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identity Status;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사회과학연구
약어 : -
2016 vol.42, no.3, pp.191 - 213
DOI : 10.15820/khjss.2016.42.3.008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305 회 열람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5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낮게 나타났고 진로정체감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을수록 진로정체감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높다고 해서 진로정체감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통제가 심리적 독립으로 이어져 심리적 독립이 낮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이중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정체감을 예측하는 단일변인으로 유의하지 않고 심리적 독립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연결통로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stat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7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when higher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lower scores on career identity status were found. Study has shown that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Moreover, higher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career identity status.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necessarily led to lower levels of career identity status. Rat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led to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which in turn predicted lower levels of career identity status. Thir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effect on career identity status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by itself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areer identity status, but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linkage between them.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심리적 통제, 진로정체감, 심리적 독립, 대인관계 유능성, 매개효과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dentity status, psychological separation, interpersonal competence, medition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