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의 이해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ost-Modernism Discourse

교육사상연구
약어 : Educational Idea
2011 vol.25, no.2, pp.179 - 200
DOI : 10.17283/jkedi.2011.25.2.179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상학회
189 회 열람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 문화간 대화와 소통, 타자와의 연대를 통한 사회통합의 기본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외국인 인구의 증가라는 현상으로만 보기보다는 다양성과 차이, 소수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추구하는 포스트모던 가치가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점과 그 맥을 같이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해에서 출발하여 다문화 담론과 포스트모던 담론과의 관련성을 찾아 다문화 담론의 인문학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다원성으로서의 문화와 인간본질에 대한 이해를 위해 포스트모던 대표 차이 철학자인 데리다와 들뢰즈에 있어서의 차이개념, 문화간 접촉과 대화를 원리로 한 새로운 다문화 정체성으로서의 상호문화(inter-culture)개념의 이해를 위해 후설의 상호주관성개념, 그리고 사회적 연대 문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타자(the other)의 문제를 레비나스의 타자윤리학을 중심으로 다문화 담론의 철학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철학적 논의는 결국 다문화교육은 문화의 주체적 구성자로서의 주체의식과 함께 다양성과 문화간 차이를 인정하고, 타자에 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한 상호소통과 통교의 상호문화능력(intercultural competence)을 지닌 인간육성이라는 목표 하에 포괄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shift of paradigm to a multi-cultural society exceeds the simple increase of the foreign population and has a relation with the fact that post-modern values are obtaining persuasion in our socie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multi-culture based on post-modernism discourse and to deduc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t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al practices must be oriented by the philosophical and critical introspection of multi-culture. In fact, the meaning of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e; difference, inter-subjectivity, and the other, are researched based on post-modern discourse. However, this paper does not intend mere philosophical discussions, but intends to deduc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orien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포스트모더니즘, 차이, 다문화교육, 상호문화능력, 타자
postmodernism,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difference, the other

  • 1. [학술지] 강영안 / 1990 / 레비나스 철학에서 주체성과 타자 / 철학과 현상학연구 (4) : 243 ~ 4
  • 2. [학술지] 김남국 / 2008 / 한국에서 다문화주의 논의의 전개와 수용 / 경제와 사회 (겨울) : 343 ~ 겨울
  • 3. [학술지] 김영옥 / 2005 / 새로운 시민들의 등장과 다문화주의 논의 / 아시아여성연구 / 46 (2) : 129 ~ 2
  • 4. [학술지] 김연숙 / 1997 / 레비나스의 타자성(alternity)의 윤리에 관한 연구 / 국민윤리연구 (37) : 12
  • 5. [학술지] 김연숙 / 2000 / 레비나스 타자윤리의 서진 유가적 이해 / 유교사상연구 (14) : 537 ~ 14
  • 6. [학술지] 김연숙 / 2001 /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에 관한 연구 / 철학연구 (53) : 269 ~ 53
  • 7. [학위논문] 김병순 / 2007 /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황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8. [학술지] 김선미 / 2000 /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 사회과교육 (4) : 63 ~ 4
  • 9. [단행본] 김선미 / 2008 / 다문화교육의 이해 / 한국문화사
  • 10. [학술대회] 김선미 / 2009 / 한국의 다문화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2009년 인천교육 국제 심포지움, 아시아의 다문화교육과 글로벌 리더쉽 : 55 ~
  • 11. [학술대회] 김선희 / 2010 / 일방적 소통에서 상호통섭적 소통으로서의 소통의 전환 / 전국학술대회 : 61 ~
  • 12. [학술지] 김성애 / 2006 / 레비나스의 윤리관에서 본 특수교사의 윤리성 제고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7 (1) : 177 ~ 1 kci
  • 13. [단행본] 전영준 / 2010 /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 / 경진
  • 14. [학위논문] 박미경 / 2007 / 교사를 통해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과 교사의 어려움:결혼 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 15. [학술지] 박민정 / 2005 /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 교육과정연구 / 23 (4) : 37 ~ 4 kci
