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육성방안 연구

A Study of a Growth Device for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약어 : KDDA
2007 vol.7, no.1, pp.253 - 265
DOI : 10.17280/jdd.2007.7.1.024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6 회 열람

문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불리는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방송, 인터넷-모바일 콘텐츠 등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로 볼 때 향후 얼마나 거대한 시장으로 확대, 재편될 것인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고급 인력과 아이디어로 승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자원이 없는 반면 풍부한 인적자원을 가진 우리나라에 적합하다. 그래서 정부와 기업 및 업체, 대학 및 연구소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협력을 통해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일은 더욱 시급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크게 네 분야로서 첫째, 문헌조사와 제도권에서 규정한 문화산업의 개념과 범위 및 분류를 살펴보고. 둘째, 국내 문화산업의 현황과, 시장규모, 그리고 정책 등을 분석하고, 셋째, 해외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 나라들의 문화산업의 현황과, 시장규모, 그리고 정책 등을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넷째, 우리의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이 제시된다.

Culture industry is one of high value added industries with a great growth of opportunity. As markets of cartoon, animation, game, movie, broadcasting and internet-mobile contents grow, total visual contents market will surely be bigger and. changed. Korea doesn't have enough natural resources extort human resources, so media industry which needs high level of manpower and ideas is well suited to Korea.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rganize local government, media contents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get close cooperation among them. This research is aimed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in province.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industry in province and with the help of existing discussions, this paper suggested the proper policies aimed to prepare law data for Culture industry and develop the industry. This paper discussed industry environment and level of understanding of Culture industry based upon the view of decentralization and local reform theory. Also it tried to make a model for the industry development, which links industry, university and government each other and a paradigm for the related organizations.


Culture. Contents. Media. Policy.

  • 1. [학술지] / 2006 / 2005 문화산업백서
  • 2. [학술지] / 2005 / 문화산업정책 10년, 평가와 전망
  • 3. [학술지] / 2003 / 문화콘텐츠산업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 4. [학술지] / 2000 / 지방 문화산업 육성방안
  • 5. [학술지] / 2005 /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 6. [학술지] / 2000 / 문화산업의 발전방안
  • 7. [학술지] / 1998 / 영상비즈니스의 세계
  • 8. [학술지] / 1996 / 세계화시대의 산업정책
  • 9. [학술지] / 1995 / 산업지원정책
  • 10. [학술지] / 1999 /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략
  • 11. [학술지] / 삼성경제연구소 한국문화산업발전을 위한 긴급제언
  • 12. [학술지] / 2006 /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 13. [학술지] / 2004 / 종합법령정보
  • 14. [학술지] / 2005 / 2005한국캐릭터산업백서
  • 15. [학술지] / 2006 / 한국표준산업분류
  • 16. [학술지] / 1985. / 산업정책의 기본방향과 산업지원제도 개선방안
  • 17. [학술지] / 1996 / 세계화시대의 산업정책
  • 18. [학술지] / 1998 / 영상비즈니스의 세계
  • 19. [학술지] / 1995 / 산업지원정책
  • 20. [학술지] / 2005 / 케이블과 지상파방송의 공진화
  • 21. [학술지] / 기술에 귀기울여라
  • 22. [학술지] / 2005 / 유비쿼터스의 최전선 : 118
  • 23. [학술지] / 미디어간 경쟁과 대체 소비자의 선택
  • 24. [학술지] / 2005 / 문화산업정책 10년, 평가와 전망
  • 25. [학술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2004 / 2004 미국 문화콘텐츠산업시장 진출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