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국악 교육적 적용 방안

Application Methods of the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Integrated Approach

이화음악논집
약어 : JEMRI
2010 vol.14, no.1, pp.191 - 219
DOI : 10.17254/jemri.2010.14.1.008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연구분야 : 음악학
Copyright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175 회 열람

본 연구는 세계가 인정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예술인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학교 음악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은 2009년 9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칠머리당굿은 원래 옛날부터 행하여온 영등굿의 한 종류로 영등신과 대왕께 제를 올리는 무속의식으로 그 예술성과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크다. 최근 교육계에 전통문화와 지역문화를 올바로 이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심미적 가치 인식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칠머리당 영등굿을 활용한 학교 음악수업의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따른 교수방안은 가창․기악․창작․감상 영역에 따른 통합적 접근과 미술․무용․연극 등의 예술영역 간의 통합적 접근 그리고 타 교과 간 통합적 접근으로의 음악활동 지도방안이다. 본 연구의 활용으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로는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 인식과 문화 정체성 확립, 제주 무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기 지역 음악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음악과 생활과의 관계 이해, 다양한 활동을 통한 음악성과 창의성 신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ould be applied in music education at schools bas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one of the most valuable cultural art recognized by the world. The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is our cultural heritage register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September 2009. As one of the Yeongdeungguts practiced from time out of mind,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is significant in its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as a shamanistic ritual, in which sacrificial rites are held for Yeongdeung-shin (god) and Daewang (sea god). As people have recently tended to properly understand traditional and regional cultures in the educational circle, they have been greatly interested in the importance of aesthetic value recognition for our cultural heritage and its subsequent cultural art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hands-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usic classes at schools using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As for its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ggested the integrated approach in accordance with the domain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music as integrated music activities, the integrated approach among artistic domains such as fine arts, dancing and drama and the same approach with other subjects. It is hope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will let students recognize the values of traditional art, the cultural identity and an interest in their regional music culture based o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Jeju dance and music. Beside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with music and their daily lives through class and improve their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무속음악, 통합적 접근, 음악과 교수-학습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Shamanistic music, Integrated approach,Music teaching-learning

  • 1. [단행본]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음악과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 2. [단행본] 국립문화재연구소 / 2008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민속원
  • 3. [단행본] 권덕원 / 2009 / 국악교육론 / 교육과학사
  • 4. [단행본] 김재복 / 1985 /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 교육과학사
  • 5. [학위논문] 김지수 / 2003 / 제주 칠머리당굿의 형식과 춤사위에 관한 연구
  • 6. [학위논문] 김형진 / 2002 / 제주도 칠머리당 영등굿 무가연구
  • 7. [단행본] 문무병 / 1998 / 제주도 무속신화: 열두본풀이 자료집 / 칠머리당굿보존회
  • 8. [학술지] 민경훈 / 2006 / 초등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통합예술적 수업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 음악교육연구 (30) : 53 ~ 30 kci
  • 9. [학술지] 이보형 / 1997 / 전통음악의 리듬 분석 방법론 / 정신문화연구 / 66 : 103 ~
  • 10. [학위논문] 이해현 / 1999 / 퍼포먼스개념을 통해서 본 연행으로서의 굿 연구
  • 11. [학술지] 이 행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28
  • 12. [학술지] 정진원 / 2008 / 통합교과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음악지도에서의 의미 탐색 / 음악교육연구 / 34 : 139 ~ kci
  • 13. [단행본] 제주도 / 1998 / 제주의 문화재 / 제주도
  • 14. [단행본] 조영배 / 1992 / 제주도 노동요 연구 / 예솔
  • 15. [학술지] 조영배 / 2000 / 제주도 칠머리당굿의 음악적 특징 / 제주도 칠머리당굿 한국음악 / 31
  • 16. [단행본] 조영배 / 2000 / 한국음악 제31집: 제주도 칠머리당굿 / 국립국악원
  • 17. [학술지] 최미영 / 2010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 음악교육공학 (10) : 41 ~ 10 kci
  • 18. [학술대회] 칠머리당굿 보존회 / 2003 / / 제23회 제주 칠머리당굿 공개 발표회 - 영등송별대제일
  • 19. [기타] 국립국악원 / 2000 / 한국의 굿 no. 4: 제주 칠머리당굿. 국악춘추사 / 서울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