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포스트모더니즘 메타언어 광고 이미지 연구

A Study of Post Modernism Meta Language and Advertising Imag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약어 : KDDA
2008 vol.8, no.2, pp.403 - 412
DOI : 10.17280/jdd.2008.8.2.039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72 회 열람

메시지와 아이디어를 구현시키는 디자이너는 주위 환경과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공공의 이해에 의미 있는 공헌을 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디자이너에게는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에 적응하고 그들의 시대정신을 표현해야 하는 책임은 본 연구의 필요성이라 할 수 있다. 메타언어이며 일종의 시니피앙(기표)에 해당하는 광고이미지 분석을 하고자 한다. 아름다운 미학과 포스트모더니즘을 광고에 접목하여 형이상학적 예술로 승화시켜, 타제품과의 차별성 및 자회사의 전문성을 돋보이게 하는 작업은 좋은 예가 될 것이다.최근 일부 광고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실과 허구의 혼합, 공간과 시간의 해체, 반 형식 등이야 말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 형식을 추하고 있으며, 또한 모호성, 동질성에 대한 거부, 비동시성으로 대변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광고에 있어서 상당부분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된다.광고는 우리가 매일 대하는 시각적, 언어적 환상들을 통해 하나의 암시, 리얼리티 또는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는 것들을 인식하고 그것들이 부과하는 규범화와 순응화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진정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현상들을 인식하고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지적 움직임이다. 즉, 광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와 메타픽션을 잘 활용하고 상품화하여 문화적 파트너이자 자본축적의 도구로 잘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Designers who realize the message and ideas has the responsibilities for their society and comunity or circumstantial social isues that they shal contribute significant eforts for developing new method and type of expresing idea and aply them to the new technology and express their sprit of the time, and these responsibilities are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t wil focus on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image which can be caled as the meta language and kind of Signifiant. With grafting beauty and post-modernism to the advertisement, subliming it as the metaphysics, and the work which is discriminated from other companies and tends to set off speciality of our company wil be a good example.Recent mixing with reality and fiction, dismantling of space and time, anti-formalism is seek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post-modernism, and the postmodernism which is spoken for the objection, asynchronousity against vagueness and homogeneity is understood as considerably setled in advertisement industries.Advertisement is one of intelectual movement for resisting against standardization and adaptability through the daily visual and linguistic ilusions which let us recognize and confront with the phenomenons of postmodern times and let us to and recognize what is making one of allusion, reality or ideology. I expect that the advertisement would be utilized as god as the cultural partner and tols of capital with using culture of postmodernism and metafiction and its comercializing.


Advertising, creative imagination, images, meta-language, post-modernism

  • 1. [단행본] 김욱동 / 1992 / 포스트모더니즘 / 민음사
  • 2. [단행본] 김인 / 2006 / 도시해석 / 푸른길
  • 3. [단행본] 김영찬 / 2004 / 광고비평의 이해 / 한울아카데미
  • 4. [단행본] 김민수 / 1997 / 21세기 디자인 문화 탐사 / 솔출판사
  • 5. [단행본] 마단 사럽 / 1997 /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조형교육
  • 6. [단행본] 백선기 / 2004 /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 커뮤니케이션북스
  • 7. [단행본] 박정자 / 2006 /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 기피랑
  • 8. [단행본] 신방흔 / 2001 / 시각예술과 대중문화 / 도서출판 진한도서
  • 9. [단행본] 진중권 / 2005 /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휴머니스트
  • 10. [단행본] 잭스펙터 / 1998 / 프로이드 예술철학 / 풀빛출판사
  • 11. [단행본] 진중권 / 2004 /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 아트북스
  • 12. [단행본] 정시화 / 1991 / 산업디자인150년 / 미진사
  • 13. [단행본] 한국칸트학회 / 2006 / 포스트모던칸트 / 문학과 지성사
  • 14. [단행본] 필립B · 멕스 / 2002 /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 15. [학위논문] 원철 / 2007 / 포스트구조주의 비평에 나타난 언어와 주체성
  • 16. [학위논문] 이수인 / 2005 /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양상
  • 17. [인터넷자료] / 광고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