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심리적 성장환경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총 4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성장환경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심리적 성장환경과 행복감 역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감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와 소망적 사고가 행복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각 요인들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행복감을 유의하게 높게 보고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조력추구, 소망적 사고는 여자 대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하였다. 심리적 성장환경,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각 하위요인 그리고 성별 중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완화였으며, 정서적 완화는 심리적 성장환경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정적으로 부분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개인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정서적 완화방식은 행복감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stress coping strategy, subjective happiness, 대학생, 심리적 성장환경, 스트레스 대처방식, 행복감

Abstract

The results of 463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PGE) scale, Additionall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and the subjective happiness(SH) scale,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We analyzed what was most influential on subjective happiness among PG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gender, and then whether emotional relaxation, which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H, mediates the effect of PGE on SH. In the results that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PG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oping strateg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GE and SH also presented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S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emotional relaxation and hopeful thou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H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der, 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er SH tha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ported a higher tendency to seek help and use hopeful thinking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Third, emotional relax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SH among PGE,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gender.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GE and SH, emotional relaxation had a nega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perceived PGE affects SH, and emotional relaxation i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has a negative effect on SH.

keywords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stress coping strategy, subjective happiness, 대학생, 심리적 성장환경, 스트레스 대처방식, 행복감

참고문헌

1.

강미진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금주 (1998). 자기효능감과 도덕적 이탈 (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1), 1-11.

3.

권도영 (200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권수경 (1996).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기정 (1984). 학업성취와 지각된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도란, 김정원 (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7.

김석경 (2002).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극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성숙 (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수주 (2002). 중․고등학생의 학교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 연구, 7(1), 127-138.

12.

박영신, 김의철 (2005). 청소년과 성인세대의 한국사회와 사람에 대한 인식 및 신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3), 91-119.

13.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05).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 학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2), 73-108.

14.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기 성인기의 친밀한 대인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박혜정 (200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식.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박혜정 (2013).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배옥현, 홍상욱 (2008). 대학생의 자아분화정도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 (1), 27-34.

18.

변은주 (1999). 의사결정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미결정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연은경 (2011).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회복실 간호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유정선, 이정숙 (2004).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75-183.

21.

윤진, 최정훈 (1989). 성역할 고정관련과 남성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2), 70-83.

22.

이경민 (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광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23.

이배근 (2008).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 한국아동학회지 학술발표논문집, 3-19.

24.

이소은 (1990).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아동 및 청소년의 대처방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이여진 (2010). 남녀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이자영 (2013).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임민아 (200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장순정 (2003). 청소년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적응유연성 및 비행성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정명희 (200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정미경 (2013). 군 입대 전 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성장환경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 6(2), 65-91.

31.

정원식 (1968). 가정환경 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코리안테스팅센타.

32.

정원식 (2005). 인간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3.

정윤선 (1993).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불행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정은선 (2008).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5.

조미랑 (2004). 외향성 수준과 문화적 자기관 유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최미경, 조용래 (2005).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281-298.

37.

현명숙 (1989).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황정규 (1964). 행동진단의 기술. 서울: 현대교육총서.

39.

Billings, A. G., & Moos, R. H.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2). 139-157.

40.

Bloom, B. S. (1964).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42.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2). 117-124.

43.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Hill.

44.

Compton, W. C. (2007). 긍정 심리학 입문.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 서울: 박학사.

4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46.

Erikson. E. H. (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W. W. Norton & Company.

47.

Felsten, G. (2004). Stress reactivity and vulnerability to depressed mood i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4). 789-800.

48.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9.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50.

Hudson. J. L. & Rapee. R. M. (2001).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anxiety disorders: An observational stud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9(12). 1411-1427.

51.

Ingelhart, R. (1990). Cultural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2.

Manstead, A. S. R. (1992).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 In A. Gale & M. W. Eyesenck(Eds.),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Bi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53.

Missildine. W. H. (1963). Your inner child of the past. New York : Simon & Schuster.

54.

Overbeek. G., Have. M., Vollebergh. W., & Graaf. R. (2007). Parental lack of care and overprotection: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DSM-Ⅲ-R disord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2(2). 87-93.

55.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서울: 물푸레. (원서 2004년 발행).

56.

Selye, H. (1974). Stress without distress. New York: McGraw-Hill Co.

57.

Thomasgard. M. (1998).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Vulnerability, Overprotec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8(4), 223-240.

58.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1), 1-3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