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uTradeHub 서비스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TradeHub Service in Korea

디지털무역리뷰
약어 : DTR
2011 vol.9, no.1, pp.47 - 67
DOI : 10.17255/etr.9.1.201102.47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디지털무역연구소
연구분야 : 무역학
Copyright © 중앙대학교 한국디지털무역연구소
190 회 열람

한국의 무역자동화는 1980년대 후반부터 그리고 1991년 제정 무역자동화법에 의하여 종이서류기반의 무역절차로부터 발생하였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무역자동화는 공개망과 스마트기술과 같은 글로벌트렌드와 보조를 맞출 수가 없었다. 그래서 기존의 무역자동화법은 2005년 10월 23일에 전면적으로 개정되어 전자무역촉진법으로 개칭되었다. 본 법에서 전자문서를 전송, 저장, 보관하기 위한 전자무역기반인프라 즉, uTradeHub를 규정하고 있는데 KTNET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uTradeHub 서비스는 한국의 전자무역촉진3개년사업과 e-Trade Korea 2007 정책에 의해 완성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uTradeHub 서비스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uTradeHub 서비스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Korea's Trade automation has been made since late 1980s and by way of Trade Automation Act 1991 to solve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paper-based trade procedures. But, this trade automation can not keep pace with global trends such as open network and smart technologies. So, the existing Trade Automation Act was revised extensively and renamed as e-Trade Promotion Act on December 23, 2005. This Act stipulates the e-Trade base infrastructure, that is, uTradeHub, to communicate, store and notarize electronic documents, which is operated by KTNET. This uTradeHub Service was completed by Korea's Three Year Plan to Accelerate e-Trade and e-Trade Korea 2007 Policy in 2008. The purpose of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uTradeHub Service by suggesting the solutions to problems of uTradeHub service.

전자무역, uTradeHub, 무역자동화, 전자무역플랫폼
e-Trade, uTradeHub, Trade Automation, e-Trade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