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전통육아의 함의 고찰

Korean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s Depicted in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교육사상연구
약어 : Educational Idea
2015 vol.29, no.4, pp.1 - 24
DOI : 10.17283/jkedi.2015.29.4.1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사상학회
265 회 열람

본 연구는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전통육아의 함의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사회에서 회화는 사진이나 기타 기록매체와 같이 사실적 기록방법이 거의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 실제 생활을 표현한 문화적 유산이다. 회화 중 풍속화, 민화 등은 민간의 생활상을 묘사한 그림이라는 점에서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전통사회의 육아관을 파악하는데 적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세기 이후 조선시대 회화들 중 0세에서 7세 정도의 유아가 등장하는 풍속화, 인물화, 민화, 산수화 등 96점의 회화를 분석하여, 전통사회에서의 아이를 키우는 육아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전통육아가 현대사회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전통육아의 함의는 “아이는 온 가족이 끼고 키운다, 아이는 마을공동체에서 자연스럽게 자란다, 아이는 놀면서 자란다, 아이는 어깨너머 교육법으로 키운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사회에서의 육아 원형을 회화분석을 통해 되돌아봄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아이를 키우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quire into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parenting described in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In a traditional society of the period when realistic documentation methods such as photographing were not been developed, paintings that show the life of people at that time are considered as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Paintings that describe people's lifestyle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childrearing in a traditional society. In this study, 96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describing children,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raditional parenting and to consider its implications for the today's society. As a result of a study,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parenting described in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were that children should be raised as child by all family members and village people in indirect teaching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child rearing of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by analyzing paintings, is considered significant because it gives us implications in child rearing of the modern society.

