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발문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use of divergently challenging inquiries on 5-year-olds’ creativity development

육아지원연구
약어 : -
2010 vol.5, no.2, pp.137 - 156
DOI : 10.16978/ecec.2010.5.2.007
발행기관 : 한국육아지원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육아지원학회
212 회 열람

본 연구는 확산적 사고를 격려하는 교사의 발문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B사립유치원에 재원하고 있으면서 사전 발달 검사 결과 전반적 발달에 차이가 없는 만 5세 유아 44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5세 유아의 담임교사 2명이 공유하여 활용하는 교육계획안 중 실험집단의 교사에게는 확산적 사고를 격려하는 발문을 통해 유아와 상호작용을 하도록 교육을 실시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교사는 원래의 교육계획안을 그대로 적용하게 하였다. 실험집단 교사의 발문교육은 4월 첫 주부터 5주 동안 주 5~6개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창의성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창의성 점수가 통제집단 유아들에 비해 유창성, 독창성, 상상력의 척도별 창의성과 언어 및 신체의 영역별 창의성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의 확산적 사고를 격려하는 교사의 발문이 유아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use of divergently challenging inquiry on 5 years old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In this study, forty-four 5-year-olds and two teachers participated.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training related to promote divergently challenging inquiry and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when they were engaged in group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were as follows.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use of questions that encouraged th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the statistically higher scores on the level of creativity development and division of creativity.

