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백범 김구(1876∼1949)는 흔히 독립운동가, 정치지도자, 자주통일운동가, 민족주의자, 인류평화 운동가, 그리고 혁명가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독립과 통일을 위해 노력해 온 교육문화운동가이기도 하다. 그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부터 국권회복을 위한 교육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본격적인 교육운동가로서의 삶을 살기 시작했다. 또한 자신이 직접 세운 학교나 독립운동 동지들이 세운 학교와 사범강습소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특히 신민회 시기에는 황해도 학무총감을 맡아 황해도 일대를 순회하며 각종 연설회나 강연회, 환등회를 통해 국민의식 개조, 구국계몽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 바도 있다. 광복 이후에는 건국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를 설립하여 9기에 걸쳐 약 800여 명의 인재를 양성하였고, 1949년에는 북한 실향민, 전쟁 이재민과 부모 잃은 고아들을 대상으로 백범학원, 창암학원을 세워 무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독립과 통일을 위해 노력해 온 백범이 교육문화운동가이기도했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범의 교육실천과 교육사상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백범의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의 폭을 특정시기에 한정하지 않고, 그가 교육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진 청소년기에서부터 사망할 때까지 전 시기로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백범의 교육실천과 교육사상이 갖는 교육적 가치와 현대적 시사점을 상고(詳考)하는 데 본 연구의목적이 있다.

키워드

김구, 백범, 교육활동, 학교설립, 교원활동, 교육운동

참고문헌(56)open

  1. [단행본] 김구 / 1947 / 백범일지(자서전) / 국사원

  2. [단행본] 백범김구선생전집편찬위원회 / 1999 / 친필 백범일지와 도왜실기 / 대한매일신보사

  3. [단행본] 백범김구선생전집편찬위원회 / 1999 / 백범일지 필사본들과 도왜실기 / 대한매일신보사

  4. [학술지] 권오영 / 2005 / 고석노(高錫魯)의 위정척사 사상과 ‘구전심수(口傳心授)’의 교육 / 백범과민족운동 연구 3 : 1 ~ 44

  5. [단행본] 김신 / 2014 / 조국의 하늘을 날다(회고록) / 돌베개

  6. [단행본] 김형묵 / 2005 / 대한제국기 야학운동 / 경인문화사

  7. [학술지] 김호일 / 1992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사상 - 건국강령에 나타난 삼균주의(三均主義)를중심으로 / 한국사론 10 : 183 ~ 206

  8. [단행본] 김호일 / 1999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 / 한국근현대사학회 : 360 ~ 380

  9. [학술지] 도진순 / 2003 / 백범 김구의 평화통일운동, 그 연원과 생명력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1 : 223 ~ 239

  10. [단행본] 도진순 / 2003 / 백범일지 도진순 주해 / 돌베개

  11. [단행본] 백남훈 / 1973 / 나의 일생 / 신현실사

  12. [단행본]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 1982 / 백범 김구-생애와 사상 / 교문사

  13. [학술대회]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 2006 / 백범 김구의 생애와 사상과 민족운동 / 백범 김구선생 탄신 13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14. [학술지] 성의정 / 1993 / 백범 김구의 교육사상 / 명지전문대학논문집 17 : 109 ~ 128

  15. [단행본] 신용하 / 1985 /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 / 을유문화사

  16. [단행본] 신용하 / 1996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 일조각

  17. [단행본] 신용하 / 2003 /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 서울대학교 출판부

  18. [학술지] 신용하 / 2006 / 일제의 한국민족말살 ‘황민화정책’ 정책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4 : 83 ~ 79

  19. [학술지] 신용하 / 2008 / 백범 김구의 새 민주문화국가 건설론과 세계평화론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6 : 261 ~ 304

  20. [학술지] 엄연석 / 2008 / 김구의 인문적 민족주의에 내포된 문화철학적 목표 / 인문연구 동아일보, 1924년 2년 18일, 회포를 돕는 비석; (55) : 291 ~ 326

  21. [학술지] 이동언 / 2008 / 안명근의 생애와 독립운동 / 남북문화예술연구 (2) : 121 ~ 142

  22. [학술지] 이동언 / 2009 / 김홍량의 생애와 민족운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4 : 205 ~ 241

