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본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Public Design based on Sustainability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약어 : KDDA
2013 vol.13, no.2, pp.93 - 102
DOI : 10.17280/jdd.2013.13.2.010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연구분야 : 디자인
Copyright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73 회 열람

오늘날 전 세계 도시인구의 비율은 50% 이상이며 도시로의 인구집중과 도시화 율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도시의 확장은 인구과밀, 환경오염 등 많은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시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안락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하게 된 공공디자인은 도시브랜드의 가치향상과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전 세계 많은 국가의 주요 도시들이 공공디자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디자인 사업의 효과나 적정성에 대한 평가와 관리를 위한 평가시스템이 요구되어 지며, 이는 지구환경에 물리적 부하를 최소화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속가능성’을 지향해야 한다. 향후 지속가능성은 제품이든 시스템이든 환경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든 디자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이에 공공디자인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기준의 도입과 더불어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성에 기반 한 공공디자인 평가의 틀을 제안한다.

The ratio of urban population has been over 50% and going up today. The urban extension causes a lot of environmental problems, for instance, overpopul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 on.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at the same time, the nee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by supplying pleasant urban environment. Public Design is recognized one of the very important methods to bring on the value of urban brand and to secure the urban competitiveness and a lot of metropolises is carrying out the public design projects. Therefore,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effect and appropriacy of public design project is sought after. That is aim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load and to be eco-friendly and sustainable. No matter what the prodcut or system is, the sustainability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to evaluate the whole design field to recover the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criteria matrix for the public design based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is proposed as well the introduction of objective evaluation.

Public Design, Sustainability, Evaluation

  • 1. [단행본] 권영걸 / 2001 / 공간디자인16강 / 도서출판국제
  • 2. [단행본] 이일규 / 2008 / 국민과 함께하는 Design / 한국디자인진흥원
  • 3. [단행본] Aris Sherin / 2009 /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지침서
  • 4. [단행본] / 2010 / 지식경제용어사전 / 지식경제부
  • 5. [보고서] / 2009 / 2009년 환경정책 실천계획
  • 6. [학술지] 서혜옥 / 2009 / 도시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틀의 제안: 공공 공간의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 상품학연구 / 27 (3) : 61 ~ 3 kci
  • 7. [학위논문] 김범식 / 2009 / 공공디자인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8. [학위논문] 김지연 / 2011 / 지속가능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실체적 적용에 관한 연구
  • 9. [학위논문] 백승경 / 2009 /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 10. [학술대회] 양병이 / 2007 / 미래도시와 도시재생을 위한 생태적 건설 패러다임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국제 심포지움
  • 11. [인터넷자료] / 지식백과
  • 12. [단행본] Karlen, Mark / 1993 / Space Planning Basics /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