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경계선 성격특성과 공격성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as Sequential Mediators

초록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 198명(남 49명, 여 1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 고통감내력 부족 척도(DII), 한국판 분노반추 척도(K-ARS), 자기보고식 공격성 및 사회적 행동 질문지(SRASBM)를 사용하였다. Process Macro를 통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감내력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공격성을 예측하는 기제에서 정서적, 인지적 요인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치료 표적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학술적, 임상적 함의가 있다.

keywords
경계선 성격장애, 고통감내력, 분노반추, 공격성,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ggression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as sequential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98 college students (49 males and, 149 females) who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nd ag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stress tolerance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whereas anger rumination did.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aggression.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on aggression via distress tolerance and anger rumination was significant. This study expanded the literature by elucidating the conjoint roles of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in the mechanism for predicting aggression in relation to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nd underscores those factors as potential targets for intervention.

keywords
경계선 성격장애, 고통감내력, 분노반추, 공격성,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 distress tolerance, anger rumination, aggress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