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려청자 관요지인 강진과 부안은 청자의 전성기인 12-13세기에 비색과 상감청자 기법을완성하며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강진과 부안에서 발굴된 도편을 정량적인화학성분 분석 후 UMF(Unity Molecular Formula)식을 적용하여 유약의 특성과 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강진청자(7점)과 부안청자(14점)의 화학성분 분석은 유약층의 발색산화물 Fe2O3는 강진청자에서 최소1.26wt%-최대 1.96wt% 범위이며, 부안청자는 최소 1.07wt%-최대 1.41wt% 범위로 강진청자의 함유량범위가높게 나타났으며, TiO2는 강진청자 최소 0.23wt%-최대 0.28wt% 범위이며, 부안청자는 최소 0.2wt%-최대0.3wt% 범위로 부안청자의 함유량 범위가 높게 나타났다. 강진청자와 부안청자를 UMF(Unity Molecular Formula)식을 적용한 결과 R2O(KNaO)와 RO(CaO)의 평균 비율은 모두 0.2 : 0.8로 같았다. 강진청자와 부안청자의 유약의 특성은 강진청자의 유약특성이 투명(gloss)과 반투명(matte-gloss)의 경계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부안청자의 유약은 투명(gloss)과 반투명의 경계와 반투명(matte-gloss)의 영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었다. 색도분석 결과, 강진청자 유약층 CIEa*값의 분포는 -0.2~-8.64이며, 부안청자는 -0.11~-7.64로 나타났다. CIEb*값은 강진청자에서 8.41~3.02와 부안청자에서 0.28~14.26으로 강진청자 보다 분포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강진과 부안청자의 도편의 색역은 강진청자가 부안청자보다 CIEa*값이 ‘-’값으로 진행하였고, CIEb*값이부안청자가 강진청자보다 ‘+’값으로 진행하여 분포하였고, grayish dull톤(tone) Y, GY계열의 색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키워드

고려청자, 비색, 강진청자, 부안청자, UMF

참고문헌(17)open

  1. [단행본] 강경숙 / 2012 / 한국 도자사 / 예경

  2. [단행본] 장남원 / 2006 / 고려중기 청자 연구 / 혜안

  3. [단행본] Roy S. Berns / 2003 / 색채학원론 / 시그마프러스

  4. [기타] 중앙국립박물관 / 2011 / 자연의 노래 유천리 고려청자

  5. [학위논문] 이준광 / 2011 / 고려청자의 해상운송과 출토유물 연구

  6. [학위논문] 한민수 / 2001 / 해저인양 고려청자의 산지추정에관한 과학기술적 연구

  7. [학위논문] 한정화 / 2005 / 부안 유천리 출토 고려청자의 연구

  8. [학술지] 고경신 / 2010 /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 Celadon and Koryŏ Whiteware / 보존과학회지 26 (3) : 213 ~ 228

  9. [학술지] 노형구 / 2009 / 강진 청자의 원료인 태토와 색도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3 (3) : 63 ~ 72

  10. [학술지] 노형구 / 2009 / 강진 청자소지의 제어와 색도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3 (4) : 91 ~ 98

  11. [학술지] 노형구 / 2010 / 청자유약의 Color Spectrum구축을 위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4 (3) : 49 ~ 56

  12. [학술지] 노형구 / 2010 / 청자 산화물의 요인분석을 통한 Color Spectrum 구축 / 기초조형학연구 11 (6) : 207 ~ 216

  13. [학술지] 노형구 / 2011 / 고려청자 유물 도편의 색도에 관한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12 (6) : 143 ~ 152

  14. [학술지] 한민수 / 2008 / 미량원소를 이용한 십이동파도 해저출토 고려청자의 생산지 연구 / 호남고고학보 28 : 81 ~ 101

  15. [단행본] F. Singer / 1963 / Industrial Ceramics / Chemical Publishing

  16. [학술지] Jong-Young Kim / 2011 / Mössbauer spectroscopic and chromaticity analysis on colorative mechanism of celadon glaze 37 (8) : 3389 ~ 3395

  17. [학술지] R. T. Stull / 1912 / Influence of Variable Silica and Alumina on the Porcelain Glazes of Constant RO / Trans. Am. Ceram. Soc 16 : 62 ~ 72