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의 법적 쟁점

Jurisprudential Issues of Exclusive Organ for Information Privacy

법조
약어 : KLAJ
2011 vol.60, no.4, pp.76 - 118
DOI : 10.17007/klaj.2011.60.4.003
발행기관 : 법조협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법조협회
123 회 열람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란 그 권리의 객체가 되는 개인정보를 범주화하고 이에 대응하는 권능을 세분화·체계화함으로써 보호와 이용의 조화로운 법률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적극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국가 또는 민간사업자 등 개인정보관리주체에 대한 부정과 불신의 관념에서 벗어나 정당한 권리·의무의 법률관계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호할 것은 두텁게 보호하고 이용할 것은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체계의 확립을 위해서 개인정보에 관한 권리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의 창설은 유명무실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편으로 행정권한의 통제로서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충가치의 조율과 행정규제의 완화를 아울러 추진해나갈 수 있는 조직으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를 구성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이를 위해 선진각국의 입법현실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대안에 나타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의 현황을 기초로 조직법적 논의와 작용법적 논구를 접목하여 바람직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의 창설을 위한 법이론적 쟁점을 되짚어보고 법정책적 방향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통합법 제정의 핵심사안으로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 설치문제를 조망한다. 다만, 국회 산하기구가 아닌 한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는 행정조직법적 논리에 부합하게 구성되어야 하므로 행정작용법적 대응 역시 이에 수렴되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Nowaday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d for data of task performance by nation or enterprise as handler and such data is the information restructured based on analysis and extraction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duty or business. Therefore, personal data is utilized for controlling the masses from economic aspect and individual as data subject is provided equal service since personal data treater supply information or service in criteria of personal data. While information privacy is the right to privacy as an object of corresponding categories and power related to personal data and interpreted as a positive means to organize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legal protection and lawful utilization, it is crucial to form legitimate the legal relationship of rights and obligations free from the fixed idea of denial and disbelief about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uch as government or private companies first of all.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set up a thick layer of protection to be protected and rationally use to be used for establishing institutional framework on redefining information privacy. Without base of such, it is meaningless to found the exclusive organ for information privacy. So the exclusive organ for information privacy will be constituted with the control of executive powers on the one hand, as another aspect of regulatory relaxation and coordination of the values conflict. In this viewpoint, this article inquires jurisprudential review of the status quo debate on theoretical access to the legal argument of establishment and action and policy approach to the key issues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work of the exclusive organ for inform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current reality of the foreign legislations and the bill's rules.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 개인정보자기결정권, 합의제행정기관, 독립행정위원회, 통합법
exclusive organ for information privacy, the right to information privacy, administrative organ of collegiate system,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ssion, integrated statute

  • 1. [학술지] 김일환 / 2005 / 個人情報保護機構의 法的 地位와 權限에 관한 憲法上 考察 / 공법연구 / 33 (3) : 197 ~ 3 kci
  • 2. [학술지] 이민영 / 2008 / 정보매체의 규제조직에 관한 법적 연구 / 공법연구 / 36 (3) : 487 ~ 3 kci
  • 3. [단행본] 이민영 / 2007 / 개인정보법제론 / 진한M&B
  • 4. [기타] 이민영 / 2000 / 인터넷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제도 연구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5. [학술지] 이인호 / 2005 / 개인정보감독기구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과 입법방향 / 중앙법학 / 7 (1) : 7 ~ 1 kci
  • 6. [기타] 이창범 / 2004 / 각국의 개인정보피해구제제도 비교연구 / 개인정보분쟁조정 위원회
  • 7. [단행본] 최병선 / 2003 / 정부규제론 : 규제와 규제완화의 정치경제 / 법문사
  • 8. [단행본] André de Laubadère / 1996 / Traité de Droit administratif T1 / L.G.D.J
  • 9. [학술지] C. Sunstein / 1996 / Congress, Constitutional Moments, and the Cost-Benefit / Stanford Law Review / 48 : 247
  • 10. [학술지] Charles Fried / 1968 / Privacy / Yale L. J / 77 : 475
  • 11. [단행본] Colin J. Bennett / 1992 / Regulating Privacy: Data Protection and Public Polic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 Cornell University Press
  • 12. [단행본] Colin J.Bennett / 2006 / The Governance of Privacy: Policy Instruments in a Global Perspective / MIT Press
  • 13. [단행본] Hans H. Wohlgemuth / 2005 / Datenschutzrecht: Eine Einführung mit praktischen Fällen / Luchterhand
  • 14. [단행본] Harry Henderson / 2006 / Privacy in the Information Age / Facts on File
  • 15. [학술지] James Boyle / 1997 / Foucault in Cyberspace: Surveillance, Sovereignty and Hardwired Censors / U. Cin. L. Rev / 66 : 177
  • 16. [단행본] James Waldo / 2007 / Engaging Priva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a Digital Age /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17. [단행본] Paul M / 1996 / Data Privacy Law : A Study of United States Data Protection / Michie Law Publishers
  • 18. [단행본] Raymond Wacks / 1989 / Personal Information / Clarend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