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컴퓨터의 도입은 시각디자인 전공 수업들의 내용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수업은 이전에는 시각디자인 전공 내에서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던 영상디자인 수업이다. 영상디자인 수업은 많은 수업 내용의 변화로 인해 모션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제목으로 대부분 개칭 되었다. 하지만 변경된 명칭 아래 이루어지는 수업은 실기 수업의 특성 상 조리 있는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정의나 그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실습이라기보다는 전반적인 영상물 제작의 경험이 수업의 주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시각디자인 전공 내에서 단편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각각의 해당 전공에서 전문적으로 실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모션그래픽 디자인을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에 움직임의 요소가 결합한 확장된 그래픽 디자인의 형식으로 이해하고 영화와 애니메이션과의 비교를 통해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에 맞는 기초 교육 과정을 제시하려 한다. 많은 매체들이 디지털화 하여 지면을 이용하는 디자인에서 화면을 이용하는 디자인으로 꾸준히 변화되는 현재의 추세를 감안해 볼 때 시각디자인 전공에 개설된 모션그래픽 디자인 수업의 기초 교과 과정의 제안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키워드

film, video, animation, motion graphic design, design education, graphic design

참고문헌(4)open

  1. [단행본] Krasner, Jon / 2008 / Motion Graphic Design:applied history and aesthetics / Elsevier Press

  2. [단행본] 수잔 헤이워드 / 1997 / 영화 사전 / 한나래

  3. [단행본] Bordwell, David / 1985 / Narration in the Fiction Film /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 [단행본] 오진곤 / 2005 / 비주얼스토리텔링 /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