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지금까지의 消滅語 硏究는 주로 近代國語 以前 단계의 資料를 對象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近代國語 이전 단계에서는 複合語였으나 現代國語에서 語彙化 過程에 있는 單語를 검토함으로써 현대국어 자료를 통하여 소멸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어휘화 과정에 있는 단어 안에 있는, 化石 形態의 성분이 바로 그 이전 시기에 존재하였던 단어의 흔적, 곧 消滅語인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현대어 ‘가라앉-’을 ‘-+-아+앉-’으로 분석하여 소멸어 ‘*-’을 찾았고, 현대어 ‘주저앉-’를 ‘?B-+-어+앉-’으로 분석하여 소멸어 ‘*?B-’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가가다’와 ‘무너지다’ 속에 있는 ‘다그-’와 ‘무느-’의 쓰임도 살펴보았는데, 이 단어들 역시 현대국어에서 거의 單獨形으로 나타나지 않아 앞으로 消滅語가 될 可能性이 있다. 앞으로 이러한 分析 方法을 통하여 더 많은 소멸어를 찾을 수 있으리라 期待해 본다.

키워드

消滅語, 語彙化, 化石形, 複合語, 單一語, 語幹

참고문헌(18)open

  1. [학술지] / 1987 / 語彙素 設定과 音韻現象

  2. [학술지] / 1973 / 國語 語彙 磨滅의 硏究

  3. [학술지] / 1985 / 母音調和의 例外에 대한 硏究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4. [학술지] / 1983 / 派生語 形成과 通時性의 問題

  5. [학술지] / 1990 / 國語의 派生語形成 硏究

  6. [학술지] / 1993 / 언어 변화와 언어의 화석 國語史 資料와 國語學의 硏究

  7. [학술지] / 1997 / 국어 어휘의 구조와 특징 : 761 ~ 776

  8. [학술지] / 1978 / 十五世紀 國語의 活用語幹에 對한 形態論的 硏究

  9. [학술지] / 1998 / 新訂版 國語史槪說

  10. [학술지] / 2001 / 합성어의 단일어화 현상 104 : 143 ~ 165

  11. [학술지] / 2005 / 近代國語의 單語形成에 대한 고찰 126 : 13 ~ 127

  12. [학술지] / 2006 / 국어 어간복합어 연구 53

  13. [학술지] / 1997 / 國語 形態史 硏究

  14. [학술지] / 1992 / 融合形의 形態分析과 形態의 化石

  15. [학술지] / 1999 / 국어문법론강의

  16. [학술지] / 1991 / 國語 語彙史 硏究의 흐름

  17. [학술지] / 1997 / 중세국어의 강세접미사에 대한 일고찰 : 707 ~ 724

  18. [학술지] / 2005 / 현대국어의 화석과 그 역사적 해석 45 : 275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