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인 남한과 북한은 서로 상이한 이념과 체제하에 각각의 헌법을 보유하고 있다. 남북한은 각각 자신의 체제유지와 정당화의 기반을 달리함으로써 서로대립관계에 놓여 있다. 북한헌법은 1948년 9월 8일에 제정된 뒤, 2012년 4월 13일 개정까지 11차례의 개정을 단행하였다. 북한의 헌법은 “국가사회제도, 공민의 기본적 권리와 의무, 국가주권의 조직 및실현과 관련된 사회관계를 규제하는 법”으로서 ‘국가의 기본법’이라고 한다. 남북한의 헌법은 각기 다른 이념권에 속하여 그것이 지향하는 목표가 다르며, 그 규범력도 다르기 때문에 이를 평면적으로 비교ㆍ검토하는 것은 큰 의의가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북한헌법의 체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해 전망해보는 일은 통일국가의 미래상을 구축하여나아가는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1세기 한민족 최대의 과제가 될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치ㆍ사회ㆍ문화 등 모든방면에서의 연구와 준비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러한 모든 활동의 기초와 근거를 제공할법ㆍ제도적 정비의 문제는 결코 소홀히 다룰 수 없을 것이다. 통일국가에서 예상되는 갈등구조는 남북한의 기존 정치세력의 기득권 유지라는 차원에서 첨예하게 대립할 수 있다. 그래서 합의통일이란 원칙하에 통일국가의 권력구조는 어느일방의 인적ㆍ물적 배분의 독점으로 인한 정치적 소외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어야한다. 무엇보다 통일국가의 권력구조는 남북한의 정치적 갈등구조를 융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의 통일은 결국 단일의 헌법체제하에 놓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반드시 남북한 헌법체제의 이질성은 극복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헌법통합을 위해서는남북한 헌법체제의 비교를 통해 양자의 헌법체제에 대한 이해를 넓혀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북한의 정치ㆍ경제ㆍ사회를 반영하는 산물이며, 사회 변화의 결과를 헌법에서 수용해 오고 있다는 점과, 특히 정치권력 부문에서는 1인 독재의 완성과 후계구도를 위한 담보적 기능으로서의 헌법개정이 이루어진 측면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북한헌법의개정을 바탕으로 한 북한의 권력구조의 분석은 향후 김정은 체제의 방향을 예측해 볼 수있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실질적 의미가 있다.

키워드

북한헌법, 통일국가, 통일헌법, 권력구조, 헌법개정

참고문헌(37)open

  1. [단행본] 심형일 / 1991 / 주체의 사회주의 헌법이론 / 사회과학출판사

  2. [단행본] 이종석 / 2005 / 신북한정치론 / 동림사

  3. [단행본] 정성장 / 2011 / 현대북한의 정치<역사ㆍ이념ㆍ권력체계> / 한울아카데미

  4. [단행본] 법무부 / 2015 / 남북비교법령집 / 법무부 통일법무과

  5. [단행본] 법원행정처 / 2010 / 북한의 헌법

  6. [기타] 통일부 / 2009 / 조선노동당 규약

  7. [단행본] / 1985 / 정치사전 / 백과사전출판사

  8. [학술지] 강현철 / 2014 / 남북한 통일헌법상의 정부형태에 관한 연구 / 유럽헌법연구 (16) : 67 ~ 96

  9. [학술지] 김병록 / 1997 / 통일헌법의 국가형태에 관한 연구 / 공법연구 25 (4)

  10. [학술지] 김철수 / 1997 / 남북한헌법의 비교 / 고시계

  11. [학술지] 김형성 / 2012 / 북한헌법 변화의 특징과 전망 / 성균관법학 24 (2) : 1 ~ 37

  12. [학술지] 리명일 / 2001 / 우리나라 사회주의 헌법은 김일성헌법 / 력사법학 47 (3)

  13. [학술지] 박수혁 / 2010 / 통일한국에서의 통일헌법상 통치구조에 관한 연구 / 통일과 법률 (3)

  14. [학술대회] 박정원 / 2011 / 북한 헌법 체제의 특징과 전망 / 제헌63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15. [학술지] 박정원 / 2013 / 북한의 입법이론과 체계 분석 / 법학논총 26 (2) : 211 ~ 256

  16. [학술지] 박정원 / 1998 / 통일헌법에 관한 골격구상 / 공법연구 27 (1)

  17. [학술지] 박진우 / 2010 / 2009년 개정 북한헌법에 대한 분석과 평가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16 (3) : 855 ~ 880

  18. [학술지] 백성일 / 2002 / 헌법의 구성체계에 대한 력사적 고찰 / 력사법학 48 (3)

  19. [학술지] 변해철 / 1993 / 남북한통합과 통치구조문제 / 공법연구 21

  20. [학술지] 성낙인 / 2007 / 통일헌법상 권력구조에 관한 연구 / 공법연구 36 (1) : 453 ~ 490

  21. [보고서] 이기동 / 2009 / 북한의 후계구도 전망과 권력구조 변화

  22. [학술지] 이상민 / 1991 / 북한의 정치구조와 권력세습 / 북한연구 2 (3)

  23. [단행본] 이종석 / 2000 / 김정일시대의 당과 국가기구 / 세종연구소

  24. [보고서] 이효원 / 2009 / 2009년 북한헌법 개정과 북한체제의 변화

  25. [학술지] 장명봉 / 2008 / 남북한 헌법체제의 비교와 통일헌법의 지향점 및 과제 / 공법연구 37 (1) : 195 ~ 219

  26. [단행본] 장명봉 / 1999 / 북한법 50년, 그 동향과 전망 /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27. [학술대회] 정영태 / 2009 / 헌법개정과 북한 권력구조의 변화 : 당ㆍ정ㆍ군관계를 중심으로 / 2009년 북한헌법 개정과 북한체제 변화 학술회의 자료집

  28. [학술지] 최남혁 / 2002 / 공화국헌법의 발전과 그 특징 / 력사법학 48 (4)

  29. [학술지] 최용기 / 1998 / 통일 헌법의 기본원리 / 헌법학연구 4 (2)

  30. [학술지] 최용전 / 1995 / 북한헌법의 사상적 기초인 우리식 사회주의 / 학술논총 18

  31. [학술지] 함성득 / 2010 / 북한의 헌법개정과 권력구조 변화 연구: 2009년 개정헌법의 특징을 중심으로 / 평화연구 18 (1) : 119 ~ 154

  32. [학위논문] 朴井源 / 1997 / 南北韓 統一 憲法에 관한 연구 : 統一憲法의 基本秩序와 내용을 중심으로

  33. [학위논문] 이용삼 / 2004 / 남북한 헌법상 통치구조의 비교와 통일한국헌법의 통치구조에 관한 연구

  34. [학위논문] 張明奉 / 1985 / 共産圈 憲法에 관한 연구 : 北韓의 社會主義憲法을 中心으로

  35. [학위논문] 정윤선 / 2012 / 남북한 헌법규범에 따른 통일헌법 제정에 관한 연구 : 통치권력 통합을 중심으로

  36. [학위논문] 조재현 / 2012 / 북한헌법의 변화에 관한 연구

  37. [학위논문] 조진욱 / 2005 / 남북통일과 통치구조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