발문유형/확산적 사고/창의성
Inquiry style/Divergent thinking/Creativity

  • 1. [학술지] 곽정희 / 2002 / 교사의 발문유형에 따른 이야기나누기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신라대학교 논문집 / 51 : 129 ~
  • 2. [보고서] 교육개혁위원회 / 1997 / 新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5월 2일 제5차 대통령 보고서
  • 3. [보고서] 교육과정평가원 / 2010 / KICE position paper 연구자료, 2(3). 통권 12호.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정착을 위한 과제
  • 4. [단행본]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 교육과학기술부
  • 5. [단행본] 교육부 / 1997 /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서 / 교육부
  • 6. [학위논문] 김경철 / 1987 / 탐색적 발문유형이 연상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 7. [학술지] 김영옥 / 1997 / 교사의 탐구적 발문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학논집 / 18 (2) : 299 ~ 2
  • 8. [단행본] 김영채 / 2010 /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 교육과학사
  • 9. [학술지] 김온기 / 2001 / 과학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유아교육연구 / 21 (2) : 25 ~ 2
  • 10. [학술지] 김호 / 2009 /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인 저널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14 (5) : 205 ~ 5 kci
  • 11. [학술지] 김희태 / 2009 /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 / 유아교육학논집 / 13 (3) : 51 ~ 3 kci
  • 12. [학술지] 노영희 / 2006 / 유아교사의 자기 평정용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 유아교육연구 / 26 (2) : 93 ~ 2 kci
  • 13. [학위논문] 문형순 / 1996 / 교사의 발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14. [학위논문] 박상희 / 1990 / 이야기 내용에 대한 질문방식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15. [학술지] 박상희 / 2002 / 통합적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유아보육학 / 29 : 243 ~ kci
  • 16. [학위논문] 박옥자 / 2008 /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17. [학위논문] 설경숙 / 2004 / 훈화 동시를 통한 그리기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주는 영향
  • 18. [학술지] 성은영 / 2006 / 교사의 발문 변화에 따른 유아의 사고 변화 탐색­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학논집 / 10 (4) : 371 ~ 4 kci
  • 19. [학술지] 손지원 / 2008 /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과서 사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 분수 단원에 제시된 수학 문제의 인지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연구 / 26 (3) : 155 ~ 3 kci
  • 20. [학위논문] 송연자 / 2003 /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프로그램의 효과
  • 21. [학위논문] 신정숙 / 1989 / 교사의 관찰형 질문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에 미치는 영향
  • 22. [학술지] 유구정 / 2003 / 동화 듣기 활동에서 발산적 발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열린유아교육연구 / 8 (3) : 99 ~ 3 kci
  • 23. [학술지] 이기우 / 1989 / 질문 유형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창의력 교육연구 / 2 : 89 ~
  • 24. [학위논문] 이기중 / 2004 /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의 훈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5. [학술지] 이미혜 / 2010 /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유아보육학 / 61 (61) : 281 ~ 61 kci
  • 26. [학술대회] 이성진 / 1995 / 세계화와 창의성 교육. 세계화 시대의 창의성 교육 / 한국어린이육영회 학술대회자료집 : 7 ~
  • 27. [학술지] 이춘희 / 1998 / 동화제시 및 질문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동화구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유아보육학 / 15 : 55 ~
  • 28. [학술지] 이혜경 / 2007 / 이야기나누기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 수준과 사용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11 (4) : 77 ~ 4 kci
  • 29. [학술지] 임선빈 / 1996 / 교사의 인지적 발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교육연구 / 14 : 141 ~
  • 30. [학위논문] 장미정 / 1996 / 유아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 31. [학술지] 장영숙 / 2010 /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의 내ㆍ외재 동기, 자기효능감 및 창의성 / 유아교육학논집 / 14 (2) : 249 ~ 2 kci
  • 32. [학술지] 전경원 / 1997 / 창의성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효과 / 교육심리연구 / 11 (2) : 223 ~ 2
  • 33. [단행본] 전경원 / 2000 / 유아종합창의성검사 / 학지사
  • 34. [단행본] 전경원 / 2008 / 유아종합창의성검사 문헌분석적 연구와 논문요약집 / 학지사
  • 35. [학술지] 전윤숙 / 2009 / 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확인 / 유아교육연구 / 29 (5) : 241 ~ 5 kci
  • 36. [단행본] 조선희 / 2004 / 유아철학놀이 / 창지사
  • 37. [학술지] 조부경 / 1996 /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 아동학회지 / 17 (1) : 23 ~ 1
  • 38. [학위논문] 차미정 / 1990 / 창의성 훈련프로그램의 구성방법, 교사훈련 여부가 유아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9. [학위논문] 최경순 / 1997 / 창의적 동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 40. [학술지] 최미숙 / 2007 / 유아의 정보처리 및 교사발문 유형에 따른이야기 구성능력의 연령별 분석 / 열린유아교육연구 / 12 (5) : 231 ~ 5 kci
  • 41. [학위논문] 최은영 / 2005 / 사설기관의 유아창의성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42. [학위논문] 한은주 / 2002 / 동화듣기 활동 후 교사의 질문유형이 유아의 언어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43. [학술지] 허미애 / 2008 / 유아교사의 사고성향수준과 질문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야기나누기시간에서의 언어를 통한 문제해결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학논집 / 12 (2) : 233 ~ 2 kci
  • 44. [학위논문] 허순희 / 1996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놀이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45. [학위논문] 홍미숙 / 2001 / 통합적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6. [학위논문] 황휘정 / 2004 / 실험구성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47. [단행본] Amabile, T. M. / 1983 /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 Springer-Verlag
  • 48. [학술지] Caran, C. A. / 2005 / Inviting student engagement with questioning / Kappa Delta pi Record / 42 : 18 ~
  • 49. [학술지] Cliatt, M. P. / 1980 /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 Child Development / 51 : 1061 ~ crossref
  • 50. [단행본] Craig, J. / 2005 /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ing and understanding to improve learning and think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mathematics: A pilot study / Appalachia Educational Laboratory at Edvantia, Inc.
  • 51. [학술지] Eysenck, H. J. / 1993 / Creativity and personality: A theoretical perspective / Psychological Inquiry / 4 : 147 ~ crossref
  • 52. [단행본] Guilford, J. P. / 1967 /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s / MaGraw-Hill
  • 53. [학술지] Justice, L. M. / 2002 / A sequential analysis of children’s responsiveness to parental print references during shared book-reading interactions /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 11 : 30 ~ crossref
  • 54. [학술지] Kind, P. M. / 2007 / Creativity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 and challenges for developing school science /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 43 : 1 ~ crossref
  • 55. [단행본] Kostelnik, M. J. / 1998 /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Delman Publishers
  • 56. [학술지] Massey, S. L. / 2004 / Teacher-child conversation in the preschool classroom /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 31 (4) : 227 ~ 4 crossref
  • 57. [학술지] Massey, S. L. / 2008 / Educators’ use of cognitively challenging questions in economically disadvantaged preschool classroom contexts /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 19 (2) : 340 ~ 2 crossref
  • 58. [학술지] Parary, J. / 2002 / Misconceptions about a curriculum-as-inquiry framework / Language Arts / 79 (6) : 498 ~ 6
  • 59. [단행본] Sawyer, R. K. / 2006 /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 human innov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60. [학위논문] Son, J. / 2008 /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textbook use in terms of cognitive demands and influential factors: A mixed method study
  • 61. [학술지] Spillane, J. P. / 1999 / Reform and teaching: Exploring patterns of practice in the context of national and state mathematics reforms /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 21 (1) : 1 ~ 1 crossref
  • 62. [단행본] Stein, M. K. / 2000 /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63. [단행본] Taylor, I. A. / 1959 / The nature of creative process. in: Creativity / Hastings House : 51 ~
  • 64. [단행본] Torrance, E. P. / 1963 /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 Univ. of Minnesota Press
  • 65. [학술대회] Urban, K. K. / 1995 /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eijing China
  • 66. [단행본] VanDemard, N. I. / 1991 / Breaking the barriers to everyday creativity: A practical for expanding your creative horizons / CEF, Inc.
  • 67. [단행본] Wallas, G. / 1926 / The art of thought / Harcout, Brace
  • 68. [단행본] Ward, T. B / 1995 / Creativity and the mind: Discovering the genius within / Plenum
  • 69. [학술지] Zucker, T. A. / 2010 / Preschool teachers’ literal and inferential questions and children’s responses during whole-class shared reading /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 25 : 65 ~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