  • 16. [단행본] 설동훈 / 2005 /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지원 정책방안 / 보건복지부
  • 17. [학술지] 신승환 / 2009 / 탈중심성 논의의 철학적 지편 / 로컬리티의 인문학 / 1 : 147 ~
  • 18. [단행본] 양영자 / 2007 / 한국의 다문화교육 현황과 과제,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 한울아카데미
  • 19. [학술지] 오영훈 / 2009 / 다문화교육으로서 상호문화교육 -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 교육문화연구 / 15 (2) : 27 ~ 2 kci
  • 20. [학술지] 오채선 / 2008 / 유아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 유아교육학논집 / 12 (4) : 167 ~ 4 kci
  • 21. [학술지] 윤인진 / 2008 /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 42 (2) : 72 ~ 2 kci
  • 22. [학술대회] 윤인진 / 2009 /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와 향후과제 / 2009년 제5회 한국어교육 학술대회 발표문
  • 23. [학술지] 이남인 / 2002 / 상호주관성의 현상학―후설과 레비나스 / 철학과 현상학 연구 (18) : 1 ~ 18 kci
  • 24. [학술지] 이현민 / 2008 / 포스트모던 인간관과 그 교육적 함의 / 교육사상연구 / 22 (3) : 179 ~ 3 kci
  • 25. [학술지] 이화도 / 2007 /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그리고 유아교육 / 아동교육 / 16 (4) : 211 ~ 4 kci
  • 26. [학술지] 이화도 / 2008 / 현상학적 ‘자아’에 관한 유아 교육적 의미탐색 / 교육학연구 / 46 (4) : 133 ~ 4 kci
  • 27. [학술지] 박태학 / 2009 / 유아미술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 유아교육연구 / 29 (5) : 259 ~ 5 kci
  • 28. [학술지] 장인실 / 2006 /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연구 / 24 (4) : 27 ~ 4 kci
  • 29. [학술지] 전미경 / 2010 /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3) : 147 ~ 3 kci
  • 30. [학술지] 정영순 / 2009 / 결혼이민자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 한국아동복지학 (28) : 171 ~ 28 kci
  • 31. [학술지] 정유성 / 2009 / 한국사회의 다문화담론 / 환경과 생명 (9월) : 118 ~ 9월
  • 32. [학술지] 정희태 / 2008 /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과’를 중심으로 / 통일전략 / 8 (2) : 253 ~ 2 kci
  • 33. [보고서] 조영달 / 2006 /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 34. [보고서] 조영달 / 2006 / 다문화 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연구용역과제 최종 보고서
  • 35. [학술지] 한승준 / 2008 / 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 / 한국행정학보 / 42 (03) : 463 ~ 03 kci
  • 36. [단행본] Abdallah-Pertceille et Porcher / 1996 / Education et communication interculturelle / PUF
  • 37. [단행본] Andrea Semprini / 2010 / 다문화주의: 인문학을 통한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해석 / 경진
  • 38. [단행본] Banks, J.A / 1999 /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 Allynand Bacon
  • 39. [단행본] Bastide, R / 1971 / Antropologie appliquée / Payot
  • 40. [단행본] Bennett. C.I / 1995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 Allyn and Bacon
  • 41. [단행본] Benhabib, Seyla / 2002 / The claims of Culture; equality and diversity in the global era /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42. [단행본] Derman-Sparks, L / 1989 / Anti-bias curriculum / NAEYC
  • 43. [단행본] Deleuze, G / 2009 / 차이와 반복 / 민음사
  • 44. [단행본] Levinas, E / 1971 / Totalité et infini. Essai sur l'exteriorité / Martinus Nijhoff
  • 45. [단행본] Levinas, E / 1997 / 시간과 타자 / 문예출판사
  • 46. [단행본] Maaning, M, I / 2004 /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Pearson
  • 47. [단행본] Marco Martiniello / 2002 /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 한울
  • 48. [단행본] 장한업 / 2010 /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 한울아카데미
  • 49. [학술지] Sleeter, C.E / 1987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USA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57 : 421 ~
  • 50. [단행본] Steven Vertovec / 2000 / Mukticulturalism,culturalism and oublic incorporation. Ethic and racial studies / Oxford University Press
  • 51. [단행본] Werbner, Pnina / 2005 / The translocation of culture; 'Community cohesion' and the force of multiculturalism in history. The editorial Board of the Socliological Review / Blackwell Publishing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