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ve Ability and Adaptive Behavior Development on the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약어 : -
2011 vol.19, no.1, pp.15 - 28
DOI : 10.17006/kjapa.2011.19.1.15
발행기관 : 한국특수체육학회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한국특수체육학회
529 회 열람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장애 판별 준거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7세~10세의 지적장애 남자아동 113명으로 연령대별 분포를 고려하여 유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어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Kit; KISE-KIT),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발달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s of Adaptive Behavior; KISE-SAB), 대근운동숙련도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및 대근운동발달검사(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 TGMD-2)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대한 계량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각각의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분석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작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 숙련도의 하위요인인 균형능력을 제외한 속도, 협응, 힘능력과 대근운동발달에 해당하는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의 속도 및 균형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념적, 사회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의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제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 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에,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아동들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이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ve ability and adaptive behavior development on the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137 children(age from 7 to 10) with ID, in the Seoul and Kyung-gi province. Several different instruments included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KISE-KIT) for cognitive ability,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 of adaptive behavior(KISE-SAB) for adaptive behavior, bruininks-osere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for gross motor proficiency, and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TGMD-2) for gross motor development were utilized.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ver 15.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coordination, and power ability. Second, verbal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and balance ability. Third, conceptual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bject control skill and locomotor skill. Fourth, practic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sub-scale of gross motor development. Finally, cognitive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proficiency than to adaptive behavior ability, however, adaptive behavior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development than to cognitive a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gnitive abilities and adaptive behavior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osely related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was shown.

지적장애 아동, 인지능력, 적응행동, 대근운동숙련도, 대근운동발달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gnitive Ability, Adaptive Behavior, Gross Motor Proficiency, Gross Motor Development

  • 1. [학술지] 강유석 / 2009 / 다운증후군 아동의 시지각협응력을 통한 기본운동기술 수행력 예측 분석 / 한국체육학회지 / 48 (5) : 485 ~ 5 kci
  • 2. [학술지] 노형규 / 2003 / 눈 사지 협응 훈련이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물체조작 운동 기술에 미치는 형향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1 (3) : 81 ~ 3 kci
  • 3. [학술지] 김도호 / 2007 /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중등도 정신지체아동의 신체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 46 (4) : 593 ~ 4 kci
  • 4. [학위논문] 김명서 / 1987 / 유아들의 생활환경에 따른 운동능력발달에 관한 연구-조정력(협응력)을 중심으로
  • 5. [단행본] 김선진 / 2004 / 운동발달의 이해 / 서울대학교출판부
  • 6. [학술지] 김지태 / 2005 / 나이, 성별 및 부모의 체육활동 수준에 따른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기본운동기술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3 (1) : 45 ~ 1 kci
  • 7. [단행본] 박경숙 / 2002 /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 KISE-KIT 검사요강 / 교육과학사
  • 8. [학술지] 박기호 / 1986 / 운동 기능과 지능의 발달에 대한 연구 / 論文集 / 20 (2) : 437 ~ 2
  • 9. [학위논문] 박대근 / 2005 / 유아기 대소근육 운동발달의 과정적 특성
  • 10. [학위논문] 박재성 / 2004 / 움직임교육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부적응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 11. [학술지] 박평문 / 1999 / 놀이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 38 (3) : 946 ~ 3
  • 12. [학술지] 이명수 / 2005 / 취학 전 정신지체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운동능력 비교 / 한국발육발달학회지 / 13 (3) : 63 ~ 3 kci
  • 13. [학위논문] 이복희 / 2001 / 신체활동중심의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적응행동 및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14. [학술지] 임수연 / 2007 / 전래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연구 / 9 (3) : 23 ~ 3 kci
  • 15. [학술지] 장경호 / 1999 / 개별교육 팀-모델에 따른 정신지체 학생의 인지능력과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7 (1) : 27 ~ 1
  • 16. [학술지] 정상택 / 2002 / 인지적 요소를 포함한 운동이 아동의 IQ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 41 (2) : 89 ~ 2 kci
  • 17. [단행본] 정인숙 / 2003 /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검사 KISE-SAB 요강 / 문화인쇄
  • 18. [학위논문] 최범권 / 2010 / 지적장애 아동의 대근운동발달 경향 및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운동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19. [학위논문] 홍대권 / 2003 / 운동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적응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20. [단행본] Bruininks, R. H. / 1978 /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 American Guidance Service
  • 21. [단행본] Burton, A. W. / 1998 / Movement skill assessment / Human Kinetics
  • 22. [학술지] Bushnell, E. W. / 1993 / Motor development and the mind: The potential role of motor abilities as a determinant of aspects of perceptual development / Child Development / 64 : 1005 ~ crossref
  • 23. [학술지] Carr J. / 2005 / Stability and change in cognitive ability over the life span: A comparison of population with and without Down's syndrome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 49 (12) : 915 ~ 12 crossref
  • 24. [단행본] Doll, E. A. / 1946 / The Oseretsky tests of motor proficiency. Translation from the Portuguese Adaptation / American Guidance Service
  • 25. [학술지] Hawkins, G. D. / 1990 / Adaptive behavior measures in mental retardation research: Subject description in AJMD/AJMR articles (1979-1987) /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 94 : 654 ~
  • 26. [단행본] Haywood, K. M. / 2001 / Life span motor development(3rd ed.) / Human Kinetics
  • 27. [단행본] Kline, R. B. / 2005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 Guilford Press
  • 28. [학술지] Kokubun, M. / 1995 / Factors affecting age of walking by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80 : 547 ~ crossref
  • 29. [학술지] Mancini, M. C. / 2003 / Comparison of functional performance amo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nd children with age-appropriate development at 2 and 5 years of age / Arquivos de Neuropsiquiatria / 61 : 409 ~ crossref
  • 30. [학술지] McLaren, J. / 1987 /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studies of mental retardation: Prevalence, associated disorders, and etiology /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92 : 243 ~
  • 31. [단행본] Piek, J. P. / 2008 / The role of early fine and gross motor development on later motor and cognitive ability / Human Movement Science. In press
  • 32. [학술지] Reschly, D. J. / 1991 / Use of adaptive behavior and over representation of black students in programs for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 96 : 257 ~
  • 33. [학술지] Spano, M. / 1999 / Motor and perceptual-motor competence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Variation in performance with age /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Neurology / 3 (1) : 7 ~ 1 crossref
  • 34. [단행본] Ulrich, A. D. / 2000 /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Examiner's manual(2nd ed.) / Pro-Ed
  • 35. [학술지] Vicari, S. / 2006 / Motor development and neuropsychological patterns in person with Down syndrome / Behavior Genetics / 3 : 355 ~ crossref
  • 36. [학술지] Volman, M. J. M. / 2007 / Functional status in 5 to 7-year-ol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in relation to motor ability and performance mental ability /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 29 : 25 ~ crossref
  • 37. [학술지] Wijnroks, L. / 2003 / Individual differences in postural control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preterm infants /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 26 : 14 ~ crossref
  • 38. [단행본] Winnick, J. P. / 2000 /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 Human Kinetics
  • 39. [단행본] Woollacott, M. / 1990 / Development of posture and balance 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posture and gait across the life span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