон / Улаанбаатар

  21. [학술지] Д.Мөнх-очир / 2006 / Монгол зурхайн түүхэн товчоон, Улаанбаатар / Улаанбаатар

  22. [학술지] Монгол Улсын их сургууль / 1999 / Буддын шашин соёлын тайлбар толь / Улаанбаатар

  23. [학술지] О.Дагвадорж / 2004 / Уламжлалт боловсролын тогтолцоонд монгол дацагийн гүйцэтгэсэн үүрэг / Улаанбаатар

  24. [학술지] П.Гантуяа / 2015 / XVI-XX Зууны Монголын сүм хийд / эрдэмт мэргэд

  25. [학술지] Т.Булган / 2010 / Буддын философийн дэвтэр / Улаанбаатар

  26. [학술지] Ш.Болд / 2006 / Монголын уламжлалт анагаах ухааны түүх-дөтгөөр боть(1578 оноос 1937 он хүртэл) / Улаанбаата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