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The Formation and Ident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s in Korea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약어 : JKAGEE
2012 vol.20, no.2, pp.85 - 105
DOI : 10.17279/jkagee.2012.20.2.85
발행기관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 회 열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결합한 것으로, 이 둘의 양면적, 통합적, 초월적 성격을 가지면서 둘 사이 긴장관계 또한 내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환경교육운동의 고유한 실재성을 이론적 논의를 통해 확인하고 문헌연구와 구술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운동이 고유의 정체성을 획득해가는 형성과정을 연대기별로 확인하였으며 환경교육과 환경운동의 관계설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첫째는 교육의 맥락에서 강한 가치지향성을 가지면서 교육과 운동의 통합을 추구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교육이자 환경운동이다. 둘째는 운동의 맥락에서 환경교육을 환경운동의 효과적인 전략으로 선택하고 집중해가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의 한 방식이 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운동이나 환경교육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확장되는 유형으로,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삶 자체를 변화시키는 교육운동이다.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began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combined itself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it embraces the ambivalent, integrative and transcendental nature of both fields on one hand, and the tensions that exist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uniqu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through methods of theoretical discussion, literature review and oral history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s in Korea first formed their unique identity in 1990s and since 2000 have expanded and diversified their domain. Through this process of change, the identity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 has diverged generally into three patterns.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considered both 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pursues the unification of education and a movement. As suc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enthusiastically pursues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ocial change.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one means of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has been chose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conducting an environmental movement. Finall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is not limited to the domain of environmental movemen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xtends itself to education movements which make changes to life itself.

환경교육운동, 환경교육, 환경운동, 정체성, 형성과정, 구술연구
Environmental Education Mov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Movement, Identity, Formation Process, Oral History Study

  • 1. [학술대회] 구도완 / 1993 / 한국환경운동의역사와특성 / 1993년후기 사회학대회 발표자료집
  • 2. [학술대회] 구도완 / 2007 / 한국환경운동의역사와미래 / 한국환경회의, 2007, 한국환경단체총람 : 113 ~
  • 3. [단행본] 김기석 / 1999 / 교육역사사회학 / 교육과학사
  • 4. [기타] 김기석 / 1998 / 구술사: 무엇을, 왜, 어떻게할것인가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육사고연구노트 제 9호 : 1 ~
  • 5. [단행본] 김은희 / 2010 /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한국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 한울
  • 6. [단행본] 남상준 / 1995 / 환경교육론 / 대학사
  • 7. [학위논문] 노일경 / 2000 / 한국사회교육학의 성립과정과 이념적 지향성에 관한 연구
  • 8. [단행본] 박태윤 / 2001 / 환경교육학개론 / 교육과학사
  • 9. [단행본] 신동호 / 2007 / 환경운동 25년사 자연의 친구들 1·2권 / 도요새
  • 10. [단행본] 오욱환 / 2005 / 사회변화를 위한 교육 / 교육과학사
  • 11. [학술지] 오혁진 / 2010 / 사회교육의 일반적 발달단계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사 시대구분 연구 / 평생교육학연구 / 16 (4) : 81 ~ 4 kci
  • 12. [단행본] 윤택림 / 2004 /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 / 아르케
  • 13. [단행본] 함한희 / 2006 / 새로운 역사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 아르케
