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상품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작금의 시장상황 하에서 브랜드를 통한 차별화 전략도 그다지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대 마케팅전략수립의 난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도 몇몇 브랜드는 캐릭터라는 유형의 첨병을 내세워 프로모션의 극대화를 꾀하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의 개척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성공을 거두고 있다. 캐릭터는 브랜드를 상징하는 특정한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는 일종의 유기체적인 성격을 가지며, 제품의 기획에서부터 마케팅 전략 및 프로모션, 기업의 이미지, 기업과 국가가 나아갈 정책에 이르기 까지 그 역할이 점점 더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런 움직임에 대한 민감함은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불가결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캐릭터디자인은 고객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상품과 서비스의 상징적인 존재로서 특정브랜드 에 대한 충성도로 작용하여 구매행동의 최종접점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운 브랜드마케팅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마케팅상황 하에 캐릭터를 통한 브랜드이미지의 필요성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서 정작 우리는 캐릭터디자인이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떤 과정을 통하여 성공하게 되는지, 또는 그 자체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고민을 한 적이 있느냐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팝아트로부터 유래된 캐릭터의 대중 문화적 특징을 대표적 팝 아티스트들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국내에서 캐릭터를 활용하여 브랜드마케팅에 성공한 사례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고찰해 보았다. 이와 같이 고찰해 본 결과, 캐릭터는 대중 문화적 요소인 재미, 생활양식, 소모성과 상업성을 바탕으로 한 상징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좋은 캐릭터를 동반하는 브랜드마케팅은 그 자체로서 우수한 브랜드를 자생시키며, 그것은 기업의 이윤 창출과 아울러 많은 부가 가치적 요소를 창출하는 한편, 디자인 자산으로서 그 가치가 점점 증대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Brand, Marketing, Character

참고문헌(7)open

  1. [단행본] David A. Aaker / 2004 / Brand Portfolio Strategy / Free Press

  2. [단행본] 정경원 / 1999 / 디자인 경영 / 안그라픽스

  3. [단행본] 마티 뉴마이어 / 2004 / 브랜드 갭 / 시공사

  4. [단행본] (주)하쿠호도 브랜드 컨설팅 / 2002 / 브랜드 마케팅 / 굿모닝 미디어

  5. [단행본] 쓰치야 신타로 / 2000 / 김형석 편역 : 캐릭터 비즈니스 / 문지사

  6. [단행본] 박천일 / 2002 / 한국의 민속 문화 캐릭터 / 국립민속박물관

  7. [단행본] 윤진호 / 2002 / 디자인 매니지먼트 / 창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