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장아동을 입양하여 양육하고 있는 입양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접근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고, 여기에는 연장입양가족들이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여러 국면들과 경험들, 그리고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적응을 위해 가족들이 동원하고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들이 포함되었다. 적응과정상의 국면들은 낯선 만남, 충격, 고군분투, 조절, 안정 등 다섯 가지 국면으로 구성되었다.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방해하는 장애물들로는 문제행동, 잃어버린 시간, 준비 부족, 경험 부족, 악순환의 고리, 혼자 버팀, 부적절한 자원, 지지 받지 못함, 비난 받음 등이 있었고, 연장입양가족들이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으로는 양육 경험, 지적 능력, 의지, 신앙, 관점 전환과 같은 개인 자원과 능력, 배우자나 다른 자녀와 같은 가족 자원, 확대가족, 친척, 친구, 이웃, 다른 입양가족과 같은 비공식 지지체계, 입양실무자나 원조전문가들과 같은 공식 자원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분야에서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키워드

입양, 연장입양, 연장입양가족, 적응과정, 질적 연구

참고문헌(21)open

  1. [학위논문] 고혜정 / 2005 / 연장아 입양 부모의 자녀문제 지각과 적응촉진요소 및 장애요소에 대한 사례연구:한국입양홍보회 연장아 입양가족을 중심으로 부모의 관점에서 본 사례

  2. [기타] 보건복지부 / 2010 / 2009 보건복지통계연보

  3. [학술지] 신혜원 / 2011 / 연장입양아 가족의 부모-자녀 애착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 대한가정학회지 49 (2) : 85 ~ 95

  4. [학술지] 안재진 / 2009 / 국내 입양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개입양 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 29 (29) : 187 ~ 219

  5. [학위논문] 윤현선 / 2001 / 국내입양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수행자신감,가족적응력간의 관계:자조모임 참가 입양부모를 중심으로

  6. [학술지] 이미선 / 2002 / 해외입양인의 자아정체감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복지학 24 (14) : 114 ~ 144

  7. [학술지] 정익중 / 2010 / 연장입양 가족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29 (29) : 55 ~ 84

  8. [단행본] 조흥식 / 2010 /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 학지사

  9. [학술지] 최운선 / 2008 / 입양아동의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Ⅱ1) -1차년도 자료의 사회성발달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 아동과 권리 12 (4) : 473 ~ 502

  10. [단행본] Barth, R / 1988 / Adoption and disruption: Rates, risks, and responses / Aldine de Gruyter

  11. [학술지] Brodzinsky, D. M. / 1991 / The impact of family structure on the adjustment of adopted children / Child Welfare 711 : 69 ~ 76

  12. [단행본] Figley, C. / 1998 / Burnout in families: The systemic cost of caring / CRC Press

  13. [학술지] Jones, A. / 1997 / Issues relevant to therapy with adoptees / Psychotherapy 341 : 64 ~ 68

  14. [단행본] Levy, T. M. / 2000 / Attachment disorder as an antecedent to violence and antisocial patterns in children, In Handbook of attachment interventions / Academic Press

  15. [단행본] Levy, T. M. / 2000 / Attachment disorder and the adoptive family, In Handbook of attachment interventions / Academic Press

  16. [단행본] Moss, K. / 1997 / Integrating attachment theory into special needs adoption / Beech Brook

  17. [학술지] Rosenthal, J. A. / 1993 / Outcomes of adop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The Future of Children 3 : 77 ~ 88

  18. [학술지] Sharma, A. R. / 1996 /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of United States adopted adolescent. Part 2: Age at placement /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8 : 83 ~ 100

  19. [학술지] Smith, D. W. / 2002 / Coping with birthparent loss in adopted children /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2 : 213 ~ 223

  20. [단행본] Tommie, J. / 2001 /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 Allyn and Bacon

  21. [인터넷자료] 국립국어원 /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