회화, 조선시대, 육아, 한국의 전통육아
paintings, Chosun period, child-rear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 1. [단행본] 강명관 / 2012 /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 휴머니스트
  • 2.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 2002 / 조선시대 풍속화 / 국립중앙박물관
  • 3. [학술지] 김경철 / 2001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아동관 분석 / 열린유아교육연구 / 6 (3) : 203 ~ 3
  • 4. [단행본] 김광호 / 2012 / EBS다큐프라임 오래된 미래 전통육아의 비밀 / 라이온북스
  • 5. [학술지] 김성희 / 2007 / 조선시대 가사노동의 성별분업: 풍속화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11 (3) : 1 ~ 3 kci
  • 6. [학술지] 김신연 / 1998 / 조선왕조의 궁중 출산 풍속 연구 / 한국여성교양학회지 / 5 : 103 ~
  • 7. [학술지] 김영옥 / 2000 / 조선시대 아동 양육 방법에 관한 문헌적 탐구 / 유아교육학논집 / 4 (1) : 5 ~ 1
  • 8. [단행본] 김은주 / 2005 / 생태유아교육의 이해 / 한국학술정보원
  • 9. [학술대회] 김은주 / 2012 / 입(과학)으로 하는 육아 vs 손(상식)으로 하는 육아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새로운 한류, 한국 전통육아의 지혜를 찾아서 : 101 ~
  • 10. [학술지] 김은주 / 2006 / 한국 속담에 나타난 전통 아동교육관 연구 / 아동교육 / 15 (4) : 37 ~ 4 kci
  • 11. [학술지] 김진규 / 1999 / 민화와 아동화의 비교연구 / / 10 : 143 ~
  • 12. [학술지] 김희영 / 2011 / 류큐인(琉球人)의 아동관 -󰡔류큐국 유래기(琉球国由来記)󰡕에서의 산육의례(産育儀禮)를 기점으로- 류큐인(琉球人)의 아동관 -󰡔류큐국 유래기(琉球国由来記)󰡕에서의 산육의례(産育儀禮)를 기점으로- / 日本文化學報 (48) : 243 ~ 48 kci
  • 13. [학술지] 박덕숭 / 2012 / 한국 전통사회 육아의 현대적 의의 / 한영논총 / 16 : 381 ~
  • 14. [학술지] 백혜리 / 1999 /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 후기의 아동인식 / 유아교육연구 / 19 (2) : 59 ~ 2
  • 15. [학술지] 백혜리 / 2000 /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 후기의 아동인식(2) / 아동학회지 / 21 (2) : 67 ~ 2
  • 16. [학술지] 백혜리 / 2001 / 조선중기 양아록(養兒錄)을 통해 본 아동 인식 / 아동학회지 / 22 (2) : 205 ~ 2
  • 17. [학술지] 백혜리 / 2004 / 묵재일기에 나타난 조선 중기 아동의 생활 / 유아교육연구 / 24 (5) : 63 ~ 5 kci
  • 18. [단행본] 서주희 / 2008 / 풍속화, 붓과 색으로 조선을 깨우다 / ㈜시공사(지식채널)
  • 19. [학술지] 석은조 / 2003 / 조선조 왕실의 생활과 관련한 왕세자 양육에 대한 고찰 / 아동교육 / 12 (2) : 35 ~ 2
  • 20. [단행본] 신명호 / 2005 / 조선 왕실의 자녀교육법 / 시공사
  • 21. [학술지] 신양재 / 1992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난 아동기 고찰 / 대한가정학회지 / 32 (4) : 125 ~ 4
  • 22. [학술지] 신양재 / 1995 / 조선시대 교훈서에 나타난 아동 연령 기대에 관한 연구 / 아동학회지 / 16 (1) : 183 ~ 1
  • 23. [학술지] 신양재 / 1992 /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Ⅰ)-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 30 (4) : 249 ~ 4
  • 24. [학술지] 신양재 / 1993 /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Ⅰ)-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 31 (2) : 159 ~ 2
  • 25. [단행본] 손철주 / 2011 /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현암사
  • 26. [학위논문] 안세희 / 2013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전통육아의 의미 고찰
  • 27. [단행본] 안휘준 / 1986 / 국보 19(회화 1) / 예경출판사
  • 28. [단행본] 안휘준 편저 / 1986 / 국보 20(회화 2) / 예경출판사
  • 29. [단행본] 오주석 / 2004 /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 솔출판사
  • 30. [단행본] 유안진 / 1992 /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 서울대학교 출판부
  • 31. [단행본] 윤열수 / 2000 / 민화(1) / 예경
  • 32. [단행본] 윤열수 / 2000 / 민화(2) / 예경
  • 33. [단행본] 이경우 / 2011 / 한국민속푸리 / 새문사
  • 34. [단행본] 이일수 / 2014 / 옛 그림에도 사람이 살고 있네 / (주)시공사
  • 35. [학술지] 이정미 / 2000 / 전통사회의 아동교육에 대한 연구(조선시대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 대구미래대학 / 18 (1) : 279 ~ 1
  • 36. [단행본] 이태호 / 2000 / 풍속화(하나) / 대원사
  • 37. [단행본] 이태호 / 2000 / 풍속화(둘) / 대원사
  • 38. [학위논문] 임명연 / 2005 / 한국 민담에 나타난 아동관 분석
  • 39. [학술지] 정진 / 2001 /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 아동학회지 / 22 (1) : 109 ~ 1
  • 40. [단행본] 정병모 / 2000 / 한국의 풍속화 / 한길아트
  • 41. [단행본] 정병모 / 2004 / 사계절의 생활풍속 / (주)보림출판사
  • 42. [학술지] 최기영 / 2000 / 조선시대 회화에서 묘사된 아동 특성 / 한국영유아보육학 / 21 : 59 ~
  • 43. [학술지] 최기영 / 2002 / 조선시대 회화에 묘사된 아동의 양육과 생활 / 아동학회지 / 23 (1) : 105 ~ 1 kci
  • 44. [단행본] Deborah Jackson / 2002 / 인류는 어떻게 아이를 키웠을까; 육아의 지혜, 동서고금 1만 년의문화사 / 뿌리와 이파리
  • 45. [단행본] Liedloff, Jean / 2011 / 잃어버린 육아의 원형을 찾아서 / 양철북
  • 46. [단행본] 문지영 / 2003 / 아동의 탄생 / 새물결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