  23. [학술지] 한국인물사연구 / 2006 / 한말 최광옥의 생애와 구국운동의 성격 / 한국인물사연구 (5) : 243 ~ 324

  24. [단행본] 이문원 / 2002 / 한국의 교육사상가 / 문음사

  25. [학술지] 이홍구 / 2008 / 해방 후 백범 김구의 건국실천원(實踐員)양성소 설립과 운영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6 : 305 ~ 340

  26. [학술지] 이홍구 / 2012 / 단국대학교와 백범 김구 / 사학지 45 : 111 ~ 132

  27. [학술지] 장석홍 / 2000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환국과 민족대학설립-국민대학의 설립을 중심으로 / 충북사학 11 : 641 ~ 662

  28. [학술지] 조동걸 / 2003 / 백범(白凡) 김구의 청소년기 생활과 의병운동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1 : 1 ~ 24

  29. [학술지] 조범래 / 2008 / 한국독립당과 백범김구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6 : 167 ~ 203

  30. [단행본] 조소앙 / 1979 / 조소앙선생문집(상), 제1편 잡저(雜著)Ⅰ / 삼균학회

  31. [학술지] 최기영 / 2003 / 백범 김구의 애국계몽운동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1 : 27 ~ 47

  32. [학술지] 崔起榮 / 2005 / 한말 崔光玉의 교육활동과 국권회복운동 / 한국근현대사연구 (34) : 37 ~ 62

  33. [단행본] 최명식 / 1970 / 안악사건과 삼일운동과 나 / 긍허전기편찬위원회

  34. [학술지] 최혜주 / 2007 / 백범 김구의 신민회 시기의 교육사상과 교육운동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5 : 75 ~ 100

  35. [학술지] 한규무 / 2012 / 1905년‘상동회의’와 을사조약 반대투쟁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3 : 5 ~ 41

  36. [학술지] 한규무 / 2013 / 1900년대 김구의 황해도 장련·문화·안악 이주와 계몽운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45 : 57 ~ 104

  37. [학술지] 한규무 / 2013 / 105인사건과 신민회, 다시 논쟁의 무대로 끌어 올리다 - 『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 개정증보판』(윤경로, 한성대학교 출판부, 2012) / 한국근현대사연구 64 : 191 ~ 201

  38. [학술지] 한민석 / 2013 / 백범 김구의 안악․신민회 시기 교육활동 / 교육사상연구 27 (3) : 321 ~ 347

  39. [학위논문] 한민석 / 2015 / 백범 김구의 교육실천 및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40. [학술지] 한시준 / 2005 / 백범 김구의 신국가 건설론 /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3 : 197 ~ 211

  41. [학술지] 한시준 / 2010 /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단국대학교 / 동양학 47 : 303 ~ 328

  42. [기타] / 1949 / 아세아 18국가회의개막 / 경향신문

  43. [기타] / 1906 / 제씨방환(諸氏放還) / 대한매일신보, 1906년 1월 30일자

  44. [기타] / 1908 / 학생운동회(學生運動會) / 대한매일신보, 1908년 4월 2일자

  45. [기타] / 1909 / 서도광선(西道光線) / 대한매일신보, 1909년 1월 25일자

  46. [기타] / 1909 / 호개환등(好個幻燈) / 대한매일신보, 1909년 11월 4일자

  47. [기타] / 1924 / 회포를 돕는 비석 / 동아일보, 1924년 2년 18일

  48. [기타] / 1924 / 동아일보, 1924년 6월 4일, 9월 7일, 11월 15일자

  49. [기타] / 1946 / 건축실천양성소 기성회조직 / 동아일보

  50. [기타] / 1949 / 아세아 회의를 성원함 / 동아일보,1949년 1월 22일자

  51. [기타] / 1949 / 백범학원개설(白凡學園開設) / 동아일보, 1949년 1월 29일자 : 2

  52. [기타] / 1949 / 창암 공민학교에 김구씨 오만원 희사 / 동아일보, 1949년 5월 17일 : 2

  53. [기타] / 1946 / 건국실천원양성소 설립준비 / 자유신문, 1946년 12월 7일

  54. [기타] / 1946 / 조선일보, 1946년 1월 24일 : ~

  55. [기타] / 1947 / 건국실천원 제2기생 모집 / 조선일보, 1947년 10월 3일

  56. [기타] / 2014 / 신년사설 / 조선일보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