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총 195명의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배경변인별 스포츠 가치관과 사회 자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남자들이 여자들보다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종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20대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30대는 사교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40대는 사교적 가치관과 오락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경력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1년-5년의 운동경력자는 스포츠 가치관 하위영역인 종교적 가치관과 품성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년 이상의 운동경력자는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그리고 지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시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3시간 이상 운동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시간-2시간 운동 참가자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빈도에 있어서 스포츠 활동에 참가하는 주 3회 이상 참가자는 스포츠 가치관의 하위영역인 사교적 가치관, 오락적 가치관, 품성적 가치관과 지적 가치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 1회-2회 참가자에서는 종교적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 가치관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스포츠 가치관은 사회자본의 하위영역인 규범(호혜성)과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장애인, 스포츠 활동, 스포츠 가치관, 사회 자본

참고문헌(27)open

  1. [학술지] 강효민 / 2008 / 지역사회에서 스포츠클럽 활동과 사회적 자본 형성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1 (4) : 845 ~ 863

  2. [학술지] 권민혁 / 2009 / 청소년의 체육 성적과 사회 자본의 관계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2 (2) : 21 ~ 34

  3. [학술지] 김상겸 / 2000 /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 / 한국스포츠법학회지 : 57 ~ 82

  4. [학술지] 김영덕 / 2010 /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체육활동 참여정도, 삶의 질의 예측 모형 검증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8 (2) : 95 ~ 110

  5. [학술지] 김윤승 / 2012 /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이 취업 및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와 고용 22 (1) : 55 ~ 86

  6. [학위논문] 김은정 / 2012 / 중등학교 교사의 체육활동이 스포츠 가치관 및 학생건강지도에 미치는 영향

  7. [학위논문] 노형규 / 1998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8. [학술지] 박병도 / 2013 / 특수체육 전공 대학생들의 스포츠 가치관이 교직선택 동기에 미치는 영향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1 (2) : 27 ~ 39

  9. [학위논문] 박양래 / 2005 / 고등학생의 스포츠 수용태도와 스포츠 가치관의 관계

  10. [학위논문] 박원배 / 2011 / 배드민턴 동호인의 사회적 지원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11. [보고서] 보건복지부 / 2011 /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12. [학위논문] 심규문 / 2010 / 스포츠가치관과 스포츠미디어 수용의 관계

  13. [학위논문] 양국진 / 2002 /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14. [학술지] 오광진 / 2004 / 신체활동이 지체장애인의 스포츠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43 (4) : 719 ~ 732

  15. [학술지] 윤석민 / 2015 / 장애인운동선수의 인권확립과 복지향상 방안 /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3 (1) : 1 ~ 12

  16. [학술지] 이상길 / 1988 /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의 과제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신문화 강좌 2 : 115

  17. [학술지] 이용선 / 2012 /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사회적 자본이 운동선수만족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한국체육학회지 51 (4) : 93 ~ 109

  18. [학술지] 전태준 / 2011 / 대학 스포츠동아리 참가자의 여가인식과 스포츠태도 및 스포츠사회화의 관계 / 한국체육학회지 50 (5) : 93 ~ 105

  19. [학위논문] 최석환 / 2009 / 중년세대의 여가인식과 스포츠가치관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20. [학술대회] 최승권 / 복지사회에 있어서 장애인의 삶의 질복지사회와 사회체육의 역할 / 제10회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21. [단행본]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 1994 / 특수체육총론 / 태근문화사

  22. [학술지] 홍영란 / 2002 / 사회적 자본과 사회통합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방향. / 인력개발연구 4 (1) : 28 ~ 47

  23. [단행본] Bourdieu, P. / 1986 /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 Greenwood : 241 ~ 258

  24. [단행본] Cratty, B. J. / 1974 / Children and youth in competitive sport: Guidelines for teachers and parents / Educational Activities Inc

  25. [단행본] Everett, E. H. / 1962 / On the theory of social change: How economic growth begins / Dorsey Press

  26. [학술지] Jarvie, G. / 2003 / Communitarianism, sport and social capital: Neighbourly insights into Scottish sport /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38 : 139 ~ 153

  27. [학술지] Lipsky, R. / 1978 / Toward a political theory of American sports symbolism /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21 : 345 ~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