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QR 코드 활용 방안

QR code utilizations for Brand Identity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약어 : KDDA
2011 vol.11, no.1, pp.377 - 387
DOI : 10.17280/jdd.2011.11.1.036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68 회 열람

최근 QR 코드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1차원 바코드 보다 많은 정보량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속한 반응이 이루어진다는 장점 하에 마케팅, 광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 더 발전하여 흑백의 단순했던 QR 코드에 컬러를 입히고, 30% 형태 변형이 가능함을 이용한 디자인 QR 코드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QR 코드를 사용할 경우 코드에 담긴 정보를 예측할 수 있어 정보 안내 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일반 QR 코드와 비교했을 때 호감도가 높아 그에 따른 높은 접속률을 기대 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코카콜라, 루이비통, 마크제이콥스, 켈빈클라인 등에서 활용하였고, 국내의 대기업들도 QR 코드에 로고를 삽입하여 브랜드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디자인 QR 코드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패션 브랜드 분야에 있어서 상징성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큰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상징성을 가지는 QR 코드를 마케팅에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기존 사례를 조사하고, 다른 분야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다양한 QR 코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QR 코드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하는 것이 마케팅에 효과적임을 현대자동차와 드라마'아테나 전쟁'의 사례를 통해 규명하였다.

Recently QR code has been increasingly used due to the code’s larger capacity and faster data handling technology. Moreover, due to flexibility of modifying the code, “Design QR code” was born combining characters and other graphic facial appearance with QR code, and it is used as one of powerful way to boost strength of brand identity. Since the design QR code can let users to predict information that they can get from and has friendlier shape than barcode, it can effectively attract consumers to use the code and access to further data about the product or service. The design QR code is already broadly used in the global market: Coca-cola, Louis-vuitton, Marc Jacobs and Calvin Klein have used the code. Korean companies also used the code to build up their brand identity. In this study, QR code’s utilizations for brand identity were researched focusing on case of fashion brand since symbolic message is more important in the fashion field than others. The cases of the fashion brand that used design QR code for their brand identity were discussed and various ways how to use the code effectively were suggested in the paper. Lastly, I proved that the design QR code has a great effect on marketing.

Brand Identity, QR code, Design QR code,
Brand Identity, QR code, Design QR code,

  • 1. [단행본] 손대일 / 2010 / QR 코드의 서비스 동향 및 전망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2. [인터넷자료] / 덴소웨이브
  • 3. [학술지] 김형택 / 2010 / 찍어라 그러면 반응할 것이다 / 월간유통저널 (9월)
  • 4. [인터넷자료] 황철희 / QRWIZ, 다자인 QR 이란
  • 5. [인터넷자료] 정윤희 / 디자인 정글 소식지
  • 6. [인터넷자료] / PIAMO 홈페이지
  • 7. [인터넷자료] / 서울디자인한마당 홈페이지
  • 8. [인터넷자료] / ITDesign
  • 9. [학술지] 최원수 / 2009 / 신문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형별 특성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 / 한국디자인포럼 / 23 (23) : 277 ~ 23 kci
  • 10. [단행본] David A. Aaker / 2000 / Brand Leadership / The Free Press
  • 11. [학술지] 최원수 / 2009 / 전략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교육사례 분석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5 (2) : 476 ~ 2 kci
  • 12. [인터넷자료] 이영란 / 해럴드경제뉴스
  • 13. [인터넷자료] 박소연 / 아시아경제
  • 14. [학술지] 문이식 / 2006 / 사용자 이미지 지향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이동통신의 기업 브랜드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 시각디자인학연구 (21)
  • 15. [인터넷자료] 함민정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전문매거진
  • 16. [인터넷자료] / 피아제홈페이지
  • 17. [기타] 김현수 / 2010 / QR 코드 마케팅의 세계 / 동아일보
  • 18. [기타] 김성희 / 2010 / 신형 아반떼 TV런칭광고 통해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 메이킹 시작 / 한국택시신문
  • 19. [인터넷자료] 김종원 / 더블유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