  • 14. [학위논문] 이은정 / 2010 / 시민교육활동가들의 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와 실천양상 탐색
  • 15. [학술대회] 이재영 / 2001 / 환경교육패러다임변천과학교숲의환경교육적 활용 / 광주지역 학교숲운동 워크숍자료집
  • 16. [학위논문] 장미정 / 2011 /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 17. [학술지] 전의찬 / 1992 / 환경문제에대한주민참여와사회환경 교육; 현황과 개선대책 / 환경교육 / 3 : 47 ~
  • 18. [단행본] 정지웅 / 1986 / 사회교육학개론 / 교육과학사
  • 19. [단행본] 조희연 / 2010 / 거대한운동’으로의수렴에서‘차이의 운동들’로의 분화: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In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한국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 한울아카데미 : 25 ~
  • 20. [학술대회] 최돈형 / 2004 / 학교환경교육의 태동, 발전 그리고 미래 / 한국환경교육학회 2004년도 후반기 정기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25 ~
  • 21. [단행본] 최돈형 / 2007 /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 교육과학사
  • 22. [보고서] 최돈형 / 2009 / 국내외환경사및환경교육사(연표)
  • 23. [학위논문] 최우석 / 2009 / Free-choice environmental learning 개념의 새로움과 개념적 가치 검증
  • 24. [기타] 한국환경교육학회 / 2003 / 우리나라 사회 환경교육 발전방안 연구
  • 25. [단행본] 한숭희 / 2001 / 민중교육의 형성과 전개 / 교육과학사
  • 26. [단행본] wAbrams, P / 1982 / Historical Sociology / Cornell University Press
  • 27. [단행본] Castells, M / 2008 / 정체성 권력 / 한울아카데미
  • 28. [단행본] Fien, J / 1993 / Education for the environment: critical curriculum theoriz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Deakin University Press
  • 29. [단행본] Fien, J / 1996 / Environmental Education, In Studying Society and Environment : 200 ~
  • 30. [단행본] Freire, P / 1973 / 1978, 2007, 교육과의식화 / 중원문화
  • 31. [단행본] Freire, P. / 1995 / 페다고지: 억눌린 자를 위한 교육 / 한마당
  • 32. [단행본] Gough, A / 1997 / The Emerg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History’ of the field.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Policy. Trends and the Problems on marginalisation /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Ltd
  • 33. [단행본] Huckle, J / 1983 /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ic education: Reflection and a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99 ~
  • 34. [학위논문] Lucas, A. M / 1972 /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nceptual issues and curriculum implications
  • 35. [단행본] Mappin, M. J / 2005 / Changing perspectives of ecology and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dvocac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 ~
  • 36. [단행본] Patton, M / 1990 /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2nd ed / Sage publications
  • 37. [단행본] Portelli, A / 1991 / The Death of Luigi Trastulli: Memory and the Event, in: The Death of Luigi Trastulli, and Other Stories: Form and Meaning in Oral Histor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1 ~
  • 38. [학술지] Sauve, L / 1996 /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Further Appraisal /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1 : 7 ~
  • 39. [학술지] Strife, S / 2010 / Reflect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Where is Our Place in the Green Movement? /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 41 (3) : 179 ~ 3 crossref
  • 40. [단행본] Thompson, P / 1988 / The Voice of the Past:Oral History, 2nd ed / Oxford University Press
  • 41. [기타] / 1993 / 월간 환경 창간준비호 / 1993년 6월호
  • 42. [기타] / 1993 / 월간 환경 창간호 / 1993년 7월호
  • 43. [기타] / 1993 / 월간 환경운동 / 1993년 9월호
  • 44. [기타] / 1994 / 월간 환경운동 / 1994년 9월호
  • 45. [기타] / 1994 / 월간 환경운동 / 1994년 10월호
  • 46. [기타] / 1995 / 월간 환경운동 / 1995년 9월호
  • 47. [기타] / 1996 / 월간 환경운동 / 1996년 9월호
  • 48. [기타] / 1997 / 월간 환경운동 / 1997년 9월호
  • 49. [기타] 동아일보 / 1993 / / 1993년 1월 19일자 기사
  • 50. [기타] 서울신문 / 1992 / / 1992년 7월 6일자 기사
  • 51. [기타] 한겨레 / 1990 / / 1990년 10월 2일자 기사
  • 52. [기타] 한국일보 / 2003 / / 2003년 1월 7일자 기사
  • 53. [인터넷자료]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통합검색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